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News
분류 부동산

물가 3 이상 널뛰기…이자율 인상 앞당기나

작성자 정보

  • 작성자 NEWS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물가 3% 이상 널뛰기…이자율 인상 앞당기나

전년대비 3.4% 올라...2011년 5월 이후 최대 수준
개스 값 무려 62% 폭등…주거비용 전년대비 3.2%


캐나다 물가 상승률이 예사롭지 않다. 곳곳에서 소비자들은 물가가 오르고 있다는 현실을 체감하고 있는 상태에서 실제 수치로도 3%를 훨씬 뛰어넘는 결과를 보이고 있다. 물가 상승률은 여기에서 그치지 않고 향후 이자율 인상까지도 연결, 주택시장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캐나다 통계청은 최근 데이터(4월)를 기준, 전국 물가지수가 한 해 전보다 무려 3.4% 올랐다고 평가했다. 식품가격이 비록 1% 미만 수준을 보이고 있다지만, 개스 값 62%를 포함, 주택 관련 비용과 가구 등이 거의 두 자릿수에 가까운 상승을 하면서 우려를 던지고 있다. 물론 지난해 이맘때 코로나 19 팬데믹이 본격화 되면서 4월 물가가 급락했다는 점도 반영해야 한다. 그렇지만 에너지 분야를 제외하더라도 소비자 물가는 여전히 작년보다 1.6% 정도 높은 수준이다. 물론 소비자 물가는 한 달 전과 비교할 때는 2.2% 상승률에 불과하다.
이 보고서는 “전년대비 소비자 물가 상승률 3.4%는 지난 2011년 5월 이후 가장 빠른 수준이다. 게다가 코로나 19 팬데믹이 아직 한창인 가운데 나온 수치이다. 가장 큰 요인은 작년 코로나 초기에 물가 급락에 있다”고 평가했다. 특히 물가는 주요 분야에서 전년대비 모두 올랐다. 교통 분야 가격은 9.4%나 상승했다. 개스 값 상승이 큰 몫을 차지한 것.
여기에서 개스 값 상승만 놓고 보면 작년과 비교할 때 무려 62.5%나 올랐다. 역대 기록적 수준이다. 그렇지만 지난해 이맘때 개스 값이 15.2% 하락했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 당시에는 여행 제한과 비즈니스 사업체들의 휴업, 국제 무역의 감소 등 다양한 요인이 작용했다. 게다가 올해 개스 값 상승은 OPEC 국가들의 생산 감축에서도 요인을 찾아볼 수 있다.
그렇지만 주거비는 꾸준하게 오르고 있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주거비는 작년대비 3.2% 올랐다. 한 달 전에는 전년대비 상승률이 2.4%였다. 홈오너들 대체비용(Homeowners’ replacement cost)은 무려 9.1%나 올랐다. 상승곡선이 끊이지 않는 셈이다. 지난 1989년 4월 이후 가장 큰 상승세가. 높은 건축 비용과 단독주택의 강한 수요가 신규 주택에 대한 가격 상승으로 작용하고 있다. 요즘에는 목재(Lumber) 가격 상승마저 국내외에서 이슈가 되는 수준이다. 로컬 시장에서는 각종 건설현장에서 목재 도난 사고까지 발생하고 있다.
소비자들은 특히 의류와 신발류에도 이전보다 많은 비용을 지출하고 있다. 의류비와 신발류는 전년대비 1.8% 올랐다. 지난 2020년 3월 이후 첫 상승세다. 반면 식품 가격은 4월 0.9% 상승률로 3월의 1.8%보다도 낮은 증가세를 보였다. 신선채소의 -7.2% 하락세가 크게 기여했다. 토마토 가격이 작년보다 29.8%나 하락한 것.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2,801 / 97 Page
RSS
“세금 상승속도 소득 증가보다 더 빨라”
등록자 NEWS
등록일 05.27

캐나다 “세금 상승속도 소득 증가보다 더 빨라” 캐나다인 세금 해방일 5월 24일로…7일 더 늦어 캐나다 이민자들이 정착하면서 가장 놀라는 부분이 바로 세금이다. 한국보다 훨씬 세금의 비…

“모기지 대출 더 까다로워 질 듯”…6월부터
등록자 NEWS
등록일 05.26

캐나다 “모기지 대출 더 까다로워 질 듯”…6월부터 OSFI, 미보험 모기지에 최소자격요율 5.25% 등 드디어 정부가 치솟는 주택 시장을 겨냥하고 나섰다. 새로운 규정을 6월부터 적용,…

밀레니엄 세대도 돈 걱정에 “잠 못 자”
등록자 NEWS
등록일 05.26

캐나다 밀레니엄 세대도 돈 걱정에 “잠 못 자” 캐나다인 수면 방해 큰 요인은 ‘돈과 건강’ 캐나다인의 잠 못 이루는 밤에는 ‘돈과 건강(Money and Health)’ 가장 큰 요인으…

“불법 건축물 꼼짝마라”…항공사진 단속
등록자 NEWS
등록일 05.26

한국 “불법 건축물 꼼짝마라”…항공사진 단속 항공사진 기술이 갈수록 개선되고 있다. 신기술의 해상도와 정밀도는 이제 불법 건축물을 포착할 수 있을 수준이다. 게다가 고행상도 항공사진으로…

BC 식당, 7월 전면 오픈...4단계 재가동 플랜
등록자 NEWS
등록일 05.25

커뮤니티 BC경제 4단계 재가동 식당, 7월 전면 오픈 긴급조치도 해제…”7월중 마스크도 벗는다” 캐나다 국내 여행 및 실내외 모임도 자유롭게 백신접종 70% 이상, 확진자, 환자 추이 변…

