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News
분류 캐나다

해외 방문객 지출 작년에 82 감소해

작성자 정보

  • 작성자 NEWS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해외 방문객 지출 작년에 82% 감소해
캐나다 내국인의 관광 지출도 38% 줄어


팬데믹에 가장 큰 영향을 받은 산업분야를 꼽으라면 관광분야를 언급하지 않을 수 없다. 실제 수치로 집계된 작년 한 해 동안 타격도 거의 절반 수준이었던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관광 지출(Tourism Spending)이 지난 4/4분기는 이전과 비교할 때 2% 정도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2020년 한 해 동안 실적은 거의 절반(-48.1%) 수준이었다. 관광 분야 국내 GDP가 4분기에 3.3% 줄었고, 연간 실적으로는 무려 47.9%나 하락했다. 관광 분야는 코로나19 바이러스 확산을 막기 위한 노력으로 ‘사회적 거리두기’ 도입과 식음료 서비스 분야의 비즈니스 록다운 등 다양한 요소에 영향을 받았다. 특히 국내외 항공 여행의 제한 및 제약도 큰 몫을 차지했다.
세부적으로 볼 때, 4분기 실적만 놓고 보면, 식음료 서비스 분야의 지출이 -11.6%로 크게 줄었다. 자동차 연료 분야 지출도 -3.6%이다. 연간 실적으로 볼 때, 항공기 이용객은 -72.4%나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단일 요소로는 2020년 한 해 관광산업 분야에서 가장 큰 하락세를 차지하고 있다.
해외 여행객들의 감소만이 아니다. 국내 주민들도 여행 산업에 영향을 주고 있다. 4분기만 볼 때, 캐나다인의 관광 지출이 3.4% 감소했다. 식품이나 음료 분야 지출이 -12.6%, 자동차 연료 지출이 -3.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지만 4분기 항공기 이용 분야는 18.5% 정도 늘었다. 다만 연간 실적으로 볼 때, 국내 관광 지출은 연중 38.6%나 감소했다. 국경 봉쇄로 인해 해외 여행객이 줄어들면서 국내 여행객의 지출은 그 비중이 2019년 78.4%에서 2020년 92.7%로 크게 늘어났다.
물론 해외 방문객의 지출도 매우 낮은 수준이다. 다만 4분기에는 이전보다 99.3% 정도로 늘었다. 그렇지만 2020년 한 해를 기준으로 볼 때 해외 방문객의 지출은 무려 82.5%나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경 봉쇄가 큰 몫을 차지하고 있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2,776 / 97 Page
RSS
BC주 코로나 19 '핫 스팟' 어디 어디에...
등록자 NEWS
등록일 05.12

커뮤니티 BC주 코로나19 ‘핫 스팟’ 지도로 공개 정부, 팬데믹 벌금 미납자 운전면허 갱신 거부… 주 정부가 예정대로 코로나 19 전파 관련 상세 데이터를 발표했다. 그동안 말로만 알려졌…

캐나다 젊은 층 ESG 투자부문 선두 이끌어
등록자 NEWS
등록일 05.12

캐나다 캐나다 젊은 층 ESG 투자부문 선두 이끌어 환경보호와 사회공헌, 윤리경영 등을 표방하는 기업 젊은 층은 항상 새로운 분야에서 선두를 이끌기 마련이다. 경험 많고 노련한 지식이 필…

고해상도 위성영상으로 디지털 국토망 구축
등록자 NEWS
등록일 05.12

한국 고해상도 위성영상으로 디지털 국토망 구축 국토위성(차세대중형위성) 1호가 촬영한 고해상도의 영상을 최초로 공개됐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 2월 검보정을 위한 시험기간을 거쳤음에…

BC, 연령별 백신접종 40대까지로 낮아져
등록자 NEWS
등록일 05.11

커뮤니티 BC, 연령별 백신접종 40대까지로 낮아져 최근 확진자 감소 추세에 ‘경제 재오픈’ 관심 커져 캐나다 동부, 노바 스코샤 제외 액티브 환자 적어 백신 접종 연령이 BC주에서 40대…

갱단 관련 총격 사건 5월에만 5건…
등록자 NEWS
등록일 05.11

커뮤니티 갱단 관련 총격 사건 5월에만 5건… 밴쿠버 국제공항 20대 남성 사망, 전세계 속보로 최근 BC 로어 메인랜드 일대에서 갱단 관련 총격 사건이 잇따라 발생하고 있다. 지난 주말 …

캘거리, 원유산업 도시에서 혁신산업 전환 모색
등록자 NEWS
등록일 05.11

캐나다 캘거리, 원유산업 도시에서 혁신산업 전환 모색 해고된 석유, 가스산업 노동자 칵테일 믹스 회사 창업 등 캐나다의 원유산업 중심 도시 캘거리가 혁신산업도시 전환을 모색하고 있다. 한…

주택시장 기록행진 속 저금리 효과 메말라…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05.07

