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News
분류 부동산

작년 주택 매매량 전년대비 34% 감소

작성자 정보

  • 작성자 NEWS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주택 매매 여전히 찬바람

작년 주택 매매량이 금리 인상과 경제 불확실성의 여파로 전년대비 크게 감소했다.

광역밴쿠버부동산협회는 지난 2022년 주택 매매 건수가 전년 대비 34% 감소한 2만8,903건으로 집계됐다고 4일 밝혔다. 이는 2020년 거래된 3만944건보다 6.6% 적은 것이다.

지난 2022년 매물로 등록된 주택 수는 2022년 5만3,865건으로 전년도 6만265건과 비교해 13.5% 적었다. 12월 현재 기준 매물로 등록된 주택 수는 7,384채로 전년도 같은 월과 비교해 41% 증가했다.

광역 밴쿠버의 주택 가격 지수는 현재 111만4,300달러다. 이는 지난 2021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3.3% 감소한 결과다.

협회의 앤드류 리즈 분석가는 “지난해 중앙은행의 금리 조정 발표 8회 가운데 7회가 기준 금리 인상과 관련 된 것”이라면서 “이 같은 결정은 주택 매매 활동에 대한 하향 압력으로 작용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소비자물가가 빠르게 개선될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어 고금리가 오랫동안 유지될 수 있다”면서 “주택 매입과 매수자가 2023년 봄에 이런 고금리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지 시장을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12월 동안 팔린 주택은 총 1,295채로 전년과 비교해 52% 감소했다. 전월과 비교해도 19.8%고 줄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2022년 12월 단독 주택 판매는 371건으로 2021년 12월에 기록된 794건의 단독 주택 판매보다 53.3% 감소했다. 단독 주택의 벤치마크 기준 가격은 182만3,300달러다.

아파트 주택 판매는 702건으로 2021년 12월 1,464건과 비교해 절반으로 줄었다. 아파트 벤치마크 기준 가격은 71만3,700달러로 전년과 비교해서는 1.7% 상승했다.

타운홈판매는 총 판매는 총 222채였으며, 벤치마크 기준 가격은 전년과 비교해 0.2% 감소한 101만2,700달러를 기록했다.

12월 매물 대비 판매 비율은 17.5%로 유지됐다. 유형별로는 단독주택이 가장 낮은 12.3%를 기록했으며, 타운홈(19.5%), 아파트(21.7%)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매물 대비 판매 비율이 12% 미만으로 유지될 때 주택 가격 하락 압력이 발생한다고 평가한다. 반대로 20%를 넘어설 때는 상승 압력이 발생한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2,791 / 39 Page
RSS
심사 대기자만 4만 명… “여권 받는데 6개월 걸렸어요”
등록자 NEWS
등록일 01.10

캐나다 인프라 확대로 수속 건수 늘었지만 적체 여전 “7월에 우편을 통해 여권 신청했는데, 1월에야 받았네요.” 지난해 7월 중순 자녀의 여권을 신청한 한인 A씨는 6개월여를 기다린 끝에…

프레이저밸리 부동산 시장 “고점, 저점, 그리고 균형”
등록자 NEWS
등록일 01.09

부동산 전년 고점 대비 큰 폭 하락… 가격 안정에 따른 수요 증가 기대 프레이저밸리 부동산협회는 5일 “지난 2021년 기록적인 판매 모멘텀을 바탕으로 2022년 초 가격이 최고조에 달했…

캐나다 정부, 멕시코 여행 자제 당부
등록자 NEWS
등록일 01.09

캐나다 캐나다 정부는 7일 멕시코 여행 자제를 권고했다. 정부에 따르면 최근 멕시코 마약왕 엘차포의 아들인 오비디오 구스만의 체포과정에서 멕시코 군이 사망하고 치안 상황이 악화되고 있는 …

불황 모르는 월세 시장… 전년 대비 수직 상승
등록자 NEWS
등록일 01.08

부동산 메트로 밴쿠버 월세 1년 동안 430달러 올랐다 내릴 기미가 안 보인다. 메트로 밴쿠버의 부동산 임대 시장이 여전히 고공 행진을 지속하는 분위기다. 코로나 팬데믹 이후 가파른 상승…

물가상승 벼랑 끝에 선 이들… 지난해 개인 파산 16% 늘어
등록자 NEWS
등록일 01.08

경제 “파산 신청 전 재무 전문가와 만나 조언 얻어야” 물가 상승과 경기 침체로 캐나다인들이 대출금을 갚을 여력조차 없어 파산을 선택하고 있다. 6일 캐나다 파산 및 구조조정 전문가협회…

BC 부동산 시장, 올해 회복 전망 없다
등록자 NEWS
등록일 01.07

부동산 2024년 금리 회복하면서 시장 회복 이민 통한 인구 유입이 시장 성장 주도 지난해 금리 인상으로 시작된 주택 시장 침체가 올해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됐다. 센트럴1(Central1…

