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News
분류 캐나다

캐나다 노인들, 은퇴 계획으로 홈 에쿼티에 점점 더 의존

작성자 정보

  • 작성자 부동산밴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캐나다 노인들, 은퇴 계획으로
홈 에쿼티에 점점 더 의존

55세 이상 10명중 8명, “저축과 연금으로 부족”
캐나다인 은퇴 소득 3종류…월 평균 2100달러

캐나다 CPP 736불, 노령연금 618달러에 RRSP
역모기지 시장 커져…부채 전년대비 12.5% 늘어

요즘 캐나다에서는 나이가 들어갈수록 주택의 중요성이 커지는 듯하다. 단지 노년에 필요한 주거지로서 의미를 뛰어넘은 듯하다. 바로 주택 에쿼티(Home Equity)가 은퇴 재정의 한 자리를 차지해나가고 있는 탓이다.

최근 홈에쿼티 뱅크(HomeEquity Bank)는 입소스(Ipsos)를 통한 서베이 결과를 내놓았다. 다수의 캐나다 노인들이 은퇴 계획으로 주택의 홈 에쿼티에 의존한다는 것. 홈 에쿼티(Home Equity)는 주택 자산을 의미한다. 주택 가치 중에서 대출이 아닌 홈오너에게 실질적으로 돌아가는 부분이다. 더욱이 요즘처럼 주택 가격이 오르는 상승 시장에서는 홈에쿼티가 자연히 늘어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캐나다인 55세 이상 10명 가운데 8명은 자신들의 저축이나 연금 플랜만으로 편안한 노후를 지원할 수 없다고 믿었다. 거의 절반의 응답자들이 홈 에쿼티가 은퇴 계획에서 중요하다고 밝힌 것이다. 다만 여전히 수많은 노인들은 현재 주택보다는 좀더 사이즈가 적은 곳으로 옮기기를 원했다. 반면 집을 팔지 않으려고 하는 사람들에게는 역모기지와 홈에쿼티 라인 오브 크레딧을 옵션으로 남겨두고 있는 상황이다.

이와 관련, 홈에쿼티 뱅크의 스티븐 랜슨 대표는 “다운사이징이 이전만큼 매력적이지는 않다. 또 다른 거주지를 찾아보고 옮겨야 하는 위험성을 고려할 때, 노인 홈오너들의 ¼ 이상은 주택을 판매하기 보다는 에쿼티 사용을 고려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내셔널 인스터튜트 온 에이징(National Institute on Agind)의 최근 조사 결과와도 비슷하다. 즉 캐나다인 10명 가운데 9명은 자신의 현재 집에서 최대한 오래 머물고 싶어했다.

이 보고서는 “캐나다 노인들이 평균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은퇴 기본 소득을 고려할 때, 왜 더 많은 노인들이 자신들의 홈 에쿼티를 보충해서 사용하려고 하는지 알 수 있다”면서 몇 가지 분석을 내놓았다. 캐나다 노인들이 사용할 수 있는 주요 재원으로는 세 가지가 있다. 먼저 한국의 국민연금과 같은 캐나다 펜션 플랜(CPP, Canadian Pension Plan)이다.

평균적으로 65세 이상이라면 2021년 1월을 기준, 736달러 58센트를 받게 된다. 두 번째로는 노령연금(OAS, Old Age Security)이 있다. 캐나다 연방 정부에 보고된 바로는 평균 지급 금액이 618달러 45센트이다. 마지막으로는 은퇴 저축(RRSP)가 있다. BMO 은행의 최근 조사에 따르면 캐나다인 베이비부머 세대의 평균 RRSP 잔액은 17만 8664달러가 된다. 결과적으로 이 세가지를 모두 합칠 경우 캐나다인은 은퇴 소득으로 월 2100달러를 받게 되는 셈이다. 

