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News
분류 캐나다

밴쿠버, 토론토 주택착공, 일자리 창출 못 미쳐

작성자 정보

  • 작성자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밴쿠버, 토론토 주택착공, 일자리 창출 못 미쳐
신규 일자리 2015~2019 연 12만…착공 2002이후 제자리


인구가 늘어나면 주택을 포함한 다양한 사회 기능이 발맞춰 증가하기 마련이다. 그런데 최근 프레이저 연구소(Fraser Institute)의 조사에서는 캐나다의 대도시에서 주택이 일자리 창출 수준에 못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밴쿠버와 토론토의 경우에는 전국 인구의 25%를 차지하고 있다. 또 2015~2019년 사이 신규 일자리 창출 12만 개를 기록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 기간 동안 새롭게 착공된 신규 주택의 경우에는 연간 5만 7000건에 불과하다. 이 비중은 특히 지난 2002년 이후 크게 변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만큼 신규 주택 공급 물량이 부족하다는 의미가 된다. 이는 한편으로는 두 대도시에서 꾸준하게 벌어지고 있는 집값 상승에도 관련된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먼저 일자리를 보면, 지난 2001~2019년의 경우 토론토의 일자리 상승률은 37.7%를 기록했다. 또 전국 일자리 상승률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3.2%나 된다. 인근 오샤와의 경우에도 일자리는 41.8%나 증가했다. 하지만 이곳이 전국 일자리 상승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6%에 불과하다. 그만큼 토론토의 영향력이 크다는 점이다. 특히 2015~2019년 사이에는 토론토의 일자리 증가율이 9.9%에 불과했지만 전국 2015~2019년 사이 일자리 상승률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오히려 28.4%로 훨씬 높은 비중을 보이기도 했다.
밴쿠버도 예외는 아니다. 2001~2019년 사이 일자리 상승률은 42.1%를 기록했다. 수치로만 본다면 애버츠퍼드-미션의 일자리 상승률 40.3%로 눈부실 정도이다. 그렇지만 전국 일자리 상승률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본다면 밴쿠버는 2001~2019년 사이 10.6%를, 애버츠퍼드-미션은 0.7%로 미약하다. 그만큼 밴쿠버의 비중이 높다는 것. 2015~2019년 사이도 마찬가지다. 밴쿠버의 일자리 상승률 비중은 이 기간 13.5%를 기록했다. 전국 일자리 상승률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무려 15.8%로 더 높았다.
그렇다면 이곳 두 시장은 주택시장의 수요에는 어떻게 반응했을까? 한마디로 밴쿠버와 토론토의 주택 가격은 2010~2019년 사이 거의 두 배나 뛰었다. 이 수치는 오타와와 몬트리올 등 다른 도시에서 상승률을 훨씬 앞서는 속도다. 오타와와 몬트리올에서 집값 상승세는 밴쿠버와 토론토의 절반 수준이다. 캘거리와 에드먼턴의 경우에는 밴쿠버와 토론토의 1/8 도는 1/10 정도 수준에 불과했다.
렌트용 주택의 공실률도 관건이다. 밴쿠버와 토론토는 이미 2010년대부터 낮은 수준을 보였다. 2%에서 1% 수준이다. 그만큼 렌트용 주택이 부족하다는 의미. 이 보고서는 “빠른 주택 가격 상승과 렌트 공실률의 하락은 이곳 두 대도시에서 지난 10년 동안 주택 수요 상승세를 제대로 반영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평가했다.
특히 이곳 두 대도시의 주택 공급 측면을 보면, 밴쿠버(Vancouver CMA)의 경우 지난 2010~2014년 사이 연간 공급량이 1만 8000건, 2015~2019년에는 연간 2만 5000건으로 늘었다. 특히 토론토의 증가세도 앞섰다. 그렇지만 일자리 창출 속도는 더욱 드라마틱했다. 즉 이미 빠듯한 렌트 공실률까지 고려할 때 주택 가격의 빠른 상승세로 연결된 것이다. 최근 캐나다의 일자리 상승 속도는 비교적 큰 상승곡선을 그리지 않고 있다. 평균 상승률이 연간 15만 2000건이다. 또 주택 착공도 연간 14만 8000건으로 비교적 제자리 걸음을 하고 있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2,794 / 114 Page
RSS
서부 캐나다 팬데믹 ‘강력 제재’ 조치
등록자 NEWS
등록일 10.27