여행 다녀오니 내 집이 다른 사람 소유?
등록자 NEWS
등록일 01.07

부동산 경찰, 남의 집 팔아치운 사기범 검거 주인이 여행으로 집을 비운 사이에 주인을 사칭해 집을 판매한 사기범들이 경찰에 붙잡혔다. 부동산 중개인 조차도 이 사기범들에 깜빡 속아 주택 …

BC주정부 생활 지원금 제공
등록자 NEWS
등록일 01.06

캐나다 6일 지급 시작… 성인 1인당 164달러, 자녀 41달러 BC주정부가 생활 지원금을 제공한다. BC주 재무부는 5일 앞서 발표한 생활지원금(Affordability Credit)이…

캐나다 12월 실업률 5.0%…일자리 10만개 늘어
등록자 NEWS
등록일 01.06

경제 전문가 예상 20배 이상 증가해 지난달 캐나다의 일자리가 10만4,000개 늘어 실업률이5.0%를 기록했다. 실업률은 4개월 만에 3번 하락했으며, 역대 최저치인 4.9%에 근접했…

작년 주택 매매량 전년대비 34% 감소
등록자 NEWS
등록일 01.05

부동산 주택 매매 여전히 찬바람 작년 주택 매매량이 금리 인상과 경제 불확실성의 여파로 전년대비 크게 감소했다. 광역밴쿠버부동산협회는 지난 2022년 주택 매매 건수가 전년 대비 34% …

"개주인이 똥을 안치워요" 올해의 황당한 응급전화
등록자 NEWS
등록일 01.05

캐나다 BC주 응급센터 10대 엉터리 전화 선정 BC주의 911 응급전화 센터가 지난해 접수한 응급전화 중 10대 엉터리 사례를 선정, 눈길을 끌었다. 5일 CBC방송에 따르면 BC주 응…

“집값 하락하는데” BC주 주택 공시가 평균 12% 상승
등록자 NEWS
등록일 01.04

부동산 지난해 7월 기준 평가… “내년도에는 공시가 하락 예상” 금리 인상 등의 여파로 전국 주택 가격이 하락을 기록 중인 가운데 BC주의 주택 공시가는 크게 올랐다. BC감정원(BC A…

BC주서 주택 구매 시 3일 ‘냉각 기간’
등록자 NEWS
등록일 01.04

부동산 전국 최초 부동산 구매자 보호 법적 근거 마련 BC주정부가 부동산 구매자를 적극적으로 보호하는 법적 근거를 마련해 시행에 들어갔다. 주정부에 따르면 3일부터 구매자가 부동산 입찰(…

“출근 43분 만에” 직장인 연봉 만큼 버는 CEO
등록자 NEWS
등록일 01.03

경제 100대 CEO 평균 수입은 일반 근로자의 243배 새해 첫 출근일이 반나절도 지나기 전에 캐나다 최고경영자(CEO) 연봉 상위 100인의 평균 수입이 일반 사원의 1년치 평균을 …

지난해 신규 이민자 43만1645명
등록자 NEWS
등록일 01.03

이민 4년 내 50만 명 돌파 목표 지난해 캐나다의 신규 이민자가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3일 캐나다 연방 이민부가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신규 이민자 수는 총 43만1,645명…

BC주서 올해 가장 비싼 단독주택 어디?
등록자 NEWS
등록일 01.02

부동산 룰루레몬 창업자 저택… 7400만달러 BC주에서 가장 비싼 단독 주택은 칩 윌슨 룰루레몬 설립자의 저택으로 가격이 7,400만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일 BC감정원에 따…

캐나다 새해 결심 2위는 재정 문제 해결… 1위는?
등록자 NEWS
등록일 01.02

경제 캐나다인들 대다수가 새해 결심에 있어 건강과 재정을 가장 중요한 주제로 꼽았다. 1일 여론조사기관인 입소스가 캐나다 성인 1,004명을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에서 응답자 중 41%는…

“식당서 팁 얼마가 적당?” 캐나다인에 물었더니
등록자 NEWS
등록일 01.01

비즈니스 식당 붐비는 상황에 따라 변화… 테이크 아웃은 대부분 ‘노 팁’ 캐나다에서 생활할 때 가장 많이 부닥치는 사소한 문제는 팁(tip)이다. 특히 외식을 할 때마다 팁을 줘야 하는 상…

밴쿠버 종이봉투 가격 인상
등록자 NEWS
등록일 01.01

캐나다 최소 수수료 15센트에서 25센트로 밴쿠버 시가 올해부터 종이 봉투에 대한 최소 요금을 인상한다. 수수료 인상은 시가 20240년까지 제로 폐기물 목표 달성을 위한 정책의 일환이다…

캐나다인 새해 목표는 “빚 갚는 것”
등록자 NEWS
등록일 12.31

경제 부채를 상환 하는 것이 2023년으로 향하는 캐나다인의 가장 공통적인 재정 목표인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기관 CIBC가 최근 재정적 우선 순위를 설문 조사한 결과, 캐나다인의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