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News
분류 캐나다

아시아인 인종차별, 젊은 층, 저소득층 ‘큰 타격’

작성자 정보

  • 작성자 NEWS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아시아인 인종차별, 젊은 층, 저소득층 ‘큰 타격’
앵거스 라이드 조사, 응답자 58%, 지난 1년 동안 경험


팬데믹 속에서 인종차별이 큰 이슈가 되고 있다. 국경 너머 미국의 흑인에 대한 인종차별이 아니다. 캐나다에서도 아시아인 등에 대한 인종차별이 큰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다. 최근에는 무슬림에 대한 인종차별로 온타리오에서 일가족이 사고를 당하는 사례도 생겼다.
그런데 최근 앵거스 라이드(Angusreid.org)의 조사에 따르면 캐나다에서는 젊은 층이 인종차별에 더 큰 타격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전반적으로 응답자의 절반 이상인 58%는 지난 1년 동안 아시아인에 반대하는 인종 차별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게다가 28%의 경우에는 이 같은 경우를 “항상”, “자주” 경험한다고 밝혀 더욱 우려가 되고 있다
게다가 젊은 층이나 소득 수준이 낮은 계층의 경우에는 이 같은 경험을 더욱 많이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아시안 차별 반대 지수(AADI)에 따르면 중국인을 포함한 아시아인의 인종주의에 대한 반응은 “큰 타격”(31%), “노출”(35%), “영향 없음”(35%) 등 세 가지로 구분된다. 그런데 아시아계 캐나다인 중에서도 55세 이상과 소득 수준이 높은 계층의 경우에는 마지막 그룹인 “영향 없음”에 포함될 가능성이 컸다. 반면 18~34세의 젊은 층과 저소득층은 “큰 타격”을 받는 그룹에 포함될 가능성이 그만큼 더 컸다는 것. 수치로 볼 때 18~34세의 경우에는 아시아 인종차별 반대 지수에서 “가장 큰 타격” 그룹에 41%를 기록했다. 55세 이상은 23%로 가장 적었다.
다만 각종 공공 기관이나 은행, 병원 등 조직을 통한 인종차별 경험은 많지 않다. 예를 들어 응답자 86%는 로컬 경찰이나, 보건 당국, 은행, 사법기관 등에서 불공정한 대우를 받지는 않았다고 대답했다. <도포=앵거스 라이드 제공>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2,793 / 93 Page
RSS
모기지주택공사, 모기지 보험 규정 완화
등록자 NEWS
등록일 07.07

부동산 모기지주택공사, 모기지 보험 규정 완화 크레딧 600점 이상으로 기준 낮춰…TDS 최대 44% 캐나다 모기지주택공사의 보험규정이 완화됐다. 지난해 코로나 19 팬데믹 불확실성 속에…

트랜스링크, 대중교통 이용자 확대 캠페인
등록자 NEWS
등록일 07.07

커뮤니티 트랜스링크, 대중교통 이용자 확대 캠페인 ‘관광 명소’ 연결, 25% 할인…캐필라노 서스펜션 등 트랜스 링크가 대중교통 이용객을 늘리기 위한 본격적인 캠페인이 나서고 있다. 팬데믹…

신규 인허가 주택 물량 빠르게 상승세
등록자 NEWS
등록일 07.07

한국 신규 인허가 주택 물량 빠르게 상승세 전국적으로 주택 인허가 실적이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향후 시장에서 신규 물량 공급이 크게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 …

BC, 2차 백신 접종 빠른 상승…1일 확진 20명
등록자 NEWS
등록일 07.06

커뮤니티 BC, 2차 백신 접종 빠른 상승…1일 확진 20명 1차 접종 성인 78%..2차 접종자 증가율 8%로 빨라 백신접종 시민권, 영주권자 ‘14일 자가격리’ 해제 최근 BC주 일일 …

BC, 산불 상황 ‘악화’…캠프파이어 위반 1150불
등록자 NEWS
등록일 07.06

커뮤니티 BC, 산불 상황 ‘악화’…캠프파이어 위반 1150불 최근 7일 동안 폭염…주 관내 사망자 평소 3배 늘어 BC주 산불 상황이 여전히 악화되고 있다. 현재까지 인재로 알려진 리튼(…

전국 3개 세대중 2세대 토지 소유
등록자 NEWS
등록일 07.06

한국 전국 3개 세대중 2세대 토지 소유 전년비 비중 소폭 하락…소유자 수 2.4% 늘어 전국의 세 가정 가운데 2개 세대는 토지를 소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비중은 지난해보다는 조금…

캐나다 주택시장 향후 5년 부머세대 ‘파워’…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07.02

캐나다 캐나다 주택시장 향후 5년 부머세대 ‘파워’… 부머세대 35%, 향후 5년 안에 집 구매…전국 320만 주택소유…전국 비중 75%이지만 BC주 79%, AB 84% 다운사이징 이유…

