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News
분류 캐나다

캐나다 집장만 여건 “벌써 팬데믹 이전 수준…”

작성자 정보

  • 작성자 부동산밴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캐나다 집장만 여건
“벌써 팬데믹 이전 수준…”

밴쿠버, 토론토, 빅토리아 집장만 이슈가 첨예해져
“집값 상승에 스몰 마켓 집장만 여건 우위 줄어져…”

캐나다 주택시장 열기에 집장만 여건(Affordability)이 다시 영향을 받고 있다. 그렇다고 시장 냉각 가능성이 있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향후 팬데믹이 진정되면 다시 이민자 유입이 늘어나 주택 수요가 계속될 여지도 남아 있다.

RBC 이코노믹스는 최근 캐나다 주택시장 분석 보고서를 통해 “캐나다 주택 시장의 열기가 집장만 여건을 압박(Strain)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주요 분석 내용을 보면, 치솟는 주택 가격(Soaring Home Prices)은 이전까지 쌓아 올린 집장만 여건 점수를 갉아먹고 있다. 시뻘겋게 달아 오른 시장이 RBC의 전국 종합 집장만 여건 점수를 두 번 연속 끌어 올린 것이다. 이전보다 1.3%p 늘어난 50.3%가 됐다. 말 그대로 팬데믹 이전 수준까지 되돌아 간 것.

다음으로 주택 소유 비용이 전국 모든 지역에서(4/4분기 기준)에서 올랐다. 밴쿠버는 물론, 토론토와 오타와, 몬트리올 4대 지역이 다른 시장보다 훨씬 더 높은 수준의 증가세를 보였다. 세 번째로, 캐나다 중부의 프레어리(Prairies)와 동부의 애틀랜틱 캐나다 지역은 여전히 집장만 여건이 비교적 좋은 편이다. 이곳 시장은 지난 2020년 하반기 일부 지표의 악화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매력적인 곳이다. 집장만 이슈가 가장 첨예한 곳으로는 밴쿠버와 토론토, 빅토리아가 꼽히고 있다.

덧붙여 단기간 전망을 볼 때, 2021년 초반에 주택 가격이 상승세를 탄다면 상황은 좀더 어려워질 수 있다. 작은 시장들의 경우에는 비교 우위에 서 있던 집장만 여건마저 잃어버릴 수 있다. 이는 또한 바이어들을 다른 지역(Town)으로 내몰아, 자신들이 장만할 수 있는 집을 사도록 하는 동력이 될 수 있다. 콘도와 아파트는 여전히 많은 부동산 시장에서 중요한 옵션이 되고 있지만 올해 시간이 지날수록 주택 가격 상승 부담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된다.

수치로 볼 때, RBC 보고서는 아직도 전국의 주요 도시들은 역사적 평균 수준 범위의 집장만 여건 지수를 보여주고 있다고 평가했다. 세인트 존스의 경우에는 24.2%, 리자이나 26.1%로 집장만 하기 좋은 도시들이다. 반면 밴쿠버는 78.8%, 토론토가 67.6%, 빅토리아가 55.3% 등으로 점점 해당 점수가 상승하고 있다. 모두 캐나다에서 가장 비싼 3대 도시들이다.

이밖에 몬트리올(43.5%), 오타와(40%) 등지는 지난 1년 동안의 집장만 지수 하락 이후 최근 다시 홈바이어들에게 부담을 주고 있는 상황이다. 콘도 아파트의 경우에는 비교적 나은 편이다. 캐나다 전국적으로 38.4%를 기록하고 있다. 물론 밴쿠버는 46.4%, 토론토가 42.1%, 빅토리아가 35.2%로 캐나다 모기지주택공사가 권장하는 수준보다는 높다. 그렇지만 캘거리는 21.9%, 에드먼턴이 19.3%, 오타와가 25.7%, 몬트리올은 33.3% 등으로 비교적 집장만 가능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2,801 / 101 Page
RSS
대도시 주민 절반 “집값 비이성적 높아”
등록자 NEWS
등록일 04.08

부동산 대도시 주민 절반 “집값 비이성적 높아” 무주택자 45%, “살 수 있는 집이 현재 없다” “가진 자와 가지지 못한 자(To Have & Have Not).” 단순한 재산이 아닌 …

