뉴스 News
분류 한국

전국 최초 AI 안면인식으로 아동‧청소년 성착취물 검출해 선제적 삭제

작성자 정보

  • 작성자 KREW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 AI 안면인식으로성별‧나이예측, 교복‧인형등사물과언어도인식해아동‧청소년판별
- 육안 판독시 2시간 걸렸던 검출속도 1분30초 내외로 단축, 정확도 300%↑
- AI로 기존의 2배 이상인 30만 건 검색‧삭제 기대… 중국‧러시아 등 해외 유포 영상물도 삭제
- ‘서울 디지털 성범죄 안심지원센터’ 개관 2년 간 아동‧청소년 피해지원 7배 이상 증가

 
<서울 디지털성범죄 안심지원센터 개관 1주년 기념식('23.3.29.)>

서울시가 디지털 성범죄 예방과 피해자 지원을 위해 지난해 3월 전국 최초로 AI(인공지능) 기술을 도입한 데 이어, 아동․청소년 성착취물을 특정할 수 있는 AI 감시 기술을 전국 최초로 개발‧도입해 24시간 자동 추적‧감시에 나선다.

’23년도 3월부터 서울연구원이 핵심기술 연구개발에 착수, 서울 디지털 성범죄 안심지원센터와 함께 다수의 아동‧청소년 피해 영상물을 분석하여 올해 5월 프로그램 개발을 완료했다.

서울연구원은 지난해 전국 최초로 AI 기술 도입을 통한 디지털 성범죄 자동 추적·감시 알고리즘을 개발했으며, 서울시에서 수행하는 24시간 불법 영상물 감시 및 신속 삭제를 위한 전반적인 기술지원을 수행하고 있다.

서울시는 아동‧청소년들은 디지털 성범죄 피해를 입더라도 부모님에게 말하지 못해 신고가 이뤄지지 않아 피해 영상물이나 사진이 유포‧재유포되는 경우가 많아 이번 기술 개발에 나섰다고 취지를 밝혔다. 아동‧청소년의 경우 관련 법에 따라 당사자나 부모의 신고 없이도 피해 영상물 삭제가 가능한 만큼, AI를 통해 아동‧청소년 성착취물을 빠르게 찾아내고 삭제해 피해에 신속 대응한다는 계획이다.

‘서울 디지털 성범죄 안심지원센터(서울여성가족재단 운영)’의 피해 요청 현황을 살펴보면 아동‧청소년 피해자 스스로 신고한 경우는 12명(7.8%)밖에 되지않으며, 부모님에게 피해 사실이 노출되거나 수사‧사법기관 등의 신고로 이뤄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실제로 센터의 삭제지원 사례를 살펴보면 센터에 삭제를 요청하여 삭제지원한 건수는 425건으로 센터 삭제지원관이 피해자의 신고 없이 삭제한 ‘선제적 삭제지원’ 2,720건의 15.6% 정도이다. 즉, 대부분의 아동‧청소년 디지털 성범죄 피해 영상물은 신고가 이뤄지지 못하고 유포‧재유포 되는 경우가 많다.

본인이 삭제를 요청해야 삭제지원이 가능한 성인과 달리, 아동‧청소년은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등에 따라 당사자나 부모님의 신고없이도 즉시 삭제가 가능하다.

이번에 개발한 ‘아동‧청소년 디지털 성범죄 AI 감시 시스템’은 AI 딥러닝 기반 안면인식 기술로 성인과 잘 구분되지 않는 아동‧청소년의 성별과 나이를 판별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영상물에 ‘얼굴’이 나오지 않더라도 아동‧청소년 피해 영상물 여부를 찾아낼 수 있다는 점이다. AI가 피해 영상물에 자주 등장하는 책, 교복, 인형 등 주변 사물은 물론, 이미지 속 텍스트, 청소년들이 주로 사용하는 언어까지 함께 인식해서 최종적으로 피해 영상물 여부를 판별하게 된다.