BC주, 6월중에는 백신접종 80 가능…
등록자 NEWS
등록일 05.25

캐나다 BC주, 6월중에는 백신접종 80% 가능… 매니토바 제3파동 악화…1인당 233명 확진 ‘최다’ BC주 코로나19 사태가 전국적 기준에서도 크게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6…

부모 양육포기 어린이 왜 생길까…
등록자 NEWS
등록일 05.25

한국 부모 양육포기 어린이 왜 생길까… 보호대상 10명중 7.5명이나…’학대’ 증가 해마다 부모로부터 버림받는 어린이들이 증가하고 있다. 서울의 경우만 볼 때, 보호대상 아동이 10명중…

캐나다 주택거래 급락에 ‘냉각’이냐 ‘주춤’이냐…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05.21

캐나다 캐나다 주택거래 급락에 ‘냉각’이냐 ‘주춤’이냐… 전국 거래량, 한 달 전보다 12.5% 줄고…전년비 256% 신규 리스팅 5.4% 감소 이어 집값도 전년비 23% 올라 주택시장 …

BC주, 관광업 살리기 나서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05.21

커뮤니티 BC주, 관광업 살리기 나서 5천만 달러 풀어…최대 100만 달러까지 지원 “경제 회복 준비, 미래 세대 위한 사업체 보전” 최근에는 미국의 크루즈 선박까지 BC주를 그냥 지나쳐가…

“비거주민, 밴쿠버, 토론토 빈집 15 에서 20 소유”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05.21

캐나다 “비거주민, 밴쿠버, 토론토 빈집 15~20% 소유” 캐나다모기지주택공사, 2020년 콘도 아파트 조사 결과 비거주자들 콘도 아파트 소유는 대도시 큰 빌딩에 집중 전국 콘도 및 아…

물가 3 이상 널뛰기…이자율 인상 앞당기나
등록자 NEWS
등록일 05.20

부동산 물가 3% 이상 널뛰기…이자율 인상 앞당기나 전년대비 3.4% 올라...2011년 5월 이후 최대 수준 개스 값 무려 62% 폭등…주거비용 전년대비 3.2% 캐나다 물가 상승률이 …

캐나다에서 소수민족 여성 경영진 진출은…
등록자 NEWS
등록일 05.20

캐나다 캐나다에서 소수민족 여성 경영진 진출은… 미국계 회사, 대기업, 금융분야 종사 비중 많아 소수민족 여성, 더 젊고, 학력 더 높고, 자녀도… 선진국이라는 캐나다이지만 여전히 경제계…

캐나다 이민자, ‘팬데믹 이전 수준’ 회복
등록자 NEWS
등록일 05.20

캐나다 캐나다 이민자, ‘팬데믹 이전 수준’ 회복 전국 3개월간 7만명…BC주 작년 40% 수준 1만명 연방 정부의 이민자 유입 속도가 빠르게 회복하고 있다. 올해 첫 3개월 동안에만 바…

“집값 진정된다면 이자율 인상까지도…”
등록자 NEWS
등록일 05.19

부동산 “집값 진정된다면 이자율 인상까지도…” 캐나다인 70%, 집값 상승 경제에 큰 문제로 평가 요즘 캐나다인 사이에서는 주택시장에 대한 걱정이 커지고 있다. 심지어는 이자율까지 인상되…

캐나다, 신규의약품 접근도 미국, EU보다 느려
등록자 NEWS
등록일 05.19

캐나다 캐나다, 신규의약품 접근도 미국, EU보다 느려 프레이저 연구소, 450일 지체…미국보다 469일 등 캐나다인은 새로운 약을 사용하는 데도 이웃 미국이나 유럽연합 국가보다 1년 이…

전국 인허가 주택 전년비 34 늘어나
등록자 NEWS
등록일 05.19

한국 전국 인허가 주택 전년비 34% 늘어나 전국적으로 인허가 주택이 늘어났다. 향후 시장의 신규 공급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3월 주택 인허가실적은 전국 …

5월 롱위크엔드에도 ‘코로나 규제’ 계속…
등록자 NEWS
등록일 05.18

커뮤니티 5월 롱위크엔드에도 ‘코로나 규제’ 계속… 병원 입원자 감소…미뤄진 수술 재개 희망도 BC주 하루 확진자가 400명 수준으로 떨어졌다. 게다가 병원 입원 환자와 중환자실 입원자 수…

총영사관 예약하고 안 오면 ‘민원예약 제한’
등록자 NEWS
등록일 05.18

커뮤니티 총영사관 예약하고 안 오면 ‘민원예약 제한’ ‘노쇼’ 민원 5일간 40여 회…향후 30일간 제한 등 온라인 민원예약이 뜻하지 않은 곳에서 부작용을 보이고 있다. 바로 제시간에 나타…

나홀로 가구 증가…소리없는 ‘고독사’도
등록자 NEWS
등록일 05.18

한국 나홀로 가구 증가…소리없는 ‘고독사’도 2015~2020년 전국 208%, 서울 223% 증가 사회가 발전할수록 가정의 단위가 더욱 작아지고 있다. 세계적 대도시인 서울에서는 이제…

BC주택 시장 ‘진정 국면’…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05.14

부동산 BC주택 시장 ‘진정 국면’… 전년비, 집값 29%, 거래량 312%로 높은 수준 유지 “신규 리스팅 늘어도…시장 균형 맞추기에는 시간” “BC시장이 진정되고 있지만 여전히 거래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