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News
분류 커뮤니티

주민 18세 34세, 2주 1회씩 ‘배달 음식’

작성자 정보

  • 작성자 NEWS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주민 18~34세, 2주 1회씩 ‘배달 음식’
작년보다는 줄어…BC주민 전반적 32% 주문


소매점포들은 정부의 각종 정책으로 큰 변화를 겪기 마련이다. 코로나 19 도 예외는 아니다. 특히 요식업계는 팬데믹 속 주민들의 행동 패턴 변화에도 영향을 받고 있다.
최근 리서치코(researchco.ca)의 조사에 따르면 BC주민들은 식당 음식 주문을 작년보다 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밀레니엄 세대와 메트로 밴쿠버 주민 사이에서는 음식 주문 앱(Apps)을 좀더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조사에서 BC주민 32%는 2주에 1회씩 배달음식을 시켰다. 작년 이맘때 조사와 비교할 때 14%p 정도 떨어진 수치다. 그러나 18~34세 사이에서는 2주에 1회씩 음식을 주문하는 비중은 54%이다. 35~54세 사이 37%, 55세 이상 10%와 차이를 보인다. 캐나다인 21%와 BC주민 19%는 다만 코로나 19 감염 우려 때문에 식당에 음식을 주문하지 않는다고 대답하기도 했다.
덧붙여 주민 45%는 음식을 식당에 주문하지만 직접 픽업하기도 했다. 10명 가운데 3명은 2주에 1회 정도는 밖에서 외식을 했다. 그렇지만 작년 이맘때 55%보다는 크게 줄었다. 반면 BC주민 27%는 작년보다 ‘배달 음식’을 더 많이 시키고 있다고 대답했다. 그렇지만 그 비중은 작년 이맘때 28%보다 줄었다.
마리오 칸세코 대표는 “BC주의 배달음식 모멘텀은 주로 밀레니엄 세대들이 주도하고 있다”면서 “18~34세 주민의 42%는 집에서 배달음식 주문을 더 자주한다고 대답하기도 했고 그 비중이 35~54세 사이에서는 31%, 55세 이상에서는 13%로 낮다”고 대답했다. 메트로 밴쿠버 주민 사이에서도 배달 음식 주문은 34% 정도가 작년보다 더 많다고 대답하기도 했다. 프레이저 밸리의 경우에는 29%, 밴쿠버 아일랜드에서는 18% 등이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2,791 / 105 Page
RSS
캐나다 이민부, 경력이민자 대거 선발
등록자 NEWS
등록일 02.18

캐나다 캐나다 이민부, 경력이민자 대거 선발 최근 익스프레스 엔트리 무려 2만 7000여명 캐나다 이민정책에 큰 변화가 보이기 시작하고 있다. 코로나 19로 해외여행이 자유롭지 않고 자칫…

‘변이’ 바이러스, 캐나다 전국에서 확인
등록자 NEWS
등록일 02.17

캐나다 ‘변이’ 바이러스, 캐나다 전국에서 확인 제3차 파동 우려…540건의 UK, 33건 남아프리카 변이 등 전국적으로 코로나 변이 바이러스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현재로서는 전국…

BC주 ‘비상조치’ 3월까지 연장돼
등록자 NEWS
등록일 02.17

커뮤니티 BC주 ‘비상조치’ 3월까지 연장돼 UK, SA 이어 나이지리아 ‘변이’도 1건 발견 BC주 3개 케어시설에서도 ‘아웃브레이크’ BC주 ‘비상 조치’가 다시 또 연장, 3월까지 이…

올해 최대 경제 이슈 ‘청년 실업’, ‘고용’
등록자 NEWS
등록일 02.17

한국 올해 최대 경제 이슈 ‘청년 실업’, ‘고용’ 경제는 해마다 큰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다. 단순한 경제 이슈에만 머물지 않고 다양한 방면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서울 연구원의…

팬데믹 이후, 남성의 가사부담 ‘늘어’
등록자 NEWS
등록일 02.16

캐나다 팬데믹 이후, 남성의 가사부담 ‘늘어’ 여전히 여성 부담 커…남성, 세탁 8%->16%로 캐나다에서 팬데믹이 생활 곳곳에 변화를 주고 있다. 코로나19속에서 가족들이 가정에서 다함…

캐나다 입국자 ‘호텔 격리’ 22일부터
등록자 NEWS
등록일 02.16

캐나다 캐나다 입국자 ‘호텔 격리’ 22일부터 코로나 검사필요 3일 동안..비용은 여행자 부담 드디어 캐나다 정부가 구체적인 해외 여행 관련 격리 방안을 내놓았다. 연방 교통부와 총리실에…

항공 여행객 작년보다 68나 뚝 ‘감소’
등록자 NEWS
등록일 02.16

한국 항공 여행객 작년보다 68%나 뚝 ‘감소’ 해마다 상승곡선을 보였던 해외여행이 팬데믹에 큰 타격을 받은 게 수치로도 보여지고 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해 한 해 동안 항공여행…