<아동․청소년 디지털 성범죄 AI 감시시스템 결과 화면(예시)>

또한, 키워드 입력부터 영상물 검출까지 90초밖에 걸리지 않기 때문에 기존에 삭제지원관이 관련 키워드로 피해 영상물을 검색해서 수작업으로 찾아낼 때(2시간)와 비교하면 검출 속도가 1/80로 크게 개선되고, 정확도도 300% 이상 향상된다. 이렇게 되면 지난해 수작업으로 이뤄진 모니터링 건수(15만 건)의 2배인 30만 건까지 모니터링이 가능해지고, AI 학습 데이터가 축적될수록 정확도와 속도는 더욱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AI가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아동‧청소년 성범죄물 관련 신조어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게 돼 영상물 검출에 사용되는 키워드도 다양해진다. 예컨대 기존에는 삭제지원관이 ‘딥페(딥페이크의 약자)’로 검색을 했다면 AI를 통해 ‘뒵페’ ‘뒷페’ 등 신조어 자동생성이 가능해지는 것. 이를 통해 기존에는 30개 키워드로 검색했다면 이제는 3.3배인 100개의 키워드를 생성해 보다 많은 피해 영상물을 찾아낼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시는 기존에 미국을 중심으로 유포됐던 피해 영상물이 최근 중국, 러시아, 베트남 등으로 확산되는 점에 착안해 국가 기반을 넓혀 검색 영역을 확장했다. 이에 AI를 통해 국내와 미국뿐 아니라 중국, 러시아 등의 국가에 유포된 피해 영상물 검색도 가능해진다.

□ ‘서울 디지털 성범죄 안심지원센터’ 개관 2년 간 아동‧청소년 피해지원 7배 이상 증가

서울시는 ‘서울 디지털 성범죄 안심지원센터(이하 센터, 서울여성가족재단운영)’를 통해 긴급상담부터 수사‧법률지원, 삭제지원, 심리치료‧의료지원까지 원스톱 지원하고 있다. 지난 2년간(’22.3~’24.3월) 935명의 피해자를 지원했다. 총지원 건수는 30,576건에 이른다.

서울시는 지난해 전국 최초로 디지털 성범죄 AI 삭제지원 프로그램 개발했으며, 올해는 아동․청소년 디지털 성범죄 AI 감시 시스템을 구축했다. 내년에는 검색뿐 아니라 신고까지 AI가 자동으로 신고하는 AI 자동신고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시가 지원한 피해자의 연령대는 10~20대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성별로는 여성이 85.78%, 남성도 12.09%였다. 특히 센터 개관 이후(22년 3월) 아동,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디지털 성범죄 피해 지원이 더욱 증가하고 있다. ’22년도 아동, 청소년 피해자는 총 50명으로 전체 피해자의 19.2%를 차지했으나(’22.3~’23.3월), ’23년도(’23.3~’24.3월)에는 총 104명(22.2%)으로 2배 이상 증가했다.

이에 따른 아동,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디지털 성범죄 피해지원은 2022년 총 2,026건에서 15,434건으로 7배 이상 증가했다.

아동‧청소년 디지털 성범죄 피해 유형은 온라인 그루밍 68건(27.5%)이 대다수를 차지하였으며, 유포‧재유포 45건(18.2%), 유포불안 43건(17.4%) 순이었다. 특히 최근에는 불법 사진합성, 남성 청소년 대상 몸캠피싱, 대출 조건 나체사진 전송 등이 증가하고 있다.

’22년도에는 또래들끼리 불법 사진합성을 해 단톡방 등에 올린 경우가 많았다면, 23년도에는 신원불상의 가해자가 아동‧청소년들이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올린 일상 사진에 음란물 등의 성적 이미지와 합성을 해 유포, 판매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미성년자 특성상 대출이 어렵다는 점을 이용, 나체 사진을 보증으로 돈을 대출해주겠다고 제안해 사진을 전송하면 돈은 주지 않고 사진만 유포하는 경우도 증가하고 있다.

피해 사례는 연령별로 다른 특성들을 보였는데 ①만 8세 미만의 경우 온라인 게임을 통해 접근해 채팅을 하며 나체사진 등을 요구하는 경우 ②만 8~13세 미만의 경우 오픈채팅방 등을 통해 접근해 서열방, 노예놀이 등을 통해 성적인 사진을 요구하는 경우 ③만 13~19세 미만의 경우 채팅알바, 불법 사진합성 등을 통해 성적인 사진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았다.

모두 게임, 채팅앱,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 온라인 공간이 가진 익명성을 이용해 접근해 정서적 지지를 해주거나, 원하는 것을 해준다는 조건으로 길들이며 사진이나 영상물을 착취하는 방식으로 범죄를 벌였다. 하지만 피해자들이 사진을 더 보내지 않으면 이를 부모님에게 알리거나 유포하겠다고 협박하며, 더 많은 사진을 요구했다.

