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News
분류 캐나다

팬데믹에 소비경향 변화…필수 상품으로 쏠려

작성자 정보

  • 작성자 NEWS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팬데믹에 소비경향 변화…필수 상품으로 쏠려
소매매출에서 식품 지출 늘어…전자상거래 급성장도


‘온라인’ 판매. 즉 전자상거래는 요즘 캐나다 경제에서는 빼놓을 수 없는 항목이 됐다. 특히 팬데믹 속에서 더욱 많은 소비자들이 온라인 등 기존과 다른 방식의 세일즈에 접근하고 있다.
최근 통계청의 소매 상품 조사(Retail Commodity Survey)에 따르면 지난 12월을 기준, 전체 소매 매출은 전년대비 1.1%나 줄었다. 소매 매출 규모는 432억 달러 수준이다. 주목할 부분은 지난 2020년 5월 이후 처음으로 전년대비 하락세를 보였다는 점이다. 전체 19개 상품 분야 가운데 11개가 하락세를 기록했다. 그렇지만 현재 수정되지 않은 데이터를 기준으로 할 때, 2월 전망은 2.9%가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는 것.
주요 특징 가운데 코로나 19 방역조치 제한이 식품 및 음료 소매점에 가져온 영향력이다. 전국 많은 주에서 실내 식사 금지 등 각종 팬데믹 규제가 있었지만 식품 소매점 매출은 1월중 전년대비 14.5%나 올랐다. 두 달 연속, 식품은 매출이 크게 늘어난 것. 수많은 상품의 매출이 늘었지만 패키지 식품과 마른 제품 등이 시장을 이끌었다. 신선 과일과 채소도 14.5% 증가를, 신선 육가공도 19.8% 늘었다. 캐나다 주민들이 집에서 더 많은 음식 준비 시간을 보내고 있다는 의미다.
청량음료와 알코올 음료 분야도 매출이 9.1%% 늘었다. 이 같은 상승세는 주로 알코올 음료의 8.9% 상승 덕분이다. 전체 음료 1월 매출의 72.6%를 차지한다.
또 다른 특징은 자동차 매출이다. 팬데믹 속에서 오히려 자가용 이용과 자가용 여행이 늘어날 듯하지만 실제 자동차 매출은 후퇴했다. 자동차 매출은 지난 2020년 7월 이후 처음으로 줄어 -9.7%를 기록했다. 각종 코로나 19 규제로 매출이 영향을 받은 것이다. 해당 분야의 중고 자동차 매출이 -10.9%를, 신규 자동차 매출은 -9%를 기록했다. 지난 2020년 5월 이후 처음으로 마이너스 성장률을 보였다. 특히 신규 자동차 매출은 세 달 연속 하락세다.
자동차와 가정용 연료 매출도 전년대비 22%나 줄었다. 가장 큰 요인은 수요 하락이다. 자동차 연료 분야는 전년대비 9억 1100만 달러가 줄었다. 재택명령이 일부 주에서 실시되면서 자동차 연료분야 하락도 커졌다. 동시에 개스 가격 상승을 상쇄하기도 했다.
그렇지만 전자 쇼핑과 메일 오더 분야는 늘었다. 2020년 4/4분기를 기준, 역대 최고치인 77억 달러 규모이다. 전자 쇼핑과 메일 오더 분야도 전체 소매 지출의 4.3%나 차지한다. 1년 전의 1.2%와 비교할 때 눈부신 성장속도이다.
소비자들의 선호도에도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팬데믹은 소비자들이 내구재 상품이 아닌 필수 상품으로 쏠리게 했다. 자동차 세일즈가 크게 줄어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1% 하락한 18.6%로 나타났다. 반면 필수 상품 매출은 늘어, 식품이 10.6% 늘었다. 결과적으로 식품은 2020년 소매 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9.9%로 지난 2019년 2.1%보다 늘었다.
한편 소비자들의 전자 상거래 규모를 보면, 지난 2020년 242억 달러로 집계됐다. 이전보다 46.5%나 늘어난 수준이다. 아이러니하지만 이 분야는 필수가 아닌 상품 매출 상승세가 이끌었다. 예를 들어 가정용 가구와 전자제품이 67.6%를, 의류가 31.9%, 스포츠와 레저용 상품이 90.5% 늘었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2,789 / 99 Page
RSS
외국인 보유 국내 토지 또 늘어…전체 0.25
등록자 NEWS
등록일 04.27

