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News
분류 캐나다

“어릴 때 이민할수록 대학진학, 임금수준 높아”

작성자 정보

  • 작성자 부동산밴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어릴 때 이민할수록 대학진학, 임금수준 높아”
대학 진학 비중 70% 이상…임금도 두 자릿수 이상 높아

이민 1세대에게 자녀의 성공만큼 소중한 게 없다고 한다면 캐나다 이민자들은 긍정적 평가를 받을 수 밖에 없는 듯하다. 부모를 따라 해외로 나온 자녀들은 교육이나, 사회 진출 이후 삶에서도 후한 점수를 받고 있었다.

이 같은 결과는 통계청이 최근 발표한 이민자들의 사회경제적 성과라는 보고서에서 나타나고 있다. 한마디로 부모를 따라 어릴 때 캐나다로 이민 온 자녀들은 동세대 캐나다 출생자들과 비교할 때 교육이나 임금 측면에서 좋은 성과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어린 이민자들은 성장 후 대학 수준 교육을 받는 비중이 전반적 캐나다 인구보다 높았다. 특히 15세 이전에 이민한 경우에는 더욱 두드러진 결과를 보였다. 해당 자료는 지난 2019년도에 나온 18~30세 성인의 세금 보고 자료를 토대로 하고 있다. 어릴 때 이민을 온 자녀가 20세가 될 때 70.3%는 대학 수준 교육에 참여하고 있었다.

전반적 캐나다인 평균 58.9%와 비교할 때 훨씬 높은 수준이다. 어린 이민자들이 나이가 25세가 됐을 때를 기준으로 한다면 대학 교육 참가 비중은 32.7%로 여전히 캐나다 전반적 인구 평균 26.6%보다 높았다.

그렇지만 이민자들의 연령대가 높을수록 대학 진학 비율은 낮았다. 예를 들어 5세 이전 캐나다에 이민 온 20세의 76.7%는 대학 교육을 받고 있었다. 그렇지만 어린 이민자들의 나이가 5~9세라면 그 비중은 71.4%로, 10~14세라면 63.8%로 점점 더 낮아진다. 여기에는 물론 학문적 준비에 관련되는 지식과 공식 언어 능력도 요소로 작용하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덧붙여 어린 이민자들이 성장 후 대학 교육을 받는 것은 이민 1세대 부모의 사회경제적 특성에도 관련된다. 결과적으로 경제 이민 그룹 가정의 어린 자녀들을 보면, 20세대 대학 과정을 밟는 비중이 75.4%로 좀더 높았다. 스폰서 가정의 자녀에서는 60.7%를 기록, 전반적 캐나다 평균 58.9%보다는 높았지만 경제 이민 그룹보다는 낮았다. 난민 그룹의 경우에는 53.9%로 이민자 그룹 중에서도 가장 낮았다.

이민 자녀가 성인이 된 후 20대 중반 임금 수준도 동세대 캐나다 평균을 웃돌고 있다. 그러나 어린 이민자들이 20세가 됐을 때 중간 임금은 1만 900달러로 전반적 캐나다 평균 1만 2900달러보다 낮았다. 이는 이민자들 자녀의 대학 진학률이 높은 것과 관련된다. 이민 자녀는 70.3%로 캐나다 인구 평균 58.9%보다 높았다.

그런데 이민자녀가 25세가 됐을 때 중간 소득은 연 3만 1500달러를 기록, 캐나다 평균 3만 290달러보다 높았다. 즉 경제 이민 그룹 가정 자녀의 경우에는 25세를 기준으로 한 중간 임금이 3만 3700달러로 캐나다인 전반적 평균 3만 290달러보다 11.3%나 높았다. 스폰서 이민 그룹은 연간 2만 9800달러, 난민 이민 그룹은 2만 7000달러 등이다.

