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News
분류 캐나다

캐나다 가정 중간 소득 BC, 퀘벡 빠른 상승세

작성자 정보

  • 작성자 부동산밴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캐나다 가정 중간 소득
BC, 퀘벡 빠른 상승세

5년 동안 밴쿠버 6.8%, 몬트리올 6.4%, 빅토리아 6.2%
캘거리, 에드먼턴 하락세 불구 소득 6만불 이상 높아 

팬데믹 사태가 진정되면서 정부가 이민자 유치에도 속도를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신규 이민자나 이민을 준비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어느 곳에 정착할 것인가를 신중하게 결정하기 마련. 이 가운데 통계청의 최신 데이터가 주요 지역 소득 수준을 분석, 도움이 되고 있다.

통계청의 최신 데이터(2019년)에 따르면 캐나다의 가구당 중간 소득은 세금공제 이후 5만 4790달러를 기록하고 있다. 전년도 대비 0.6% 정도 오른 수준이다. 전국 35개 광역 도시에서 14곳이 상승세를 기록했다. 모든 지역이 상승한 것은 아니다. 가장 눈에 띄는 곳은 퀘벡이지만 하락세가 큰 곳은 뉴펀들랜드 앤 래브라도의 세인트 존슨으로 나타났다.

이민자들이 이름만으로도 알 수 있는 주요 도시를 보면, 밴쿠버는 0.6%로 전국 상승률 수준을 보인다. 빅토리아는 1%, 몬트리올은 1.4%, 퀘벡이 1.4% 등이다. 그렇지만 토론토는 0.1%로 나타났다. 이 보고서는 “퀘벡과 BC주에서 상승세는 주당 임금이 높다는 점에서 기인했고 두 지역은 2019년을 기준으로 실업률 평균도 낮은 편이다”고 설명했다.

세금 공제 이후 중간 소득을 보면, 지난 2014~2019년을 기준으로 전국에서는 BC주와 퀘벡이 가장 빠른 속도를 보이고 있다. 해당 5년 동안 중간 소득은 2014년 5만 3010달러 수준에서 2019년 5만 4790달러로 늘었다. 가장 상승세가 빠른 곳 가운데 밴쿠버는 6.8%를, 몬트리올은 6.4%, 빅토리아가 6.2%, 퀘벡이 5.2% 등이다.

반면 세인트 존스에서 -4.9%를 캘거리는 -4.7%를, 에드먼턴은 -3.2%, 새스카툰이 -2.8%를 기록하기도 했다. 그렇지만 캘거리의 경우에는 중간 소득이 6만 6180달러, 에드먼턴은 6만 5090달러로 BC주보다 높은 수준이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2,792 / 91 Page
RSS
“이대로면 BC주 9월 전면개방 ‘위태위태”
등록자 NEWS
등록일 07.29

커뮤니티 “이대로면 BC주 9월 전면개방 ‘위태위태” 1일 신규 확진자 200명 넘고…입원 환자도 증가 백신 접종자 비중 81% 수준에서 정체상태 지속돼 최근 BC주 코로나 19 상황이 예…

캐나다 유학생 톱7개국에 한국, 중국, 일본
등록자 NEWS
등록일 07.29

캐나다 캐나다 유학생 톱7개국에 한국, 중국, 일본 10년 사이 3배 이상 늘어…7만명에서 25만 명으로 BC 전국 2위 최다 유치…비중은 31%에서 23% 하락중 캐나다에서 해외 유학생…

캐나다 ‘장기 요양 시설’ 팬데믹 거치며 ‘오명’
등록자 NEWS
등록일 07.29

캐나다 캐나다 ‘장기 요양 시설’ 팬데믹 거치며 ‘오명’ 주민 44% “끔찍하다”…47% “들어가지 않으려 노력” 팬데믹 사태를 겪으면서 캐나다인의 장기 요양 시설(Long-Term Ca…

BC 마스크 착용 다시 의무화되나…’전전긍긍’
등록자 NEWS
등록일 07.28

커뮤니티 BC 마스크 착용 다시 의무화되나…’전전긍긍’ 센트럴 오카나간 실내 착용 의무…비필수 여행 제한 BC주 코로나 확산세가 다시 심각해지고 있다. 또 다시 주 전체 마스크 착용 의무화…

캐나다 가계 지출, 소비재에서 서비스로 ‘이동’
등록자 NEWS
등록일 07.28

캐나다 캐나다 가계 지출, 소비재에서 서비스로 ‘이동’ 7월 본격 상승세의 동력…2019년 7월보다 13% 높아 캐나다 가계 지출이 7월부터 본격적인 상승모드를 보여주고 있다. 소비재 상…

한국도 2025년에는 초고령화 사회 진입
등록자 NEWS
등록일 07.28

한국 한국도 2025년에는 초고령화 사회 진입 인구의 20% 이상 ‘노인’…서울도 2020년에 14.5% 다른 선진 대도시와 마찬가지로 서울의 고령화도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오는 20…