용돈이 부족해 아르바이트를 구하던 고등학생 A(17세)에겐 ‘채팅 1건당 70원’이라는 채팅 알바를 제안하며, 이후엔 ‘사진 1건당 5만 원’, ‘영상통화 1건당 20만 원’ 등 알바비를 준다고 하고 성적인 사진과 영상을 요구했다. 초등학생 B(11세)에겐 오픈채팅방에서 ‘노예놀이를 하자’며 접근해 노출 사진이나 영상물을 요구했다. 미취학, 저연령의 아동들에게는 온라인 게임을 통해 아이템을 선물하며 성기 사진을 요구했다.

또한, 온라인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루밍(길들이기)을 통해 오프라인까지 유도해 물리적 성폭력은 12건, 신체적 폭력 2건, 스토킹범죄도 3건에 이르렀다.

이는 사실 모두 치밀하게 계획된 범죄로 연령별로 아동‧청소년들이 취약한 특성을 파악해 ‘온라인 그루밍(길들이기)’ 방식으로 아이들을 유인한 후 특정한 자세를 요구하거나 사진을 촬영하게 해 ‘아동‧청소년 성착취물’을 제작‧배포하려는 의도를 갖고 접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후 사회관계망 서비스(SNS)에 사진, 영상물을 판매한다는 홍보글을 올리고 이를 텔레그램에서 판매하는 ‘n번방’ 사건, 아동‧청소년 성착취 범죄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상황이다.

실제로 모든 사례에서 아동‧청소년 피해자들은 성적인 사진을 전송하고 아르바이트 비용이나 아이템을 선물받는 경우는 거의 없었으며, 대부분 아이들을 길들인 후 금전이나 선물(아이템, 기프티콘)을 준다고 회유했다.

디지털 성범죄 피해를 입은 아동‧청소년, 시민 등은 센터 상담전용 직통번호 ‘815-0382(영상빨리)’ 나 홈페이지(www.8150382.or.kr)로 문의하면 된다.

김선순 서울시 여성가족정책실장은 “우리 사회를 충격에 빠트린 n번방사건 이후 4년이 흘렀지만 여전히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디지털성범죄는 사라지지 않고 있고 그 피해도 심각하다”며 “서울시는 작년 전국 최초로 AI 삭제지원 기술을 도입한 데 이어서, 아동‧청소년 성착취 영상을 특정할 수 있는 기술을 통해 선제적인 감시‧삭제에 나서 아동‧청소년이 안전한 서울을 만들어나가겠다.”고 말했다.

※ 지원사례 1 : 채팅 아르바이트를 통한 피해 촬영물 불법 유포
#. 사건 개요
- 유 형: 디지털 성범죄(채팅 아르바이트)
- 피해자 연령 : 16세
#. 지원 내용
23년 9월, 용돈이 부족해 아르바이트를 구하던 중학생 A(16세)는 SNS에서 대화 1건당 70원을 준다는 아르바이트 광고를 보게 되었다. 그냥 대화만 하면 된다는 얘기에 처음에는 일상적인 대화를 이어나갔다. 가해자는 중학생인 A가 ‘공부하기 힘들지 않아?’, ‘네가 고민되는 거 다 나에게 얘기해도 돼~’ 라며 호감을 산 후, 목소리를 듣고 싶다며 전화를 요청했다. 이후 ‘목소리가 예뻐서 얼굴도 너무 예쁘겠다. 얼굴 볼 수 있어?’ 라며 사진을 요청했다. A가 사진을 보내자 이후 용돈을 줄테니 야한 사진을 보내라며 속옷을 입은 사진을 요청했고, 이후에는 노출이 더 심한 사진을 요청했다. A가 사진을 보내줄 수 없다고 하자 가해자는 ‘네가 이런 아르바이트 하는 거 부모님이 알아? 부모님에게 다 얘기해줄게’라며 A를 협박했고 A는 어쩔 수 없이 사진을 보냈다. 처음에는 아르바이트 비용을 준다던 가해자는 여러 장의 사진만 받고 1달 뒤 잠적을 해버렸다. A는 사진이 유포되었을까 걱정되어 잠을 못 자고 사진을 검색하다가 센터에 연락해 사진 삭제를 요청하였다. 센터에서는 A의 잘못이 아니라고 얘기해주며 상담을 통해 A가 안정을 찾을 수 있도록 지원하였다. 또한 AI를 통해 사진을 검색해 유포가 된 점을 확인하고 삭제를 지원하였으며, 고소장을 작성해 경찰에 제출하고 A의 심리상담도 함께 지원하
고 있다.


