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News
분류 한국

프랑스 파리의 기본소득제에 주목…

작성자 정보

  • 작성자 NEWS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프랑스 파리의 기본소득제에 주목…

프랑스의 수도 파리에서 기본소득제를 추진, 주목을 받고 있다. 선진국이라는 점은 물론, 한 국가의 수도라는 점에서 향후 전세계적으로 어떤 변화를 초래할지도 주목된다.
서울연구원은 최근 세계 도시 동향을 통해 프랑스 파리의 기본소득제 시범 실시를 소개했다. 이 자료에 따르면 파리 시장은 올해 1월 서부 지역 지자체장들과 함께 기본 수당제와 16~25세 청년 수당제를 발표했다. 또한 마크롱 대통령은 실직했거나 학업 중이 아닌 청년층을 대상으로 구직활동을 조건으로 매월 최대 약 500유로를 지급하는 청년 수당제를 2021년 5월 발표하고 현재 전국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프랑스 기본소득제도 계획은 기존의 여러 사회복지제도와 맞물려 연구되었으며, 2017년 브노아 하몽 사회당 대표 후보의 제안으로 가시화됐다. 브노아 하몽은 세금을 제외하고 월수입이 2,200유로 이하 가정에 600~800유로의 생존 기본 수당을 지급할 것을 제안했다. 지난 2020년 엠마누엘 마크롱 대통령이 기본 수당제(Revenu universel d’activité, RUA)를 계획했으나, 코로나19 봉쇄령 등으로 실행되지 못한 바 있다. 18~25세로 대상을 제한하거나 청년 수당제를 확대하는 방안, 65세 이상을 대상으로 하는 방안, 사회주거지역 대상 주민으로 대상을 한정하는 방안, 소득과 관계없이 몇 개의 지역구를 대상으로 하는 방안 등을 검토중이다.
기본 수당제는 기존의 장기 비소득자 정부 지원금(RSA)과 주거 보조금(APL), 활동 수당제(la prime d’activité)를 재편하여 하나의 체제로 통합하게 된다. 장애인 수당, 노인 수당, 25세 미만 청년 수당을 기본 수당제에 포함할지에 대해서는 추가 논의가 필요한 상태. 오는 2022년 대통령 선거에서 사회당 후보인 안 이달고 파리시장뿐만 아니라 여당에서도 선거공약으로 기본 수당제를 검토 중이다.
주요 내용을 보면, 파리시장은 올해 1월 서부 지역 지자체장들과 함께 기본 수당제와 16~ 25세 청년 수당제를 발표했다. 최소 소득보장제(Revenu minimum garanti) 혹은 기본소득제(Revenu univer- sel)의 목적은 실직 혹은 학업 중단, 은퇴한 시민 등에게 이직 혹은 창업을 위한 최소한의 지원을 제공하는 데 있다. 파리시장 보좌관은 런던의 한 협회에서 13명의 노숙자를 대상으로 한 기본소득제 실험과 2019년부터 인구 2만 3천 명 규모의 그랑 생뜨(Grande-Synthe) 지역에서 실시한 최소 사회보장제(minimum social garanti)를 예로 제시했다. 파리 시는 최소 소득보장제 시범사업 계획을 발표했으나, 코로나19로 인한 경제 위기 상황에 따라 2021년 하반기에 시민회의를 구성하여 구체화할 예정으로 아직 계획 단계이다. 파리 시 청년수당제의 경우에는 학업 중이 아니고 일하지 않는 16~25세 청소년이나 청년들에게 1년간 매월 최대 497.50유로까지 지원한다. 부모의 지원이 없어야 하며, 최소 하나 이상의 인턴십 혹은 직업교육에 참여해야 한다. 덧붙여 창업을 위한 행정 절차 지원, 취업 미팅도 주선한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2,803 / 80 Page
RSS
“팬데믹에 캐나다 북부 집장만 여건 더 힘들어져”
등록자 NEWS
등록일 12.09

부동산 “팬데믹에 캐나다 북부 집장만 여건 더 힘들어져” 건축비용 상승이 한 몫해…옐로우나이프 집값, 거래 최고치 이콸루이트 24세 이하 젊은 층 80% 시장의 주택 장만 못해 캐나다의 …

“인플레이션 일시적 현상 아닐 수도…”
등록자 NEWS
등록일 12.09

캐나다 “인플레이션 일시적 현상 아닐 수도…” 캐나다를 포함한 전세계 경제가 인플레이션을 걱정하고 있다. 그런데 최근 한 연구소는 캐나다의 인플레이션이 ‘일시적인(Transitory)’게…

BC주 하이웨이1 오픈됐다지만…
등록자 NEWS
등록일 12.09

커뮤니티 BC주 하이웨이1 오픈됐다지만… 정부, 불필요한 통해 자제 당부…비행기 값 널뛰기 폭우와 홍수 피해로 차단됐던 하이웨이 1은 개방됐다. 그렇지만 다른 도로 사정을 고려할 때 올 연…

일자리 ‘팬데믹 이전 수준’ 근접…실업률도 회복
등록자 NEWS
등록일 12.08

캐나다 일자리 ‘팬데믹 이전 수준’ 근접…실업률도 회복 전국 실업률 6%...노동시간 0.7% 늘어 팬데믹 이전으로 “5년내 정착 최신 이민자 고용률엔 큰 변화 없는 71.3%” 전국적으…

BC주민, 팬데믹에 연말 선물 쇼핑도 변화
등록자 NEWS
등록일 12.08

커뮤니티 BC주민, 팬데믹에 연말 선물 쇼핑도 변화 5명 가운데 3명, 식당 덜 방문…커피숍 방문도 크게 감소 18~34세 56%, “온라인 쇼핑”…55세 이상 71% ‘가게 방문’ 팬데믹…

