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News
분류 커뮤니티

BC주, 팬데믹 규제 5월까지...병실 90 육박

작성자 정보

  • 작성자 NEWS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BC주, 팬데믹 규제 5월까지 연장
병실 점유율 90% 육박…AZ 백신 접종 연령 40세로 
백신 접종 위해 3시간 유급 휴식…여행제한 검토


BC주의 팬데믹 규제가 다시 5월 25일까지 연장된다. 덧붙여 5월 롱 위크엔드를 겨냥한 듯 여행도 규제하고 있다. 동시에 백신접종 속도를 내기 위해 아스트라제네카 접종 대상 연령을 40세로 낮추기도 했다.
주 정부에 따르면 최근 주말 동안 신규 확진자는 2960명으로 거의 1일 1000명에 육박했다. 이로써 전체 확진자는 12만 명을 넘어섰고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액티브 케이스가 9300여 건인데다 자가 격리 인원도 1만 4000여 명에 이른다. 이 가운데 BC주에서는 2살 아동이 코로나 19 확진에 숨지면서 큰 우려를 낳고 있다.
더욱이 주 전역에서 입원 환자가 늘어나면서 침상 점유율이 90%에 육박하고 있다. 일부 지역에서는 수술용 베드까지 코로나 19 환자를 위해 활용하는 상황이다. 글로벌 BC에서 보도한 자료를 보면, 메트로 밴쿠버에 관련된 프레이저 헬스 권역의 경우 병원 베드 점유율이 96%에 이른다. 밴쿠버 코스털 헬스 권역은 97%를 넘어선 상태에서 수술용 베드까지 3% 정도 차지한 상태이다.
확진자와 입원 환자들이 빠르게 늘어나면서 정부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접종 대상 연령을 최대 40세까지 낮추기로 했다. 연방 정부의 승인을 받아 기존 55세 이상을 대상으로 하던 기준을 낮춰 접종 범위를 확대한 것. 이 같은 조치는 최근 온타리오가 확진자 급증으로 아스크라제네카 백신접종 연령을 낮추고 앨버타가 그 조치를 따라간 이후에 나온 것이다. 게다가 주 정부는 고용법(Employment Standards Act)을 수정, 백신 접종을 위해 노동자가 3시간 정도 유급 휴식을 가질 수 있도록 추진하고 있다.
이밖에 정부는 최근 주말 잉글리시 베이 등지에서 정부 방침을 무시하고 노상 파티가 열린 사건과 관련, 앞으로는 경찰과 함께, 검문 검색을 할 수 있는 방안을 고려하기로 했다. <사진=BC주 제공>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2,789 / 99 Page
RSS
외국인 보유 국내 토지 또 늘어…전체 0.25
등록자 NEWS
등록일 04.27

한국 외국인 보유 국내 토지 또 늘어…전체 0.25% 토지 보유 현황으로는 경기도, 전남, 경북 등의 순 국내 토지 가운데 외국인이 소유하는 토지가 어김없이 늘었다. 전국 보유현황을 보…

캐나다 금리인상 시기 “좀더 빨라질수도…”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04.23

캐나다 캐나다 금리인상 시기 “좀더 빨라질수도…” 캐나다 올해 6.5% 성장…이후 연간 3.75%, 3.25% 등 “향후 몇 개월 물가 상승률 1%~3% 범위 요동칠 듯” 예상대로 캐나다…

연방 정부 ‘팬데믹 예산’ 부채 늘지만 지원 계속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04.23

캐나다 연방 정부 ‘팬데믹 예산’ 부채 늘지만 지원 계속 노동자 임금, 사업체 렌트 보조 올 가을까지 계속 2025-2026년까지 하루 10달러 차일드 케어 달성 연방 정부가 2년여 만에…

“매우 불균형한 시장의 코너를 돌아가는 중”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04.23

캐나다 “매우 불균형한 시장의 코너를 돌아가는 중” 전국 주택시장 봄철 훈풍…역대급 거래량, 전년비 76% 봄철 주택 시장 훈풍은 BC주에만 불어 온 것이 아니었다. 전국적으로 기록적인 …

“캐나다 최근 이민자 유입에 반등 조짐”
등록자 NEWS
등록일 04.22

캐나다 “캐나다 최근 이민자 유입에 반등 조짐” 올해 두 달 동안 4만 8000명…팬데믹 이전 수준 오는 2023년까지 기술인력 최대 120만 명 유입 RBC의 올해 27만 5천명 예상 …

전국 가정의 ‘모기지 대출’ 속도 느려져…
등록자 NEWS
등록일 04.22

부동산 전국 가정의 ‘모기지 대출’ 속도 느려져… 작년 하반기 월 100억불 증가…최근 53억 등 비모기지 대출 ‘약 상승’…민간 대출 상승곡선 전국 캐나다 가정의 모기지 대출 속도가 완…

“코로나19 백신 오해와 망설임도 폭넓어”
등록자 NEWS
등록일 04.22

캐나다 “코로나19 백신 오해와 망설임도 폭넓어” 43%만 “100% 백신접종” 대답…BC주 타주보다 높아 응답자 25% “백신 효과 없다”…18% “큰 질병 아냐” 보수당 지지층 망설임…