이민 자녀가 30세가 됐을 때 경제 이민 그룹 가정 자녀의 경우는 중간 소득이 5만 5500달러로 캐나다 평균 4만 2940달러보다 무려 29.3%나 더 높았다. 난민 그룹의 경우에는 4만 3200달러, 스폰서 그룹은 4만 1000달러이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2,791 / 73 Page
RSS
밴쿠버 신규 주택 값 2017년 이후 최대
등록자 NEWS
등록일 02.25

부동산 밴쿠버 신규 주택 값 2017년 이후 최대 전국, 신규 주택, 건축비 상승, 공급 부족에 ‘상향’ 신규 집값, 전년대비 11.8% 올라…”전반적 현상” 캐나다에서 신규 주택시장은 …

고령자 혜택 연령 기준 올려야 할까…
등록자 NEWS
등록일 02.25

캐나다 고령화 사회 캐나다 고령자 혜택 연령 기준 올려야 할까… 22개 OECD국가중 16곳 인상 등…캐나다 제외 다양한 복지혜택으로 정평이 난 캐나다. 다른 이면에는 비용, 즉 세금부담…

캐나다 소매매출 ‘주춤’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02.25

캐나다 캐나다 소매매출 ‘주춤’ 의류, 액세서리, 가구, 주택 관련 소매점포에서 전국적으로 소매매출이 조금 주춤한 시기였다. 소매매출 가운데에서도 식음료 부분도 한차례 출렁거린 것으로 평…

캐나다 주택 시장 “더욱 닮은 꼴로 변해…”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02.25

캐나다 캐나다 주택 시장 “더욱 닮은 꼴로 변해…” RBC이코노믹스, “전국적으로 셀러가 시장 이끌어” 요즘 캐나다 부동산 시장은 많은 측면에서 공통점이 더욱 두드러지는 시즌이다. 사실 …

BC주 ‘2022년 예산안’ 대량 투자 전망
등록자 NEWS
등록일 02.24

커뮤니티 BC주 ‘2022년 예산안’ 대량 투자 전망 도로, 지하철, 교육 및 의료 관련 건물 등지에 주 정부가 새로운 예산안을 내놓았다. 향후 3년 동안 사회간접자본에 역대급 대량 투자를…

지속적 물가상승…식생활 질적 저하 우려
등록자 NEWS
등록일 02.24

캐나다 지속적 물가상승…식생활 질적 저하 우려 캐나다인 절반, 저렴한 브랜드 교체…35% 육류 줄여 지속된 소비자 물가 인상이 쇼핑 패턴마저 바꿔나가고 있다. 물가 상승률에 큰 변화가 없…

청소년 한부모 포함 ‘한부모’ 가정 늘어
등록자 NEWS
등록일 02.24

한국 청소년 한부모 포함 ‘한부모’ 가정 늘어 사회가 커질수록 다양한 가정형태가 생겨나기 마련이다. ‘1인, 나홀로 가구’도 이 같은 형태. 그런데 결혼 후 이혼과 사별 등 다양한 이유…

BC 학부모 ‘주택 스트레스’로 “잠 못 드는 밤”
등록자 NEWS
등록일 02.23

부동산 BC 학부모 ‘주택 스트레스’로 “잠 못 드는 밤” ”저축도 어렵다” 토로…가족, 직장 관련 걱정은 줄어 BC주는 전국에서 가장 집값이 비싼 곳이다. 그런데 공교롭게도 해당 지역 …

밴쿠버 경찰청, 여성 2명 살인 사건 조사중
등록자 NEWS
등록일 02.23

커뮤니티 밴쿠버 경찰청, 여성 2명 살인 사건 조사중 폭력범죄 2020년 팬데믹중 감소 후 2021년 다시 늘어 새해가 시작된 지 얼마 되지 않은 최근 벌써부터 강력 사건들이 곳곳에서 발생…

인구 38% 고령자인 ‘초고령화 사회’ 진입…
등록자 NEWS
등록일 02.23

한국 인구 38% 고령자인 ‘초고령화 사회’ 진입… 글로벌 대도시에서 고령화 현상이 빠르게 일어나고 있다. 서울도 예외는 아니다. 특히 최근 한 조사에서 서울에서는 인구의 38% 이상이…

