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News
분류 한국

운전중 스마트폰 사용 해마다 늘어

작성자 정보

  • 작성자 NEWS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운전중 스마트폰 사용 해마다 늘어


지속적인 계도와 경찰 단속에도 불구, 운전중 스마트폰 사용은 더욱 늘어나는 것으로 분석됐다.
국토교통부는 한국교통안전공단과 함께 ‘2021년 교통문화지수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해당 점수는 80.87점으로 지난해(78.94점)보다 1.93점(2.4%) 상승하여 우리 국민들의 교통문화 수준이 꾸준히 향상되고 있다는 것. 여기에서는 매년 전국 229개 시•군•구(인구 30만 이상 시, 인구 30만 미만 시, 군 및 구 4개 그룹) 대상, 운전행태•보행행태•교통안전 항목에 대한 지표를 평가(관측•설문•문헌조사)하여 지수화하고 있다.
하지만 운전 중 스마트기기 사용 여부와 운전자•보행자의 신호 준수율 등 일부 지표는 지속적인 계도•단속을 통해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항목별 결과를 보면, 최근 5년간 운전•보행행태 조사 항목별 교통문화지수는 대체로 상승 추세를 보이며 20211년 세부항목별 조사결과는 아래 그래프와 같다.
항목별 조사결과를 살펴보면, 이륜차 교통법규 단속 강화와 안전속도 5030 정책 시행에 따라 이륜차 안전모 착용률(84.95%→90.65%→92.84%)과 규정 속도 위반 여부(47.96%→45.09%→39.56%)는 최근 3년간 꾸준히 개선되었으며, 보행자의 무단횡단 여부(30.64%)도 전년 대비 4.6%p 감소하여 다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운전자의 스마트기기 사용 여부(42.33%)는 전년 대비 6.4%p 높아져 운전 중 스마트기기 사용의 사고 위험에 대한 지속적인 홍보 및 단속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운전자 신호 준수율(96.39%→96.06%→95.88%)과 운전 중 스마트기기 사용률(35.50%→35.92%→42.33%)은 최근 3년 연속 나빠져 교통안전 의식 개선이 절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안전띠 착용률(84.85%)은 전년 대비(84.83%) 소폭 상승했으나, ‘18. 9월 전좌석 안전띠 착용 의무화 시행에도 불구하고 뒷좌석 착용률(32.43%)은 전년 대비(37.20%) 4.77%p 감소하여, 안전띠 착용에 대한 계도•단속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것으로 보인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2,783 / 73 Page
RSS
밴쿠버 경찰청, 여성 2명 살인 사건 조사중
등록자 NEWS
등록일 02.23

커뮤니티 밴쿠버 경찰청, 여성 2명 살인 사건 조사중 폭력범죄 2020년 팬데믹중 감소 후 2021년 다시 늘어 새해가 시작된 지 얼마 되지 않은 최근 벌써부터 강력 사건들이 곳곳에서 발생…

인구 38% 고령자인 ‘초고령화 사회’ 진입…
등록자 NEWS
등록일 02.23

한국 인구 38% 고령자인 ‘초고령화 사회’ 진입… 글로벌 대도시에서 고령화 현상이 빠르게 일어나고 있다. 서울도 예외는 아니다. 특히 최근 한 조사에서 서울에서는 인구의 38% 이상이…

캐나다 물가 5% 진입 ‘고공행진’…주택, 식품 ‘타격’
등록자 NEWS
등록일 02.18

캐나다 캐나다 물가 5% 진입 ‘고공행진’…주택, 식품 ‘타격’ 에너지 제외해도 전년비 무려 4.3% 증가…1999년 이후 최대 주거비용은 1990년대 이후 가장 빠른 속도…전년비 6.2…

캐나다 3년간 이민자 130만 명 유치 목표
등록자 NEWS
등록일 02.18

캐나다 캐나다 3년간 이민자 130만 명 유치 목표 2024년까지 연간 40만 명 이상…경제 이민 60% 최다 연방 정부가 새 이민자 유입 정책을 발표했다. 여기에서는 지난 이민 정책이 …

캐나다인 은퇴비용 12% 증가…’준비성’ 하락
등록자 NEWS
등록일 02.18

캐나다 캐나다인 은퇴비용 12% 증가…’준비성’ 하락 역시 인플레이션의 힘은 큰 듯하다. 오죽하면 은퇴를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금액마저 두 자릿수나 늘어났다. 동시에 ‘은퇴 준비’에 …

BC주택시장 “균형회복에 시간 걸릴 듯”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02.18

커뮤니티 BC주택시장 “균형회복에 시간 걸릴 듯” “빠듯한 시장 여건 계속”…거래활동 ‘강세’, 인벤토리 부족 액티브 리스팅 1만 3천 개…”4만 개 리스팅 필요한 상황” “BC주택 시장에…