<(지원사례 1) 대화 예시>

※ 지원사례 2 : 서열방, 노예놀이방을 통한 피해 촬영물 불법 유포
#. 사건 개요
- 유 형: 디지털 성범죄(노예놀이방, 서열방)
- 피해자 연령 : 15세
#. 지원내용
24년 2월, B(15세)는 열린채팅방에서 ‘신생 서열방’이라며 새로운 인원을 모집한다는 글을 보게 된다. 서열방이란 해당 방에서 계급이 존재하고, 계급에 따라 자신보다 낮은 아래 계급에게 원하는 대로 명령을 할 수 있는 방이었다. 서열방에 참여할 수 있는 인원이 거의 마감되었다는 말에 B는 한번 참여하기로 했다. 방장에게 B가 참여 의사를 밝히자 신체검사(신검)가 필수라며 신체 사진을 보내달라고 했고, B는 고민하다가 얼굴이 나오지 않게 사진을 찍어 보냈다. 기준에 부합했던 B는 생각보다 높은 등급을 받게 되었고 자신보다 먼저 들어와 있던 사람들이 서로 명령을 하고 시키는 대로 행동을 하는 것을 보며 계급에서 떨어지면 자신도 저렇게 시키는 대로 해야한다는 생각이 들어 계속해서 사진을 보냈다. 하지만 사진 수위를 높이는 방장의 요구에 더 이상 견딜 수 없어 방을 나갔으나 방장은 B의 개인 메시지로 그동안 보냈던 사진을 유포하겠다며 다시 방에 들어올 것을 종용하였다. 서열방에 다시 들어오게 된 B는 계급이 제일 하위로 낮아졌으며, 다른 사람들은 B에게 성적행위나 사진 등을 게시하도록 명령하였다. B는 사진을 보내는 부분이 너무 괴로워 고민을 하던 중 어렵게 용기 내어 학교 상담 선생님께 피해 사실을 상담하였다. 상담교사는 경찰 신고와 함께 센터에 연락을 주었다.

이에 센터 피해지원관과 상담하여 유포 증거를 확보하였고, 변호사 선임을 통해 경찰, 검찰 및 재판 단계에서 조력을 받고 있다. 또한, 일상 회복을 위해 개별 심리상담을 지원하고 있으며, 피해자의 부모님을 대상으로 상담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서열방에 게시되었던 피해 촬영물은 AI를 통해 유포 모니터링 및 삭제지원을 하고 있다.


(지원사례 2) 대화 예시


<아동․청소년 디지털 성범죄 AI 감시 시스템 활용 전/후>


<서울시 디지털 성범죄 AI 삭제지원 시스템 구축>


<아동‧청소년 피해 지원 실적(서울 디지털성범죄 안심지원센터)>

Seoul to be the First in the Nation to Identify and Delete Sexually Exploitative Materials Involving Children and Adolescents Using AI Facial Recognition Technology

- The AI facial recognition technology will recognize age and gender as well as analyze the items and language being written or spoken, to determine the young victim.
- The AI Surveillance system only takes about 1.5 minutes to find the illegal content and is 300% more accurate than the manual process.
- The AI system is expected to identify and delete at least 300,000 sexually exploitative materials, doubling the current volume, including materials distributed to other countries such as China and Russia.
- Within two years of the opening of the Seoul Digital Sex Crime Support Center, the number of support cases involving children and adolescent victims has increased sevenfold.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SMG) will become the first local government in the nation to develop and adopt 24/7 AI surveillance technology to identify child and youth sexual exploitation content online in its efforts to prevent digital sexual crimes and support victims.

The SMG stated that the AI surveillance system was needed because many children and adolescent victims do not tend to report their experiences to their parents or authorities, which leads to the repeated distribution of exploitative materials. Under the relevant laws, when victims are children and adolescents, sexually exploitative materials can be deleted without reports from the victims themselves or their parents. Therefore, the SMG is committed to the swift identification and deletion of these materials using AI technology.

This newly developed “AI Surveillance System for Digital Sex Crimes Against Children and Adolescents” utilizes facial recognition technology based on AI deep learning. This allows easier identification of younger victims’ gender and age, even though it is usually challenging to recognize younger people in exploitative materials compared to adults.

