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News
분류 커뮤니티

코로나 19 주택시장평가에 미치는 영향

작성자 정보

  • 작성자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코로나 19 주택시장평가에 미치는 영향

정부 소득 지원…“장기, 영구적 가처분소득 과대평가”
“수많은 가구 임시 소득 지원…집장만은 장기적 결정”

주택 장만은 장기 플랜이다. 그렇지만 코로나 19 팬데믹 속에서 수많은 캐나다인이 단기적인 재정 긴축 상태를 겪고 있다. 이 같은 불균형이 주택 시장과 집값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는 아직 현재진행형이다.

이 가운데 캐나다 모기지주택공사(CMHC)가 코로나 19가 CMHC의 주택 시장 평가(Housing Market Assessments)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을 내놓아 관심을 모으고 있다. 올해 세 번째 주택 시장 보고서가 가장 처음으로 내놓은 화두는 바로 주택 시장의 장기적 안정성에 대한 우려다.

전례 없는 코로나 19 팬데믹 위험 탓이다. 이 보고서는 주택 시장에 상당한 수준의 불균형이 있는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여러 지표를 사용했다. 여기에는 집값은 물론, 가계 소득과 모기지 이자율, 공실률이나 리스팅 대비 세일즈와 같은 주택 시장 지표도 있다.

먼저 이 보고서는 “우리는 주택 시장에서의 불균형을 전에도 보았다”고 전재했다. 캐나다는 지난 1980년대 후반과 2008/2009년에도 상당한 불균형 시장을 경험했다. 이 같은 불균형 위험성을 체크하기 위해서 주택 시장 평가 보고서는 이면에 흐르는 데이터에 집중하고 불균형이 시간이 지날수록 커질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뒀다. 덧붙였다.

주택 시장과 시장을 이끌어가는 기본요소와의 역사적 관계가 아주 많이 변하지는 않는다는 과제를 전재로 했다.
먼저, 단기적으로 볼 때, 코로나 19 팬데믹은 비즈니스 하는 방식을 바꾸었다. 팬데믹의 영향력은 즉각적으로 나타나 정부가 대면 활동을 빠르게 줄였다. 주택 거래는 하루 만에 거의 사라지는 결과도 낳았다.

바로 주택 시장의 비즈니스 관행이 바뀐 것. 이로써 집값이 현재 주택시장에서 실제 일어나고 있는 신호를 제대로 주고 있는가 여부에 대한 판단도 어렵게 하기도 했다. 가장 큰 우려는 팬데믹으로 갑작스러운 소득 손실이 생겼다는 점이다. 정부는 다양한 지원을 통해 소득 지원에 나섰다. 도 임시적으로는 가처분 소득 수준을 지원하는 효과도 나았다.
그렇지만 이 보고서는 “우리는 수많은 가정이 임시 소득을 받고 있지만 주택 구매 활동은 장기적 수요에 기반하고 있다는 점을 알고 있다”고 전재했다.

캐나다 각 가정은 주택에 대한 결정을 할 때 자신들의 예상된 지출과 장기적 소득 수준에 기반하게 된다. 여기에는 임시적인 우발적 소득을 포함하지 않는다. 라이프사이클에는 각 가정의 장기적인 수요를 의미한다. 결과적으로 캐나다 광역 도시(CMA)에서 보여지는 소득의 다수는 임시적인 것이었다.

즉 장기적 주택 시장을 지원하지 못하는 것. 가처분 소득이 주택 구매의 근간을 형성하지만 임시 소득마저도 가처분 소득으로 분류되기 때문이다. 즉 장기적이고 영구적인 가처분 소득 수준이 과대평가된다는 것.

결과적으로 올해 2/4분기에 나왔던 과대평가(Overvaluation)에 제대로 평가되지 않았다. 비록 전국 각 가정의 가처분 소득이 높고 일부 가정에서는 장기적 주택 구매 결정을 하는 데 확신을 갖고 있지만 이 같은 확신은 팬데믹 2차 파동으로 이어질 경우 떨어질 수 있다는 것.