캐나다 경제의 역설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02.18

캐나다 캐나다 경제의 역설 경제 하락(-5.2%) 속 주택 투자는 오히려 ‘두각’ 임금 -1.2% 줄어도 가계 저축은 전국적 늘어나 전국적으로 지난해의 실질적 경제 성장률이 집계됐다. 예…

캐나다 리조트 타운이 ‘연중 주택’ 변신중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02.18

캐나다 캐나다 리조트 타운이 ‘연중 주택’ 변신중 BC주의 스콰미시, 킬로나, 칠리왁 등…”소도시 라이프로” 대도시 거주민 팬데믹전 10명 중 9명…현재 4명 중 3명 캐나다에서 팬데믹이…

BC주 규제 완화…실내 마스크는 유지
등록자 NEWS
등록일 02.17

커뮤니티 BC주 규제 완화…실내 마스크는 유지 식당, 술집 테이블 제한없어져…스포츠 이벤트 100% 국경 입국 완화…백신 접종자 PCR 또는 속성 테스트로 BC주가 팬데믹 일부 규제를 완화…

BC주민, ‘이민’에 대한 긍정적 평가도 낮아
등록자 NEWS
등록일 02.17

커뮤니티 BC주민, ‘이민’에 대한 긍정적 평가도 낮아 전국 평균 54%...BC주는 51% 불과, 온타리오 58%로 최대 최근 밴쿠버를 포함, 전국적으로 인종혐오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

중고시장 등 ‘재사용 경제’ 참여 커져
등록자 NEWS
등록일 02.17

한국 중고시장 등 ‘재사용 경제’ 참여 커져 “자원은 무한하지 않다.” 세계 각국마다 다양한 정책을 통한 ‘자원 순환’에 나서는 이유다. 이 가운데 서울연구원의 보도에 따르면 주민 절반…

빠르면 3월중 ICBC 보험 온라인 갱신
등록자 NEWS
등록일 02.16

커뮤니티 빠르면 3월중 ICBC 보험 온라인 갱신 공식 도입 5월 1일…3월 17일부터 가능토록 드디어 ICBC가 온라인 보험 갱신을 시도한다. 오는 5월부터 시작될 전망이지만 아직까지 운…

캐나다 ‘엔데믹’ 움직임…해외여행 기대도
등록자 NEWS
등록일 02.16

캐나다 캐나다 ‘엔데믹’ 움직임…해외여행 기대도 앨버타, 학교 마스크 의무화 해제 등 ‘규제 완화’ 확대 전국적으로 각종 팬데믹 규제를 완화하는 곳이 조금씩 늘어나고 있다. 이 가운데 B…

전기차 성장세 점점 가속도…
등록자 NEWS
등록일 02.16

한국 전기차 성장세 점점 가속도… 다채로운 친환경 자동차들이 시장에 쏟아져 나오고 있다. 이 가운데 전기 자동차의 성장세가 무섭도록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최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20…

캐나다 2022년 집값은…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02.15

캐나다 캐나다 2022년 집값은… 이구동성 ‘상승곡선’…셀러스 마켓은 올해도 계속돼 거래량 전년대비 13% 줄어도 역대 2위 ‘강세’ 유지 “공급 상승과 시장 냉각 대부분은 올 하반기에나…

BC, 노동시장 10년간 일자리 100만개 공백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02.11

커뮤니티 BC, 노동시장 10년간 일자리 100만개 공백 63%는 현직 노동자 은퇴 공백…37%는 새 일자리 캐나다 노동시장은 고령화에 갈수록 빈공백이 늘어갈 전망이다. 이 가운데 BC주에…

“어릴 때 이민할수록 대학진학, 임금수준 높아”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02.11

캐나다 “어릴 때 이민할수록 대학진학, 임금수준 높아” 대학 진학 비중 70% 이상…임금도 두 자릿수 이상 높아 이민 1세대에게 자녀의 성공만큼 소중한 게 없다고 한다면 캐나다 이민자들은…

연 건축비 상승 대부분은 타운홈, 단독주택에서
등록자 NEWS
등록일 02.10

부동산 연 건축비 상승 대부분은 타운홈, 단독주택에서 저층콘도 상승세는 밴쿠버, 몬트리올...단독주택은 토론토 요즘 전국적으로 주택가격 상승세가 계속되고 있다. 신규 주택도 사실상 예외가…

“노동자 임금은 2022년 하반기 급등 전망”
등록자 NEWS
등록일 02.10

캐나다 “노동자 임금은 2022년 하반기 급등 전망” 경제 반등, 물가 급상승에, 빠듯해진 노동시장 등 작용 1년간 임금 2.4% 상승불과…2020년 5.5%, 2019년 3.8% 캐나다…

캐나다 일자리 오미크론에 타격 커져
등록자 NEWS
등록일 02.10

캐나다 캐나다 일자리 오미크론에 타격 커져 젊은 층과 핵심 연령대 여성들 사이 일자리 크게 줄어 1월 기준 20만 개(-1%) 감소…실업률 6.5%로 더 늘어 신종 변이 ‘오미크론’은 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