What’s particularly notable is that the system can still find materials involving children and adolescents even if the materials do not contain their faces. The AI system will recognize small items such as books, school uniforms, or dolls, and linguistic aspects such as written text and spoken words commonly used by teenagers to determine whether the material is sexually exploitative.

Furthermore, the AI system only takes 90 seconds to search videos after entering search keywords, which is 80 times faster and 300% more accurate than the manual process, which usually takes 2 hours to do the same task. This can lead to monitoring up to 300,000 cases, doubling the volume of cases monitored manually last year.

In addition, considering that sexually exploitative materials have been distributed not only in the US, but also in China, Russia, and Vietnam recently, the SMG expanded the search area to include those countries.

The SMG has been providing comprehensive one-stop support including emergency consultation, investigation and legal aid, material deletion, and psychological and medical treatments through the Seoul Digital Sex Crime Support Center operated by the Seoul Foundation of Women and Family. Over the last two years from March 2022 to March 2024, the center supported 935 victims and dealt with 30,576 cases.

In 2022, the year when the center opened its doors in March, the number of children and adolescent victims was 50, or 19.2% of the total victims (data collected from March 2022 to March 2023). However, in 2023, the number more than doubled to 104, or 22.2%, according to the data from March 2023 to March 2024.

In line with this trend, the number of cases involving children and adolescent victims that the center has dealt with went up from 2,2026 in 2022 to 15,434 in 2023, more than a seven-fold increase.


<Demonstration of the Digital Sex Crime AI Deletion Program on March 29, 2023.>
<동영상 서울시 제공>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2,789 / 1 Page
RSS
BC주 임차인 4명 중 1명은 소득 절반 이상 임대료로 지출
등록자 NEWS
등록일 06:18

부동산 임차인 26%는 다음 계약 이내 주택 구매 고려 BC주 임차인 4명 중 1명은 소득의 절반 이상을 임대료로 지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부동산 업체 로열 르페이지가 임차…

캐나다 인구 4100만 명, 역대 최고
등록자 NEWS
등록일 06.20

부동산 주요 원인은 이민… 1분기 12만1758명 캐나다의 인구 증가세가 매섭다. 19일 캐나다 통계청이 발표한 인구 통계에 따르면 캐나다 1분기 인구가 0.6% 증가, 4,100만 명을…

하반기 금리 인하 가능성…주택시장 관망세 속 매물 적체?
등록자 NEWS
등록일 06.19

부동산 5월 전국 부동산 매물 증가하고 거래량 감소... "하반기는 다를 것"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면서 부동산 시장 관망세가 한층 더 짙어진 한 달이었다. 금리 인하 가능성이 …

밴쿠버, 캐나다 10대 도시 중 유일하게 연간 임대료 감소
등록자 NEWS
등록일 06.18

부동산 평균 임대료 2650달러로 여전히 가장 비싸 밴쿠버가 캐나다 10대 도시 가운데 유일하게 연간 임대료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온라인 임대 플랫폼 줌퍼(Zumper)가 발…

주택 가격 vs 소득, 지난 30년 동안 어떻게 변했을까
등록자 NEWS
등록일 06.17

부동산 “소득 34% 오르는 동안 주택 가격은 142% 상승” 밴쿠버 주택 가격과 소득 간의 격차가 1990년대 중반 이후 극적으로 벌어졌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13일 레이트닷시에이(R…

BC주 부동산 시장 여름 앞두고 ‘균형’
등록자 NEWS
등록일 06.16

부동산 거래량은 감소했지만 매물량 늘어 BC주 부동산협회(BCREA)는 13일 발간한 보고서를 통해 5월 BC주의 부동산 시장이 균형을 기록했다고 평가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5월 BC주의…

써리 시티 센터에 최고 65층 규모 4개 타워 들어선다
등록자 NEWS
등록일 06.15

부동산 주거, 사무실, 호텔, 레스토랑, 보육 등 복합센터 써리 시티 센터 중심부에 있는 세이프웨이 부지에 대대적인 재개발을 위한 세부 계획이 구체화되고 있다고 인터넷 매체 데일리 하이브…

캐나다인 절반 가까이 이민자 수 줄여야
등록자 NEWS
등록일 06.14

부동산 응답자 44%, 이민자 캐나다에 ‘부정적’ 영향 이민자 증가에 대한 부정적 여론이 확산되고 있다. 11일 여론조사 기관 Research Co.에 따르면 이민이 캐나다에 미치는 영향…