캐나다 물가 5% 진입 ‘고공행진’…주택, 식품 ‘타격’
등록자 NEWS
등록일 02.18

캐나다 캐나다 물가 5% 진입 ‘고공행진’…주택, 식품 ‘타격’ 에너지 제외해도 전년비 무려 4.3% 증가…1999년 이후 최대 주거비용은 1990년대 이후 가장 빠른 속도…전년비 6.2…

캐나다 3년간 이민자 130만 명 유치 목표
등록자 NEWS
등록일 02.18

캐나다 캐나다 3년간 이민자 130만 명 유치 목표 2024년까지 연간 40만 명 이상…경제 이민 60% 최다 연방 정부가 새 이민자 유입 정책을 발표했다. 여기에서는 지난 이민 정책이 …

캐나다인 은퇴비용 12% 증가…’준비성’ 하락
등록자 NEWS
등록일 02.18

캐나다 캐나다인 은퇴비용 12% 증가…’준비성’ 하락 역시 인플레이션의 힘은 큰 듯하다. 오죽하면 은퇴를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금액마저 두 자릿수나 늘어났다. 동시에 ‘은퇴 준비’에 …

BC주택시장 “균형회복에 시간 걸릴 듯”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02.18

커뮤니티 BC주택시장 “균형회복에 시간 걸릴 듯” “빠듯한 시장 여건 계속”…거래활동 ‘강세’, 인벤토리 부족 액티브 리스팅 1만 3천 개…”4만 개 리스팅 필요한 상황” “BC주택 시장에…

캐나다 경제의 역설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02.18

캐나다 캐나다 경제의 역설 경제 하락(-5.2%) 속 주택 투자는 오히려 ‘두각’ 임금 -1.2% 줄어도 가계 저축은 전국적 늘어나 전국적으로 지난해의 실질적 경제 성장률이 집계됐다. 예…

캐나다 리조트 타운이 ‘연중 주택’ 변신중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02.18

캐나다 캐나다 리조트 타운이 ‘연중 주택’ 변신중 BC주의 스콰미시, 킬로나, 칠리왁 등…”소도시 라이프로” 대도시 거주민 팬데믹전 10명 중 9명…현재 4명 중 3명 캐나다에서 팬데믹이…

BC주 규제 완화…실내 마스크는 유지
등록자 NEWS
등록일 02.17

커뮤니티 BC주 규제 완화…실내 마스크는 유지 식당, 술집 테이블 제한없어져…스포츠 이벤트 100% 국경 입국 완화…백신 접종자 PCR 또는 속성 테스트로 BC주가 팬데믹 일부 규제를 완화…

BC주민, ‘이민’에 대한 긍정적 평가도 낮아
등록자 NEWS
등록일 02.17

커뮤니티 BC주민, ‘이민’에 대한 긍정적 평가도 낮아 전국 평균 54%...BC주는 51% 불과, 온타리오 58%로 최대 최근 밴쿠버를 포함, 전국적으로 인종혐오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

중고시장 등 ‘재사용 경제’ 참여 커져
등록자 NEWS
등록일 02.17

한국 중고시장 등 ‘재사용 경제’ 참여 커져 “자원은 무한하지 않다.” 세계 각국마다 다양한 정책을 통한 ‘자원 순환’에 나서는 이유다. 이 가운데 서울연구원의 보도에 따르면 주민 절반…

빠르면 3월중 ICBC 보험 온라인 갱신
등록자 NEWS
등록일 02.16

커뮤니티 빠르면 3월중 ICBC 보험 온라인 갱신 공식 도입 5월 1일…3월 17일부터 가능토록 드디어 ICBC가 온라인 보험 갱신을 시도한다. 오는 5월부터 시작될 전망이지만 아직까지 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