이 보고서는 “이 같은 이유에서 캐나다 모기지 주택공사는 여전히 주택 시장의 장기적 안정성에 우려를 갖고 있다. 특히 요즘과 같은 불확실성과 걱정의 시대에는 더욱 그렇다. 현재는 상당한 단기적 위험요소가 있다. 그렇지만 경제가 회복한다면 전통적으로 기저에 흐르는 경제 관계들이 다시 본 모습을 드러내고 주택시장평가의 가치는 회복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2,794 / 114 Page
RSS
서부 캐나다 팬데믹 ‘강력 제재’ 조치
등록자 NEWS
등록일 10.27

캐나다 서부 캐나다 팬데믹 ‘강력 제재’ 조치 코로나 19 사태가 전국적으로 뚜렷한 상승곡선을 나타내고 있다. BC주를 포함한 서부 캐나다도 예외는 아니다. 특히 BC주와 앨버타 등 서부…

선거 패배 윌킨슨 BC 자유당 대표 사퇴
등록자 NEWS
등록일 10.27

커뮤니티 선거 패배 윌킨슨 BC 자유당 대표 사퇴 BC NDP, 선거 승리…과반수 넘겨 다수당으로 BC주 스냅선거(Snap Election) 결과가 드디어 드러났다. 여전히 우편 투표 결과…

“토지 거래와 가격, 팬데믹도 거칠 것 없어”
등록자 NEWS
등록일 10.27

한국 “토지 거래와 가격, 팬데믹도 거칠 것 없어” 팬데믹이 전국을 휩쓸고 있지만 토지 거래 규모와 가격 흐름을 막지는 못하는 듯하다. 국토교통부의 최근 3분기 전국 지가 통계를 보면,…

코퀴틀람시 Lafarge의 2020년 시즌 조명 디스플레이 행사 취소
등록자 KREW
등록일 10.27

커뮤니티 코퀴틀람시는 COVID-19 건강 명령을 준수하기 위해 Lafarge의 2020 년 시즌 조명 디스플레이를 취소했습니다. 보도 자료에서시 직원은 2011 년에 시작하여 11 월부터…

캐나다 주택시장 “공간을 향한 경쟁…”
등록자
등록일 10.23

캐나다 캐나다 주택시장 “공간을 향한 경쟁…” “거래 팬데믹 수렁에서 벗어나”…2월보다 20% 늘어 억압된 수요, 낮은 이자율, 정부의 가계 소득 지원 등 “주택 재판매 시장 강세는 단기…

주택시장 ‘신규 리스팅 대비 세일즈’ 빠듯해져
등록자
등록일 10.23

캐나다 주택시장 ‘신규 리스팅 대비 세일즈’ 빠듯해져 “77.2%로 20년래 가장 높은 수준…역사적 세 번째” 전국 거래 전년비 45.6%, 평균 집값 17.5% 동반 상승 전국 주택 시…

캐나다 도매매출 “팬데믹 이전 수준 넘어”
등록자
등록일 10.23

캐나다 캐나다 도매매출 “팬데믹 이전 수준 넘어” 빌딩 자재와 서플라이, 자동차 분야 ‘주도’ 가정용품, 식음료, 담배 매출은 하락세 기록 전국적으로 소매 시장은 여전히 코로나 19 충격…

BC주 지방선거 주택 시장 캠페인 이슈는…
등록자
등록일 10.22

커뮤니티 BC주 지방선거 주택 시장 캠페인 이슈는… 정치권 전반적으로 ‘하이 마켓’, 렌트비, 노숙자 이슈 BC 녹색당, 소득 30%이상 렌트 지출 중저소득 지원 BC 자유당, 투기세를 ‘…

“캐나다 경제 근본적으로 바뀌어야 한다”
등록자
등록일 10.22

캐나다 “캐나다 경제 근본적으로 바뀌어야 한다” 캐나다인 32%, 코로나19로 불안, 우울증, 패닉 등 23%는 대출 및 카드 감당할 수 있는 것보다 빚 많아 코로나 19와 같은 팬데믹 …