캐나다 서부 캐나다 팬데믹 ‘강력 제재’ 조치 코로나 19 사태가 전국적으로 뚜렷한 상승곡선을 나타내고 있다. BC주를 포함한 서부 캐나다도 예외는 아니다. 특히 BC주와 앨버타 등 서부…

선거 패배 윌킨슨 BC 자유당 대표 사퇴
등록자 NEWS
등록일 10.27

커뮤니티 선거 패배 윌킨슨 BC 자유당 대표 사퇴 BC NDP, 선거 승리…과반수 넘겨 다수당으로 BC주 스냅선거(Snap Election) 결과가 드디어 드러났다. 여전히 우편 투표 결과…

“토지 거래와 가격, 팬데믹도 거칠 것 없어”
등록자 NEWS
등록일 10.27

한국 “토지 거래와 가격, 팬데믹도 거칠 것 없어” 팬데믹이 전국을 휩쓸고 있지만 토지 거래 규모와 가격 흐름을 막지는 못하는 듯하다. 국토교통부의 최근 3분기 전국 지가 통계를 보면,…

코퀴틀람시 Lafarge의 2020년 시즌 조명 디스플레이 행사 취소
등록자 KREW
등록일 10.27

커뮤니티 코퀴틀람시는 COVID-19 건강 명령을 준수하기 위해 Lafarge의 2020 년 시즌 조명 디스플레이를 취소했습니다. 보도 자료에서시 직원은 2011 년에 시작하여 11 월부터…

캐나다 주택시장 “공간을 향한 경쟁…”
등록자
등록일 10.23

캐나다 캐나다 주택시장 “공간을 향한 경쟁…” “거래 팬데믹 수렁에서 벗어나”…2월보다 20% 늘어 억압된 수요, 낮은 이자율, 정부의 가계 소득 지원 등 “주택 재판매 시장 강세는 단기…

주택시장 ‘신규 리스팅 대비 세일즈’ 빠듯해져
등록자
등록일 10.23

캐나다 주택시장 ‘신규 리스팅 대비 세일즈’ 빠듯해져 “77.2%로 20년래 가장 높은 수준…역사적 세 번째” 전국 거래 전년비 45.6%, 평균 집값 17.5% 동반 상승 전국 주택 시…

캐나다 도매매출 “팬데믹 이전 수준 넘어”
등록자
등록일 10.23

캐나다 캐나다 도매매출 “팬데믹 이전 수준 넘어” 빌딩 자재와 서플라이, 자동차 분야 ‘주도’ 가정용품, 식음료, 담배 매출은 하락세 기록 전국적으로 소매 시장은 여전히 코로나 19 충격…

BC주 지방선거 주택 시장 캠페인 이슈는…
등록자
등록일 10.22

커뮤니티 BC주 지방선거 주택 시장 캠페인 이슈는… 정치권 전반적으로 ‘하이 마켓’, 렌트비, 노숙자 이슈 BC 녹색당, 소득 30%이상 렌트 지출 중저소득 지원 BC 자유당, 투기세를 ‘…

“캐나다 경제 근본적으로 바뀌어야 한다”
등록자
등록일 10.22

캐나다 “캐나다 경제 근본적으로 바뀌어야 한다” 캐나다인 32%, 코로나19로 불안, 우울증, 패닉 등 23%는 대출 및 카드 감당할 수 있는 것보다 빚 많아 코로나 19와 같은 팬데믹 …