연방 2021예산안…국가적 외국인 ‘빈집세’ 신설
등록자 NEWS
등록일 04.21

캐나다 연방 2021예산안…국가적 외국인 ‘빈집세’ 신설 전국적 집장만 가능 주택 건축에도 25억 달러 투자 등 최근 연방 정부의 예산안은 다양한 측면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주택 시장도…

코로나 19 이전, ‘병원 대기’ 비용 20억 이상
등록자 NEWS
등록일 04.21

캐나다 코로나 19 이전, ‘병원 대기’ 비용 20억 이상 병원 대기 시간은 캐나다의 끊이지 않는 큰 과제이다. 최근 코로나 19 팬데믹 속에서는 확진자 급증에 수술 일정마저 차질을 빚게…

전국적으로 매매는 ‘감소’, 전월세는 ‘증가’ 대조
등록자 NEWS
등록일 04.21

한국 전국적으로 매매는 ‘감소’, 전월세는 ‘증가’ 대조 한국의 주택 시장에서 매매와 전월세가 극명한 대조를 보이고 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3월 주택 매매거래량(신고일 기준)은 총 …

BC주, 팬데믹 규제 5월까지...병실 90 육박
등록자 NEWS
등록일 04.20

커뮤니티 BC주, 팬데믹 규제 5월까지 연장 병실 점유율 90% 육박…AZ 백신 접종 연령 40세로 백신 접종 위해 3시간 유급 휴식…여행제한 검토 BC주의 팬데믹 규제가 다시 5월 25일…

코퀴틀람 ‘원 패스’ 카드 취소...
등록자 NEWS
등록일 04.20

커뮤니티 코퀴틀람 ‘원 패스’ 카드 취소... 팬데믹 기간 드롭인 요금 낮춰…가족 5달러 코퀴틀람의 ‘원 패스(One Pass)’ 카드가 더 이상 사용되지 않게 된다. 지난해 코로나 19 …

팬데믹 속 온라인 소비 10 이상 늘어
등록자 NEWS
등록일 04.20

한국 팬데믹 속 온라인 소비 10% 이상 늘어 전세계적으로 팬데믹은 온라인 시장에는 큰 시장 확대의 기회가 된 듯하다. 한국에서도 전 연령대에서 온라인 소비액이 10% 이상 증가한 것으…

BC 시장 ‘역대 신기록’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04.16

커뮤니티 BC 시장 ‘역대 신기록’ 월 1만 5000여 건 거래…전년비 무려 123.3%나 액티브 리스팅 주 전체 전년비-24%...일부 -70% 요즘 주택 시장은 봄 기운에 열기마저 더하…

캐나다 기업, 낙관 전망 늘어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04.16

캐나다 캐나다 기업, 낙관 전망 늘어 “인플레이션 기대 높아져도 중앙은행 타깃 범위내” 캐나다 기업들이 좀더 낙관적 전망을 내놓고 있다. 뱅크 오브 캐나다의 최근 실시한 조사에서 미래 매…

캐나다 전국 모기지 연체율 하락세…노인들 연체 더 많아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04.16

캐나다 캐나다 전국 모기지 연체율 하락세…노인들 연체 더 많아 25~34세 그룹 연체율 0.2%...65세 이상은 0.33%로 역시 모기지는 캐나다 소비자들이 보유한 부채의 다수를 차지하…

임시 노동자, 해외유학 졸업자에 ‘영주권’
등록자 NEWS
등록일 04.15

캐나다 임시 노동자, 해외유학 졸업자에 ‘영주권’ 연방 정부, 9만 명 목표로…5월부터 11월까지 접수 40개 보건, 95개 필수 직종…식품 생산 배포 직종도 팬데믹 영향 속에서 해외 이…

팬데믹에 소비경향 변화…필수 상품으로 쏠려
등록자 NEWS
등록일 04.15

캐나다 팬데믹에 소비경향 변화…필수 상품으로 쏠려 소매매출에서 식품 지출 늘어…전자상거래 급성장도 ‘온라인’ 판매. 즉 전자상거래는 요즘 캐나다 경제에서는 빼놓을 수 없는 항목이 됐다. …

연방 정부 지원…에어 캐나다 요금 환불도
등록자 NEWS
등록일 04.15

캐나다 연방 정부 지원…에어 캐나다 요금 환불도 코목스, 펜틱턴, 캠루프스 등 13곳 항공 서비스 재개 연방 정부가 항공업계 지원에 나섰다. 여기에는 그동안 취소된 항공요금에 대한 환불(…

모기지 스트레스 테스트 강화중…6월 1일 적용
등록자 NEWS
등록일 04.14

부동산 모기지 스트레스 테스트 강화중…6월 1일 적용 캐나다 주택 가격의 빠른 상승세에 대한 우려가 점점 커지면서 정부의 발 빠른 대응도 예상되고 있다. 이 가운데 금융감독당국(OSF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