한국 외국인 보유 국내 토지 또 늘어…전체 0.25% 토지 보유 현황으로는 경기도, 전남, 경북 등의 순 국내 토지 가운데 외국인이 소유하는 토지가 어김없이 늘었다. 전국 보유현황을 보…

캐나다 금리인상 시기 “좀더 빨라질수도…”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04.23

캐나다 캐나다 금리인상 시기 “좀더 빨라질수도…” 캐나다 올해 6.5% 성장…이후 연간 3.75%, 3.25% 등 “향후 몇 개월 물가 상승률 1%~3% 범위 요동칠 듯” 예상대로 캐나다…

연방 정부 ‘팬데믹 예산’ 부채 늘지만 지원 계속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04.23

캐나다 연방 정부 ‘팬데믹 예산’ 부채 늘지만 지원 계속 노동자 임금, 사업체 렌트 보조 올 가을까지 계속 2025-2026년까지 하루 10달러 차일드 케어 달성 연방 정부가 2년여 만에…

“매우 불균형한 시장의 코너를 돌아가는 중”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04.23

캐나다 “매우 불균형한 시장의 코너를 돌아가는 중” 전국 주택시장 봄철 훈풍…역대급 거래량, 전년비 76% 봄철 주택 시장 훈풍은 BC주에만 불어 온 것이 아니었다. 전국적으로 기록적인 …

“캐나다 최근 이민자 유입에 반등 조짐”
등록자 NEWS
등록일 04.22

캐나다 “캐나다 최근 이민자 유입에 반등 조짐” 올해 두 달 동안 4만 8000명…팬데믹 이전 수준 오는 2023년까지 기술인력 최대 120만 명 유입 RBC의 올해 27만 5천명 예상 …

전국 가정의 ‘모기지 대출’ 속도 느려져…
등록자 NEWS
등록일 04.22

부동산 전국 가정의 ‘모기지 대출’ 속도 느려져… 작년 하반기 월 100억불 증가…최근 53억 등 비모기지 대출 ‘약 상승’…민간 대출 상승곡선 전국 캐나다 가정의 모기지 대출 속도가 완…

“코로나19 백신 오해와 망설임도 폭넓어”
등록자 NEWS
등록일 04.22

캐나다 “코로나19 백신 오해와 망설임도 폭넓어” 43%만 “100% 백신접종” 대답…BC주 타주보다 높아 응답자 25% “백신 효과 없다”…18% “큰 질병 아냐” 보수당 지지층 망설임…

연방 2021예산안…국가적 외국인 ‘빈집세’ 신설
등록자 NEWS
등록일 04.21

캐나다 연방 2021예산안…국가적 외국인 ‘빈집세’ 신설 전국적 집장만 가능 주택 건축에도 25억 달러 투자 등 최근 연방 정부의 예산안은 다양한 측면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주택 시장도…

코로나 19 이전, ‘병원 대기’ 비용 20억 이상
등록자 NEWS
등록일 04.21

캐나다 코로나 19 이전, ‘병원 대기’ 비용 20억 이상 병원 대기 시간은 캐나다의 끊이지 않는 큰 과제이다. 최근 코로나 19 팬데믹 속에서는 확진자 급증에 수술 일정마저 차질을 빚게…

전국적으로 매매는 ‘감소’, 전월세는 ‘증가’ 대조
등록자 NEWS
등록일 04.21

한국 전국적으로 매매는 ‘감소’, 전월세는 ‘증가’ 대조 한국의 주택 시장에서 매매와 전월세가 극명한 대조를 보이고 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3월 주택 매매거래량(신고일 기준)은 총 …