역 모기지(Reverse Mortgage)도 꾸준히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역모기지 시장도 주택 시장이 상승곡선을 그리면서 더욱 강해지기 마련이다. 수치로 볼 때, 2020년을 기준, 캐나다 노인들은 신규 역 모기지 부채로 4억 800만 달러를 추가했다. 이로써 전체 역모기지 부채는 44억 2000만 달러에 이른다. 1년 전과 비교할 때 12.5%나 늘어났다. 지난 2011년과 비교한다면 무려 367%나 증가한 셈이다. <사진= www.homeequitybank.ca 제공>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2,795 / 135 Page
RSS
프레이저 밸리 시장 신규 매물 늘어도 인벤토리는 낮은 수준
등록자 KREW
등록일 12.04

커뮤니티 프레이저 밸리 시장 신규 매물 늘어도 인벤토리는 낮은 수준(크게) 월간 거래 실적 작년대비 54.7%...매물 18.1% 증가 “클로버데일, 단독주택 수요는 공급 초과한 상태” “…

생애 첫 집장만 절반 이상 단독주택 마련해…
등록자 KREW
등록일 01.17

캐나다 생애 첫 집장만 절반 이상 단독주택 마련해…(크게) 대도시에서 비중 ‘뚝’…밴쿠버 21%, 토론토 26% 등 밴쿠버, 몬트리올 생애 첫 집장만 절반 35세 미만 “생애 첫 주택 구…

광역 밴쿠버 주택시장 “거래, 리스팅 역사적 기록”
등록자 KREW
등록일 09.04

커뮤니티 광역 밴쿠버 주택시장 “거래, 리스팅 역사적 기록”(크게) 전년대비 거래량 36.6%, 리스팅 55.1% 증가해 “코로나 19 불확실성에 가을 예상은 큰 도전” 팬데믹 재확산 위기…

다수 BC 주택시장 “바이어스 마켓… “
등록자 KREW
등록일 02.23

부동산 다수 BC 주택시장“바이어스 마켓… ““정책 유도 시장 둔화세 2019년에도”밴쿠버 아일랜드, BC북부 등지 ‘균형’“정부 정책에서 비롯된 주택 시장 둔화 현상이 2019년에도 계…

병원 대기로 환자들 임금 20억 손실
등록자 KREW
등록일 04.03

캐나다 병원 대기로 환자들 임금 20억 손실환자당 1924불…BC 2455불, ON 1368불캐나다 병원 대기 시간은 갈수록 악화되고 있다. 장기 대기 리스트는 환자들 건강 악화는 물론 …

BC주 코로나 19 안전 ‘단속원’ 범위 확대
등록자 KREW
등록일 09.22

캐나다 BC주 코로나 19 안전 ‘단속원’ 범위 확대경찰 외에 자연보호 단속원 등도 티켓 발부 가능최근 BC주 코로나 19 확진자가 급증하면서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여름이 끝나고 실내…

확진자 주말마다 폭등…2차 ‘록다운’ 오나
등록자
등록일 09.08

캐나다 확진자 주말마다 폭등…2차 ‘록다운’ 오나나이트 클럽, 연회장 영업정지…주류판매 시간도 단축최근 롱 위크엔드 주말을 지나면서 BC 주 확진자가 폭발적 증가세를 보였다. 정부가 나이…

“빠듯한 공급 속 거래량과 집값 기록 세워”
등록자 KREW
등록일 11.27

커뮤니티 “빠듯한 공급 속 거래량과 집값 기록 세워” 전년대비 거래 32.1%...주택 가격지수 10.9% 올라 “캐나다 전국 주택 거래가 역사적으로 강한 수준을 보이고 있다.” 최근 한 …

공공임대주택 확충과 단기임대 규제
등록자 NEWS
등록일 03.30

한국 공공임대주택 확충과 단기임대 규제 전세계적으로 대도시마다 주민들의 주거지 확충에 다양한 아이디어를 쏟아내고 있다. 서울연구원은 최근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시에서 진행되고 있는 공공임…