캐나다 사이버 보안 사고 증가세…직원 수요 커
등록자
등록일 10.21

캐나다 캐나다 사이버 보안 사고 증가세…직원 수요 커 캐나다 전체 사업체 21% ‘경험’…소기업도 18%나 돼 팬데믹 속에서 온라인 활동이 늘어나기 마련이다. 여기에는 온라인 쇼핑 외에도…

팬데믹 후 ‘최악’ 운전자 눈에 띄게 줄어
등록자
등록일 10.21

커뮤니티 팬데믹 후 ‘최악’ 운전자 눈에 띄게 줄어 BC 운전자 좌우회전 신호 안 넣기 61% 최다 팬데믹이라고 모두가 부정적 영향만 주는 것은 아닌 듯하다. 최근 운전자들을 대상으로 조사…

스마트 무인 주차 시대 한걸음 성큼…
등록자
등록일 10.21

한국 스마트 무인 주차 시대 한걸음 성큼… 전세계적으로 다양한 IT기술이 교통분야에 시도되고 있다. 이 가운데 한국에서는 무인 로봇 주차시설을 추진중이다. 그야말로 스마트 무인 주차. …

캐나다 누적 확진자 20만 명 넘어서
등록자
등록일 10.20

캐나다 캐나다 누적 확진자 20만 명 넘어서 퀘벡 10만 명 접근중…온타리오는 6만 5천명 캐나다가 미국과의 국경 통제를 한 달 더 연장하기로 했다. 여기에는 분명 미국의 코로나 19 팬…

BC 확진자 20-29세 2600명 ‘최다’ 연령
등록자
등록일 10.20

커뮤니티 BC 확진자 20~29세 2600명 ‘최다’ 연령 주말 확진자 499명…4천명 이상 모니터링중 누적1만 1000명 이상…‘제2차 파동’ 평가도 BC주 코로나 19 확진자가 부쩍 늘…

주택 거래 작년보다 두 자릿수 늘어
등록자
등록일 10.20

한국 주택 거래 작년보다 두 자릿수 늘어 전국 주택 거래가 한 달 전보다는 늘었지만 작년 이맘때보다는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5년간 평균과 비교할 때도 조금 늘어난 수준을 보이…

BC주택시장 “잠재 수요 가을에도…”
등록자
등록일 10.16

캐나다 BC주택시장 “잠재 수요 가을에도…”(크게) 3~5월 거래 1만채 적어…6~9월은 8800채 많아 주택 거래량 1만 채 이상 전년대비 63.3% 늘어 집값 80만 불로 전년비 15…

코로나 19 주택시장평가에 미치는 영향
등록자
등록일 10.16

커뮤니티 코로나 19 주택시장평가에 미치는 영향 정부 소득 지원…“장기, 영구적 가처분소득 과대평가” “수많은 가구 임시 소득 지원…집장만은 장기적 결정” 주택 장만은 장기 플랜이다. 그렇…

캐나다 경제회복 관건은…
등록자
등록일 10.16

캐나다 캐나다 경제회복 관건은… “노동시장이 2021년말 경제 완전 회복의 열쇠” 전국 올 2/4분기 GDP -13.4% 연말 -4.4%로 회복 캐나다 경제 여건이 조금씩 나아지고 있지만…

밴쿠버, 토론토 주택착공, 일자리 창출 못 미쳐
등록자
등록일 10.15

캐나다 밴쿠버, 토론토 주택착공, 일자리 창출 못 미쳐 신규 일자리 2015~2019 연 12만…착공 2002이후 제자리 인구가 늘어나면 주택을 포함한 다양한 사회 기능이 발맞춰 증가하기…

재택근무자 비중 조금씩 ‘하락곡선’
등록자
등록일 10.15

캐나다 재택근무자 비중 조금씩 ‘하락곡선’ 전국 일자리 2.1% 증가…8월에 1.4%늘어 코로나 19 관련 노동시간 단축 -7.1% 감소 올 봄과 달리 정부의 코로나 19 사태 제약이 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