2022년 밴쿠버문학 신춘문예 공모
등록자 NEWS
등록일 12.08

커뮤니티 2022년 밴쿠버문학 신춘문예 공모 내년 1월 31일까지…발표되지 않은 순수 신작 밴쿠버에서 신춘문예 공모전이 시작됐다. 사단법인 한국문인협회 캐나다 밴쿠버지부는 2022년 밴쿠버…

프랑스 파리의 기본소득제에 주목…
등록자 NEWS
등록일 12.08

한국 프랑스 파리의 기본소득제에 주목… 프랑스의 수도 파리에서 기본소득제를 추진, 주목을 받고 있다. 선진국이라는 점은 물론, 한 국가의 수도라는 점에서 향후 전세계적으로 어떤 변화를 …

캐나다인, ‘오미크론’ 등장에 ‘감염 가능성’ 커져 우려
등록자 NEWS
등록일 12.07

커뮤니티 캐나다인, ‘오미크론’ 등장에 ‘감염 가능성’ 커져 우려 55세 이상은 66%, 35~54세는 54%, 18~34세 51% 등으로 새로운 변이 바이러스 ‘오미크론’의 등장에 캐나다…

‘오미크론’에 미국 방문 더 까다로워져
등록자 NEWS
등록일 12.07

캐나다 ‘오미크론’에 미국 방문 더 까다로워져 탑승 24시간 전 코로나 19 음성 확인 검사받아야 요즘 해외여행을 준비하는 주민들은 시시각각 바뀌는 각종 정책에 혼란을 겪기 마련이다. 연…

전국 주택거래 감소에 미분양은 늘어
등록자 NEWS
등록일 12.07

한국 전국 주택거래 감소에 미분양은 늘어 전국적으로 거래량은 줄었지만 미분양도 함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주택은 물론, 신규 물량의 시장흡입 속도가 둔해진 것으로 평가된다. 국…

캐나다 2022년 주택시장은…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12.03

부동산 캐나다 2022년 주택시장은… “각 주 권역을 넘나드는 주민 이동이 강세…로컬 시장 영향” 전국 시장 95%에서 ‘셀러스 마켓’…밴쿠버 집값 5.5% 올라 전세계적으로 팬데믹이 지…

캐나다 기업들 도전과제 원가상승, 수요 불확실성…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12.03

캐나다 캐나다 기업들 도전과제 원가상승, 수요 불확실성… 기업 42.5% 원가상승을 ‘장벽’으로…식품업계는 무려 66% 소비자 수요 불확실성은 21%...숙박/식품업계는 35.4% 로 연…

사회공공지원 주택에는 최신 이민자들도…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12.03

캐나다 사회공공지원 주택에는 최신 이민자들도… 주요 거주자는 노인, 자녀 있는 저소득 가족 등 다수 전국에 자리잡은 공공지원 및 집장만 가능 주택(Social and Affordable …

BC주, 온타리오 전국 신규 빌딩 퍼밋 상승 이끌어
등록자 NEWS
등록일 12.02

캐나다 BC주, 온타리오 전국 신규 빌딩 퍼밋 상승 이끌어 비주거용 퍼밋 팬데믹 이전보다 무려 16.7%나 더 높아져 전국적으로 발행된 빌딩 퍼밋의 가치가 꾸준하게 늘어나고 있다. BC주…

“캐나다 입헌군주제 언제까지”…반대 커져
등록자 NEWS
등록일 12.02

캐나다 “캐나다 입헌군주제 언제까지”…반대 커져 전국 반대 의견 2016년 38%, 2020년 45%, 올해 52%로 퀘벡은 무려 72%가 반대…남성들 여성보다 반대 많아 입헌군주제의 캐…

BC주민, “연말 연휴에 여행 자제하겠다”
등록자 NEWS
등록일 12.02

캐나다 BC주민, “연말 연휴에 여행 자제하겠다” 주민 18~34세 56% “여행”, 55세 이상 34% 불과해 캐나다인 다수는 ‘연휴’라고 할 때 ‘여행’을 떠올리기 마련이다. 그만큼 …

경제 성장률 기대이상…’스태그플레이션’ 우려도
등록자 NEWS
등록일 12.01

캐나다 경제 성장률 기대이상…’스태그플레이션’ 우려도 3분기 GDP 연간실적으로 5.4% 수준…저축률은 11%로 하락 가정마다 지출은 늘어...신규 건축 등 주택 분야 투자도 감소 전국 …

고국 방문길 ‘험난’…모든 내외국인 입국자 ‘격리’
등록자 NEWS
등록일 12.01

한국 고국 방문길 ‘험난’…모든 내외국인 입국자 ‘격리’ 방대본, 3~16일 사이…격리면제서는 장례식 목적 등에만 신종 변종 ‘오미크론’의 등장에 전세계가 하늘길을 조금씩 걸어 잠그고 …

캐나다 코로나 19 검사 등 각종 규제 재도입
등록자 NEWS
등록일 12.01

캐나다 캐나다 코로나 19 검사 등 각종 규제 재도입 연방 정부, 미국인 제외 모든 여행객 의무 검사 국내 여행자도, 항공기, 철도 이용시 백신 의무 BC주, 백신 의무화 없는 종교시설 …

외국인 보유 국내 토지 올해도 늘어나
등록자 NEWS
등록일 12.01

한국 외국인 보유 국내 토지 올해도 늘어나 외국 국적자의 국내 토지 소유가 올해도 늘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2021년 상반기 기준 외국인이 보유한 국내 토지면적은 256.7㎢(2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