신규 확진자 대다수, 백신 안 맞은 계층…
등록자 NEWS
등록일 07.27

커뮤니티 신규 확진자 대다수, 백신 안 맞은 계층… 18%는 1차 접종자…4%는 2차 접종까지 BC 내륙의 신규 확진자 주 전체 절반 수준에 BC 최근 1일 확진자 수 100명대로 치솟아 …

BC주 산불에 결국 ‘비상사태’ 선포까지
등록자 NEWS
등록일 07.27

커뮤니티 BC주 산불에 결국 ‘비상사태’ 선포까지 센트럴 지역에 피난 명령, 주의보 등 집중돼 산불 사태로 BC주 비상 사태(State of Emergency)가 선포됐다. 덧붙여 올 여름…

토지 거래, 가격 상승세보다 “더 빨라”
등록자 NEWS
등록일 07.27

한국 토지 거래, 가격 상승세보다 “더 빨라” 토지 거래가 가격 상승세보다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팬데믹 속에서도 예상대로 토지 가격은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 국토교통부와 한국부동산원…

올 여름 주택시장 “천천히 정상으로…”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07.23

커뮤니티 올 여름 주택시장 “천천히 정상으로…” 전월비 전국 거래량 8.4% 하락에도 집값 0.9% 상승해 신규 리스팅 대비 세일즈 비율 90%에서 69%로 후퇴 전국 주택 시장이 완만해지…

캐나다 가정 중간 소득 BC, 퀘벡 빠른 상승세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07.23

캐나다 캐나다 가정 중간 소득 BC, 퀘벡 빠른 상승세 5년 동안 밴쿠버 6.8%, 몬트리올 6.4%, 빅토리아 6.2% 캘거리, 에드먼턴 하락세 불구 소득 6만불 이상 높아 팬데믹 사태…

팬데믹 중 ‘모기지 연기’ 이용자 16 수준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07.23

캐나다 팬데믹 중 ‘모기지 연기’ 이용자 16% 수준 70%, 5년짜리 고정금리, 65%는 최대 금액 대출해 생애 첫 주택 구매자 절반만 ‘인센티브’ 제도 이용 “모기지 소비자들은 코로나…

홈오너 다수 ‘비상사태 대비’ 저축 부족해
등록자 NEWS
등록일 07.22

부동산 홈오너 다수 ‘비상사태 대비’ 저축 부족해 “보일러 고장, 지붕 수리 등 4000불 필요하다면 10명중 4명 홈오너 저축 부족…8% 방법도 없어” 최근 캐나다 경제가 빠른 회복세를…

신규 주택 값, 팬데믹 기간 내내 상승세
등록자 NEWS
등록일 07.22

부동산 신규 주택 값, 팬데믹 기간 내내 상승세 “전국 일자리 증가세 주택시장 뒷받침…시장참가 늘어” 앨버타 산업계 전반 고용 늘어…캘거리 집값 3.5% 증가 전국 27개 대도시 전년대비…

캐나다, 9월부터 외국인 여행자 허용
등록자 NEWS
등록일 07.22

캐나다 캐나다, 9월부터 외국인 여행자 허용 오는 8얼 7일부터 미국인 백신접종 완료자부터 캐나다~미국 국경 봉쇄가 완화된다. 연방 정부는 오는 8월 9일부터 백신접종 완료 미국인을 대상…

‘백신 접종 증명서’ 교실수업에도 필요한가
등록자 NEWS
등록일 07.21

캐나다 ‘백신 접종 증명서’ 교실수업에도 필요한가 캐나다인 66%, “여행자들 백신 모두 접종해야” 의견 미접종자 참가 활동중, 교실수업에 48%만 “편안” 대답 국경 개방과 여행객 유치…

팬데믹에 BC남성, 프로 스포츠 관심 ‘뚝’
등록자 NEWS
등록일 07.21

캐나다 팬데믹에 BC남성, 프로 스포츠 관심 ‘뚝’ 팬데믹이 지속되면서 사람들의 관심이 안전에 더욱 쏠리면서 일부 소홀해지는 분야가 생기기 마련이다. 그런데 최근 한 조사에 따르면 BC주…

에드먼턴, 주문형 버스 운영에 주목
등록자 NEWS
등록일 07.21

캐나다 에드먼턴, 주문형 버스 운영에 주목 도심을 벗어난 지역의 대중교통 수단은 큰 사회적 이슈이다. 재원 마련과 주민들의 서비스 향상 사이에서 갈등이 생기기 마련이다. 이 가운데 서울연…

장기 요양시설 가족 방문 예약없이도…
등록자 NEWS
등록일 07.20

커뮤니티 장기 요양시설 가족 방문 예약없이도… BC, 성인 백신접종 80% 넘어…2차는 50% 이상 드디어 장기 요양 시설에 대한 제한이 풀리게 됐다. 팬데믹이 시작되면서 지난해 3월부터 …

캐나다 크루즈 선박 11월부터 유치...
등록자 NEWS
등록일 07.20

캐나다 캐나다 크루즈 선박 11월부터 유치 BC주 관광 산업에 큰 타격을 주고 있는 크루즈 선박 봉쇄. 팬데믹으로 비롯된 조치들이 오는 11월까지만 중단되는 것으로 결정됐다. 연방 교통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