팬데믹 제재조치 후 심혈관계 환자 증가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07.02

캐나다 팬데믹 제재조치 후 심혈관계 환자 증가 신체활동 10%~40% 감소…향후 3년 동아 전망 팬데믹이 생각하지도 못한 의료분야에도 향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보고서가 나왔다. 즉 코…

“주택 장만 여건 개선하려면 주택 공급 늘려야”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07.02

커뮤니티 “주택 장만 여건 개선하려면 주택 공급 늘려야” 최근 전문가 패널, 23가지 제안서 발표…공급도 촉구 “집장만 여건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주택 공급을 늘려야 한다.” 최근 BC부동산…

신규 홈오너, 팬데믹 전 홈오너보다 부채 부담 커
등록자 NEWS
등록일 07.01

부동산 캐나다 신규 홈오너 “팬데믹 이전 홈오너들보다 부채 부담 커” CMHC, “경제 완전 회복 안 됐지만 집값 계속 상승”…’모순’ “팬데믹 이후 2020년 4분기 모기지 신규 대출 …

캐나다, 은퇴 연금 혜택 노동자 점점 “후퇴”
등록자 NEWS
등록일 07.01

캐나다 캐나다, 은퇴 연금 혜택 노동자 점점 “후퇴” 유급 노동자에서 1999년 40%...2019년 37% 등 은퇴 준비 과정의 하나인 연금플랜(Pension Plan)은 고령화 사회에…

BC 마스크 의무 해제...9월 정상화 ‘성큼’
등록자 NEWS
등록일 07.01

커뮤니티 BC 주, 마스크 의무 해제 경제 9월 정상화 ‘성큼’ 식당, 그룹당 인원 제한 없어져…테이블 왕래 금지 카지노, 나이트 클럽 오픈…전국 여행 자유로워져 주 경제가 점점 완전한 정…

쇼핑업체, 고객 유입 동력은 ‘보상 프로그램’
등록자 NEWS
등록일 06.30

캐나다 쇼핑업체, 고객 유입 동력은 ‘보상 프로그램’ 73%, “로열티 프로그램이 쇼핑장소에 영향” 응답 캐나다인의 쇼핑에 큰 영향을 주는 요소는 무엇일까? 고객을 향한 보상 프로그램(R…

BC주 젊은 층 불법 약물 사망 급증
등록자 NEWS
등록일 06.30

커뮤니티 BC주 젊은 층 불법 약물 사망 급증 30~59세가 전체 사망자 70%...밴쿠버, 써리 순 팬데믹 속에서 BC주의 약물중독 사태가 더욱 심각해지고 있다. 최근 주 정부의 집계에 …

세계로 수출되는 한국형 스마트 도시…
등록자 NEWS
등록일 06.30

한국 세계로 수출되는 한국형 스마트 도시… IT 기술을 이용한 첨단 도시를 구현하려는 ‘스마트 도시’. 그런데 한국형 스마트시티가 세계로 진출, 주목을 받고 있다. 국토교통부와 한국해외…

BC주 코로나 19 확진 ‘극적인 하락세’
등록자 NEWS
등록일 06.29

커뮤니티 BC주 코로나 19 확진 ‘극적인 하락세’ 병원 환자 감소로 향후 수술 등 서비스 정상 기대 2차 접종후 사망자 9명 등…성인 78% 백신접종 BC주 코로나 19 상황이 빠르게 개…

밴쿠버 총영사관, 한국전 참전용사 초청
등록자 NEWS
등록일 06.29

커뮤니티 밴쿠버 총영사관, 한국전 참전용사 초청 기념행사 및 인터뷰 등 총영사관 온라인에 공개 코로나 19 팬데믹과 때이른 여름 폭염에서도 한국전쟁에 대한 기억은 소중하게 기억됐다. 주 밴…

체감경기 상승에 ‘생활물가 안정’ 시급
등록자 NEWS
등록일 06.29

한국 체감경기 상승에 ‘생활물가 안정’ 시급 팬데믹 시대에서 서민들의 걱정은 물가 상승을 벗어날 수 없는 듯하다. 서울연구원이 최근 소비자 체감경기와 경제 정책을 조사, 발표했다. 이번…

BC주 팬데믹 이후 주택시장 5대 변화 요소...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06.25

캐나다 BC주 팬데믹 이후 주택시장 5대 변화 요소... “주택시장 균형까지는 아직도 먼 일이다…인벤토리 낮아” 단독주택 수요에 지속적 영향…수요 대비 착공 비율 적어 이민자 유입 202…

“전국 부동산 거래 두 달 연속 완만해져”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06.25

커뮤니티 “전국 부동산 거래 두 달 연속 완만해져” 집값은 전월대비 1%, 전년대비 24.4% 정도 올라 “주택 시장이 여전히 완만해지고 있다.” 지난 5월 전국 부동산 시장에 대한 캐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