캐나다 팬데믹 제재조치로 다시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02.12

커뮤니티 캐나다 팬데믹 제재조치로 다시 일자리 감소…재택 늘어 전국 일자리 21만 3천개 줄어…대부분 파트 타임 재택근무 70만 늘어난 540만 명…작년보다 많아 한동안 상승기조를 보이던 …

BC와 온타리오, 젊은층과 노년층 가구 ‘동반 상승’
등록자 KREW
등록일 01.15

캐나다 BC와 온타리오, 젊은층과 노년층 가구 ‘동반 상승’ 중부 대평원, 젊은 층 가구 성장 ‘최강…노바 스코샤는 ‘노년층’ 45~54세 최다 가구 형성…75세 이상 가정도 눈에 띈 증…

신규 홈오너, 팬데믹 전 홈오너보다 부채 부담 커
등록자 NEWS
등록일 07.01

부동산 캐나다 신규 홈오너 “팬데믹 이전 홈오너들보다 부채 부담 커” CMHC, “경제 완전 회복 안 됐지만 집값 계속 상승”…’모순’ “팬데믹 이후 2020년 4분기 모기지 신규 대출 …

BC주택시장 “잠재 수요 가을에도…”
등록자
등록일 10.16

캐나다 BC주택시장 “잠재 수요 가을에도…”(크게) 3~5월 거래 1만채 적어…6~9월은 8800채 많아 주택 거래량 1만 채 이상 전년대비 63.3% 늘어 집값 80만 불로 전년비 15…

포트 코퀴틀람 중심부 새로운 변신중
등록자 NEWS
등록일 03.17

커뮤니티 포트 코퀴틀람 중심부 새로운 변신중 조만간 커뮤니티센터 완공 이후 시빅센터 등 한인 밀집 지역으로 불리는 트라이 시티. 이곳에서도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포트 코퀴틀람의 다…

하반기 주택 가격 ‘하락 곡선’에…
등록자 KREW
등록일 01.18

부동산 하반기 주택 가격 ‘하락 곡선’에… 전년비 종합지수 2009년 이후 ‘최저’…2.5% “신규 주택 공실률 늘어 일부 가격 하락에…” 신규 주택을 제외한 주택 가격 하락 트렌드는 전…

캐나다 정부 적자 10배나 더 늘어
등록자 KREW
등록일 07.10

캐나다 캐나다 정부 적자 10배나 더 늘어 3430억 달러…GDP의 16% 수준이다 돼 코로나 19 장기화 될 때 지원 여부 의무 코로나 19 사태로 캐나다 적자가 눈덩이처럼 불어났다. …

집장만 의지, 연속 상승곡선
등록자 KREW
등록일 09.24

한국 집장만 의지, 연속 상승곡선주택을 장만하고 싶은 의지가 6개월 연속 상승중이다.서울연구원은 최근 ‘3/4 분기 서울시 소비자 체감경기와 추석 경기 진단’(정책리포트 제284호)에 …

팬데믹 확산에 ‘백신 접종’ 희망 ‘급증’
등록자 NEWS
등록일 01.13

캐나다 팬데믹 확산에 ‘백신 접종’ 희망 ‘급증’ 남성 35~54세, 여성 55세 이상에서 큰 상승 전국적으로 코로나 19 사태가 심각해지면서 오히려 ‘백신 접종’ 희망자는 늘어나는 것으…

광역 밴쿠버 팬데믹 속 주택가격 상승 요인…
등록자 KREW
등록일 12.04

커뮤니티 광역 밴쿠버 팬데믹 속 주택가격 상승 요인… “홈바이어 수요 여름 이후 역대 기록 수준에…” 도시 외곽 초점…선샤인 코스트, 걸프 아일랜드 단독주택, 타운홈 작년비 거래, 집값 동…

브로드웨이 신규 역세권 관심 커지나
등록자
등록일 09.10

커뮤니티 브로드웨이 신규 역세권 관심 커지나지하철 올 가을 착공, 2025년 서비스 돌입브로드웨이 지하철 공사가 본격 시작될 전망이다. 현재로서는 UBC까지 연장 여부에 대한 결정이 나오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