캐나다 사이버 보안 사고 증가세…직원 수요 커
등록자
등록일 10.21

캐나다 캐나다 사이버 보안 사고 증가세…직원 수요 커 캐나다 전체 사업체 21% ‘경험’…소기업도 18%나 돼 팬데믹 속에서 온라인 활동이 늘어나기 마련이다. 여기에는 온라인 쇼핑 외에도…

팬데믹 후 ‘최악’ 운전자 눈에 띄게 줄어
등록자
등록일 10.21

커뮤니티 팬데믹 후 ‘최악’ 운전자 눈에 띄게 줄어 BC 운전자 좌우회전 신호 안 넣기 61% 최다 팬데믹이라고 모두가 부정적 영향만 주는 것은 아닌 듯하다. 최근 운전자들을 대상으로 조사…

스마트 무인 주차 시대 한걸음 성큼…
등록자
등록일 10.21

한국 스마트 무인 주차 시대 한걸음 성큼… 전세계적으로 다양한 IT기술이 교통분야에 시도되고 있다. 이 가운데 한국에서는 무인 로봇 주차시설을 추진중이다. 그야말로 스마트 무인 주차. …

캐나다 누적 확진자 20만 명 넘어서
등록자
등록일 10.20

캐나다 캐나다 누적 확진자 20만 명 넘어서 퀘벡 10만 명 접근중…온타리오는 6만 5천명 캐나다가 미국과의 국경 통제를 한 달 더 연장하기로 했다. 여기에는 분명 미국의 코로나 19 팬…

BC 확진자 20-29세 2600명 ‘최다’ 연령
등록자
등록일 10.20

커뮤니티 BC 확진자 20~29세 2600명 ‘최다’ 연령 주말 확진자 499명…4천명 이상 모니터링중 누적1만 1000명 이상…‘제2차 파동’ 평가도 BC주 코로나 19 확진자가 부쩍 늘…

주택 거래 작년보다 두 자릿수 늘어
등록자
등록일 10.20

한국 주택 거래 작년보다 두 자릿수 늘어 전국 주택 거래가 한 달 전보다는 늘었지만 작년 이맘때보다는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5년간 평균과 비교할 때도 조금 늘어난 수준을 보이…

BC주택시장 “잠재 수요 가을에도…”
등록자
등록일 10.16

캐나다 BC주택시장 “잠재 수요 가을에도…”(크게) 3~5월 거래 1만채 적어…6~9월은 8800채 많아 주택 거래량 1만 채 이상 전년대비 63.3% 늘어 집값 80만 불로 전년비 15…

코로나 19 주택시장평가에 미치는 영향
등록자
등록일 10.16

커뮤니티 코로나 19 주택시장평가에 미치는 영향 정부 소득 지원…“장기, 영구적 가처분소득 과대평가” “수많은 가구 임시 소득 지원…집장만은 장기적 결정” 주택 장만은 장기 플랜이다. 그렇…

캐나다 경제회복 관건은…
등록자
등록일 10.16

캐나다 캐나다 경제회복 관건은… “노동시장이 2021년말 경제 완전 회복의 열쇠” 전국 올 2/4분기 GDP -13.4% 연말 -4.4%로 회복 캐나다 경제 여건이 조금씩 나아지고 있지만…

밴쿠버, 토론토 주택착공, 일자리 창출 못 미쳐
등록자
등록일 10.15

캐나다 밴쿠버, 토론토 주택착공, 일자리 창출 못 미쳐 신규 일자리 2015~2019 연 12만…착공 2002이후 제자리 인구가 늘어나면 주택을 포함한 다양한 사회 기능이 발맞춰 증가하기…

재택근무자 비중 조금씩 ‘하락곡선’
등록자
등록일 10.15

캐나다 재택근무자 비중 조금씩 ‘하락곡선’ 전국 일자리 2.1% 증가…8월에 1.4%늘어 코로나 19 관련 노동시간 단축 -7.1% 감소 올 봄과 달리 정부의 코로나 19 사태 제약이 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