캐나다 주택 ‘팬데믹 트렌드’ 단독주택, 집값 올려…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02.12

캐나다 캐나다 주택 ‘팬데믹 트렌드’ 단독주택, 집값 올려… 상반기 콘도, 집값 상승 주도...하반기엔 ‘단독’으로 주택 수요 촉진에 모기지 빚 전년대비 7.4% 늘어나 밴쿠버, 신규 단…

캐나다 팬데믹 제재조치로 다시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02.12

커뮤니티 캐나다 팬데믹 제재조치로 다시 일자리 감소…재택 늘어 전국 일자리 21만 3천개 줄어…대부분 파트 타임 재택근무 70만 늘어난 540만 명…작년보다 많아 한동안 상승기조를 보이던 …

“올해 주택시장 수요-공급 계속 빠듯할 듯”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02.12

캐나다 “올해 주택시장 수요-공급 계속 빠듯할 듯” 홈바이어들의 콘도, 아파트 관심 재가열 가능해 올해 캐나다 주택 시장은 전국적으로 이전과 비슷하게 빠듯한 시장 조건을 이어갈 것으로 전…

전국 주택 건축비 마저 빠른 상승세 보여
등록자 NEWS
등록일 02.11

캐나다 전국 주택 건축비 마저 빠른 상승세 보여 분기대비 2.9%로…비주거용은 0.4% 증가에 그쳐 전년비 주택 건축비, 비주거용보다 4배 더 빨라 “전국적 주택 수요 증가 커져도 목재는…

올해, 경제 전망…”무조건 낙관은 금물”
등록자 NEWS
등록일 02.11

캐나다 올해, 경제 전망…”무조건 낙관은 금물” “2021년 중반까지 각 주 팬데믹 이전 수준 회복” 올해 경제 전망이 작년보다는 비교적 낙관적이다. 그렇지만 한편으로는 더욱 조심스러운 …

연방 및 주 정부 코로나 19 속 부채 ‘산 더미’
등록자 NEWS
등록일 02.11

캐나다 연방 및 주 정부 코로나 19 속 부채 ‘산 더미’ 1년 동안 65% 증가…팬데믹 후 프로그램 삭감 우려 전세계적 팬데믹 속에서 각 국가의 빚은 늘어나고 있다. 캐나다도 예외는 아…

주민 18세 34세, 2주 1회씩 ‘배달 음식’
등록자 NEWS
등록일 02.10

커뮤니티 주민 18~34세, 2주 1회씩 ‘배달 음식’ 작년보다는 줄어…BC주민 전반적 32% 주문 소매점포들은 정부의 각종 정책으로 큰 변화를 겪기 마련이다. 코로나 19 도 예외는 아니…

납치 미수 사건에 대한 루머 진상은…
등록자 NEWS
등록일 02.10

커뮤니티 납치 미수 사건에 대한 루머 진상은… 경찰, 공식 자료를 통해 설명 나서기도 온라인을 통해 ‘납치 미수’에 대한 루머가 돌면서 경찰이 직접 설명에 나섰다. 코퀴틀람RCMP는 최근 …

코로나 19 속 영세상공인 온라인 상점 구축 지원
등록자 NEWS
등록일 02.10

한국 코로나 19 속 영세상공인 온라인 상점 구축 지원 팬데믹 속에서 소상공인을 살리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어지고 있다. 이 가운데 서울연구원의 조사에 따르면 캐나다 토론토에서는 샵히…

캐나다, 변이 바이러스 속 국경 통제 더 강화
등록자 NEWS
등록일 02.09

캐나다 캐나다, 변이 바이러스 속 국경 통제 더 강화 15일부터 육로 방문자도 ‘음성 확인서’…위반 벌금 3천불 변이 코로나 19 바이러스가 캐나다에서도 점점 더 늘어나고 있다. 이 가운…

BC주 확진 ‘감소세’…변종 사례 ‘확산세’
등록자 NEWS
등록일 02.09

커뮤니티 BC주 확진 ‘감소세’…변종 사례 ‘확산세’ 전체 40건, UK 변종 25건, 남아프리카 변종 15건 팬데믹 사태가 새로운 국면에 들어설 위기에 처해,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B…

부동산 정책 변화…공급 물량 늘어나나
등록자 NEWS
등록일 02.09

한국 부동산 정책 변화…공급 물량 늘어나나 정부의 부동산 정책에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각종 규제 조치 속에서도 큰 변화를 가져오지 못하면서 공급에 동력을 불어넣는 모양새다. 국토교통부…

광역 밴쿠버 주택시장 기록적 출발…봄 시장 기대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02.05

커뮤니티 광역 밴쿠버 주택시장 기록적 출발…봄 시장 기대 1월달 거래량 2389채…전년대비 무려 52.1% 늘어 리스팅 대비 세일즈 비율 20% 이상…집값 상승 작용 다수 전문가들은 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