부동산 주택시장 기록행진 속 저금리 효과 메말라… 집값, 전년비 13% 상승…월 페이먼트 전년비 2.24% 올라 “저이자로 촉발된 집값 상승세 모기지 이자 절약분 삼켜” 팬데믹 속에서도 …

캐나다인 팬데믹 속 크레딧 점수 오히려 개선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05.07

캐나다 캐나다인 팬데믹 속 크레딧 점수 오히려 개선 2020년 1분기 649점에서 올해 667점 등으로 크레딧 점수 낮을수록 페이먼트 미지불 더 많아 캐나다인은 팬데믹 속에서도 경제 여건…

생애 첫 주택구매 인센티브 더욱 확대돼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05.07

커뮤니티 생애 첫 주택구매 인센티브 더욱 확대돼 밴쿠버, 토론토, 빅토리아 3개 광역 도시 대상 기준 연소득 12만불에서 15만불…소득 4.5배 대도시 젊은 층이 오랫동안 바랬던 생애 첫 …

“움츠렸던 홈셀러들, 시장 활동에 반응 시작”
등록자 NEWS
등록일 05.06

부동산 “움츠렸던 홈셀러들, 시장 활동에 반응 시작” 광역 밴쿠버 집 판매량, 전년비 342.6%...전월비는 감소 액티브 리스팅 대비 세일즈, 타운홈 70%, 단독은 37.4% 그동안 …

“월 거래량 리스팅 함께 상승…가격 진정”
등록자 NEWS
등록일 05.06

부동산 “월 거래량 리스팅 함께 상승…가격 진정” 프레이저 밸리 주택 거래 전년대비 무려 338%나 프레이저 밸리에서도 완연한 봄 시장의 기운이 펼쳐졌다. 월 거래량과 신규 리스팅이 함께…

메트로 밴쿠버 향후 30년간 인구 100만 더
등록자 NEWS
등록일 05.06

부동산 메트로 밴쿠버 향후 30년간 인구 100만 더 트랜스링크도 5월 14일까지 2050 교통 플랜 의견수렴 메트로 밴쿠버 인구는 앞으로도 계속 늘어날 전망이다. 지리적으로 제한된 토지…

노동력, 성장률 둔화에 정부 적자 악화로…
등록자 NEWS
등록일 05.06

캐나다 캐나다 고령화 노동력, 성장률 둔화에 정부 적자 악화로… “투자와 생산성 약세 만회를 위해 노동력 성장 의존 못해” “팬데믹 전에도 젊은 층 노동시장에서 자리잡기 어려워” 캐나다의…

BC주민, 3개월 유동자산 보유 비중 커
등록자 NEWS
등록일 05.05

부동산 BC주민, 3개월 유동자산 보유 비중 커 63.5%를 기록…온타리오 59.1%, 매니토바 59.4% 등 자산의 탄력성(asset resilient). 최소한 세금 공제한 이후 3개…

캐나다 한인, 한국 입국 때 사전승인 받아야…
등록자 NEWS
등록일 05.05

캐나다 캐나다 한인, 한국 입국 때 사전승인 받아야… 5월부터 전자여행허가(K-ETA) 시행…9월 의무화 코로나 19 팬데믹으로 한국과 캐나다 무비자 조항은 거의 유명무실 해졌다. 항공여…

팬데믹 속에서도 미분양 주택은 줄어…
등록자 NEWS
등록일 05.05

한국 팬데믹 속에서도 미분양 주택은 줄어… 전국적으로 미분양 주택이 올해 초 하락 기조를 보이고 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3월 기준 전국의 미분양 주택이 총 15,270호로 집계되었으…

BC주, 7월 캐나다데이 전까지 접종…
등록자 NEWS
등록일 05.04

커뮤니티 BC주, 7월 캐나다데이 전까지 접종… 최근 확진자 하락세…5월에만 100만 회분 최근 여행제한 등 조치들이 효과를 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말 확진자 수가 조금씩 하락곡선을…

외국인 부동산 투기 막기 위한 대도시 정책…
등록자 NEWS
등록일 05.04

한국 외국인 부동산 투기 막기 위한 대도시 정책… 한국에서도 외국인의 부동산 투기를 막기 위한 캐나다 대도시의 정책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 가운데 서울연구원이 관련 정책을 분석, 내…

생애 첫 주택구매자 시 외곽으로 눈 돌려…
등록자 NEWS
등록일 05.01

부동산 생애 첫 주택구매자 시 외곽으로 눈 돌려… 전국 평균 47%...BC주와 온타리오에서 53%로 더 많아 “근무 융통성, 가격 상승 사이에서 이 흐름 계속 전망” 일반적으로 젊은 층…

“캐나다 동부 해양도시 회복력 더 빨라…”
등록자 NEWS
등록일 05.01

캐나다 “캐나다 동부 해양도시 회복력 더 빨라…” 팬데믹 충격 적고, 재오픈 스몰 BIZ 더 많아” 전국 경제 회복 속도는 각 주 현실에 따라 차이가 날 것으로 예상됐었다. 그런데 캐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