BC주, 팬데믹 규제 5월까지...병실 90 육박
등록자 NEWS
등록일 04.20

커뮤니티 BC주, 팬데믹 규제 5월까지 연장 병실 점유율 90% 육박…AZ 백신 접종 연령 40세로 백신 접종 위해 3시간 유급 휴식…여행제한 검토 BC주의 팬데믹 규제가 다시 5월 25일…

코퀴틀람 ‘원 패스’ 카드 취소...
등록자 NEWS
등록일 04.20

커뮤니티 코퀴틀람 ‘원 패스’ 카드 취소... 팬데믹 기간 드롭인 요금 낮춰…가족 5달러 코퀴틀람의 ‘원 패스(One Pass)’ 카드가 더 이상 사용되지 않게 된다. 지난해 코로나 19 …

팬데믹 속 온라인 소비 10 이상 늘어
등록자 NEWS
등록일 04.20

한국 팬데믹 속 온라인 소비 10% 이상 늘어 전세계적으로 팬데믹은 온라인 시장에는 큰 시장 확대의 기회가 된 듯하다. 한국에서도 전 연령대에서 온라인 소비액이 10% 이상 증가한 것으…

BC 시장 ‘역대 신기록’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04.16

커뮤니티 BC 시장 ‘역대 신기록’ 월 1만 5000여 건 거래…전년비 무려 123.3%나 액티브 리스팅 주 전체 전년비-24%...일부 -70% 요즘 주택 시장은 봄 기운에 열기마저 더하…

캐나다 기업, 낙관 전망 늘어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04.16

캐나다 캐나다 기업, 낙관 전망 늘어 “인플레이션 기대 높아져도 중앙은행 타깃 범위내” 캐나다 기업들이 좀더 낙관적 전망을 내놓고 있다. 뱅크 오브 캐나다의 최근 실시한 조사에서 미래 매…

캐나다 전국 모기지 연체율 하락세…노인들 연체 더 많아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04.16

캐나다 캐나다 전국 모기지 연체율 하락세…노인들 연체 더 많아 25~34세 그룹 연체율 0.2%...65세 이상은 0.33%로 역시 모기지는 캐나다 소비자들이 보유한 부채의 다수를 차지하…

임시 노동자, 해외유학 졸업자에 ‘영주권’
등록자 NEWS
등록일 04.15

캐나다 임시 노동자, 해외유학 졸업자에 ‘영주권’ 연방 정부, 9만 명 목표로…5월부터 11월까지 접수 40개 보건, 95개 필수 직종…식품 생산 배포 직종도 팬데믹 영향 속에서 해외 이…

팬데믹에 소비경향 변화…필수 상품으로 쏠려
등록자 NEWS
등록일 04.15

캐나다 팬데믹에 소비경향 변화…필수 상품으로 쏠려 소매매출에서 식품 지출 늘어…전자상거래 급성장도 ‘온라인’ 판매. 즉 전자상거래는 요즘 캐나다 경제에서는 빼놓을 수 없는 항목이 됐다. …

연방 정부 지원…에어 캐나다 요금 환불도
등록자 NEWS
등록일 04.15

캐나다 연방 정부 지원…에어 캐나다 요금 환불도 코목스, 펜틱턴, 캠루프스 등 13곳 항공 서비스 재개 연방 정부가 항공업계 지원에 나섰다. 여기에는 그동안 취소된 항공요금에 대한 환불(…

모기지 스트레스 테스트 강화중…6월 1일 적용
등록자 NEWS
등록일 04.14

부동산 모기지 스트레스 테스트 강화중…6월 1일 적용 캐나다 주택 가격의 빠른 상승세에 대한 우려가 점점 커지면서 정부의 발 빠른 대응도 예상되고 있다. 이 가운데 금융감독당국(OSF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