캐나다 5월 실업률 6.2%로 올랐다
등록자 NEWS
등록일 06.13

경제 내달 추가 금리 인하 가능성 여전 캐나다의 일자리가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인구 증가로 인해 실업률이 되레 올랐다. 7일 캐나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캐나다의 일자리는 2만700…

모기지 대출자 10명 중 6명 “재정적 스트레스”
등록자 NEWS
등록일 06.12

부동산 젊은 세대일수록 스트레스 호소 많아 캐나다의 모기지 대출자 10명 중 6명이 현재 재정적인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젊은 대출자일수록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응답률이 …

캐나다 평균 임대료, 사상 첫 2200달러 돌파
등록자 NEWS
등록일 06.11

부동산 높은 임대료에 지방으로 몰리면서 월세 상승 경향 5월 대도시 임대료 상승하면서 사상 처음으로 2,200달러를 넘어섰다. 온라인 임대 정보 제공 사이트인 렌탈스닷시에이(rentals…

“집값 너무 비싸 캐나다 떠난다” 미국으로 이주 늘어
등록자 NEWS
등록일 06.10

부동산 전년비 70% 증가해 “부동산, 생활비가 주요 원인” 높은 집값으로 미국으로 이주하는 캐나다인이 늘고 있다고 CTV가 3일 보도했다. 방송에 따르면 미국 인구 조사 데이터에 따르면…

“프레이저 밸리 주택 매물, 5년래 최고치”
등록자 NEWS
등록일 06.09

부동산 주택 매매량 전년보다 소폭 상승, 전달보다는 감소 프레이저 밸리 지역의 주택 매물이 2019년 9월 이후 최고 수준까지 증가했다. 주택 구매자와 판매자에게 보다 균형 잡힌 시장 조…

밴쿠버, BC주 주택 공급 목표치에 크게 미치지 못해
등록자 NEWS
등록일 06.08

부동산 지난 6개월간 1607채 완공… 연간 목표치 달성 어려울 듯 밴쿠버가 BC주정부가 도시별로 제시한 주택 요구 공급량에 크게 못 미치는 성적표를 냈다. 그러나 밴쿠버는 5년 목표치는…

중앙은행 기준 금리 인하, 소비자에 영향은?
등록자 NEWS
등록일 06.07

경제 시중은행 우대금리 즉각 인하… 대출 상환비용 차는 적어 캐나다 중앙은행이 지난 5일 기준금리를 기존 5%에서 4.75%로 0.25%포인트 인하했다. 4년 만에 첫 인하인 만큼 경기…

비자, 100억 번째 토큰 발행하며 전 세계 전자상거래 400억달러 증가 창출
등록자 KREW
등록일 06.06

경제 토큰화 결제는 작년 6억5000만달러의 사기 피해를 방지함 최근 공개된 비자 데이터 토큰은 소비자의 데이터 제어력을 늘려주고 원활한 AI 기반 쇼핑 경험을 제공함 비자(Visa)는…

메트로 밴쿠버, 매물 급증… 매매는 급감
등록자 NEWS
등록일 06.06

부동산 금리 인하 기대에 거래 20% 감소 기준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으로 관망세가 나타나면서 부동산 매물이 급증하고, 매매거래량은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광역 밴쿠버 부동산 협회가 …

전국 최초 AI 안면인식으로 아동‧청소년 성착취물 검출해 선제적 삭제
등록자 KREW
등록일 06.05

한국 - AI 안면인식으로성별‧나이예측, 교복‧인형등사물과언어도인식해아동‧청소년판별 - 육안 판독시 2시간 걸렸던 검출속도 1분30초 내외로 단축, 정확도 300%↑ - AI로 기존의 …

서울시, 제5회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 총감독에 건축가 '토마스 헤더윅' 선정
등록자 KREW
등록일 06.05

한국 - 기발한 아이디어・창조적 디자인으로 예술적 경험 제공하는 건축가… 3일(월) 위촉 - ‘토마스 헤더윅’ 사람의 감성을 담아내는 건축 디자인으로 도시환경의 솔루션 제시 - 서울시,…

중앙은행, 기준금리 4년 만에 첫 인하
등록자 NEWS
등록일 06.05

경제 5%에서 4.75%로 0.25%P 인하… “인플레이션 완하에 추가 인하전망” 캐나다 중앙은행이 4년 만에 처음 금리 인하를 단행했다. 현 인플레이션 수준이 지속한다면 추가 금리 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