팬데믹에 영향을 덜 받는 문화산업 분야…
등록자 NEWS
등록일 04.08

캐나다 팬데믹에 영향을 덜 받는 문화산업 분야… 사운드 레코딩 산업…스트리밍 매출 성장 동력 새로운 디지털 소비 방식인 스트리밍(Streaming) 서비스가 캐나다의 음향 레코딩 산업의 …

캐나다 3개 준주 주민 소득 수준은…
등록자 NEWS
등록일 04.08

캐나다 캐나다 3개 준주 주민 소득 수준은… 세금공제 후 중간소득 8만 3100불…노스웨스트 최다 캐나다의 3개 준주는 10개 주와 비교할 때 비교적 그 경제 규모가 잘 알려지지 않고 있…

“BC 주거용 퍼밋 상승, 온타리오 등 하락세 상쇄엔 부족”
등록자 NEWS
등록일 04.07

부동산 “BC 주거용 퍼밋 상승, 온타리오 등 하락세 상쇄엔 부족” 전국 빌딩 퍼밋 첫 월간 100억불 돌파…비주거용 시장 주도 캐나다에서 월간 발행된 빌딩 퍼밋이 100억 달러를 처음으…

해외 방문객 지출 작년에 82 감소해
등록자 NEWS
등록일 04.07

캐나다 해외 방문객 지출 작년에 82% 감소해 캐나다 내국인의 관광 지출도 38% 줄어 팬데믹에 가장 큰 영향을 받은 산업분야를 꼽으라면 관광분야를 언급하지 않을 수 없다. 실제 수치로 …

캐나다 대학들 올해도 세계 상위권에
등록자 NEWS
등록일 04.07

캐나다 캐나다 대학들 올해도 세계 상위권에 토론토대, UBC, 맥길 대학 등…순위도 올라 캐나다 대학들이 올해도 글로벌 대학 톱 순위에 이름을 올렸다. 팬데믹 속에서 이전처럼 교실 수업이…

사회갈등 심각하지만…이유 “제각각”
등록자 NEWS
등록일 04.07

한국 사회갈등 심각하지만…이유 “제각각” 현대사회는 다양한 사회 경제적 갈등을 벗어나기 어려운 듯하다. 그런데 서울에서는 주민 87%가 사회 갈등이 심각하다고 판단, 우려가 되고 있다.…

BC주, 일반 주민 대상 3단계 백신 접종
등록자 NEWS
등록일 04.06

커뮤니티 BC주, 일반 주민 대상 3단계 백신 접종 등록 후 코드 발급받고 나서 접종신청…온라인, 전화 55~65세 아스트라 제네카 접종 가능 약국 장소 공개 본격적인 온라인 백신 접종 예…

BC, 브라질 변이 바이러스 가장 많은 주
등록자 NEWS
등록일 04.06

커뮤니티 BC, 브라질 변이 바이러스 가장 많은 주 전국 857건중 BC주에 737건…온타리오 103건 BC 최근 확진자 1일 1000명 수준…누적 10만명 캐나다 전국적으로 코로나 19 …

국토면적 어김없이 또 늘어나…
등록자 NEWS
등록일 04.06

한국 국토면적 어김없이 또 늘어나… 전국적으로 국토면적이 늘었다. 생물도 아닌 국토 면적 증가는 여러 가치 측면에서 일견 머리를 갸우뚱하게 만들기도 한다. 그렇지만 매립 공사 등으로 해…

캐나다 집장만 여건 “벌써 팬데믹 이전 수준…”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04.02

캐나다 캐나다 집장만 여건 “벌써 팬데믹 이전 수준…” 밴쿠버, 토론토, 빅토리아 집장만 이슈가 첨예해져 “집값 상승에 스몰 마켓 집장만 여건 우위 줄어져…” 캐나다 주택시장 열기에 집장…

캐나다 전국 임금 ‘증가’…급여대상 ‘감소’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04.02

캐나다 캐나다 전국 임금 ‘증가’…급여대상 ‘감소’ 최신 주급 1135달러...전년대비 8.3% 증가해 급여대상 노동자 13만 명 감소…-0.8%나 줄어 전국적으로 캐나다 임금이 크게 늘…

생애 첫 주택구매자 ‘팬데믹 저축’ ‘다운페이’로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04.02

캐나다 생애 첫 주택구매자 ‘팬데믹 저축’ ‘다운페이’로 앨버타와 중부 생애 첫 구매자 55%~70% “시장 낙관” BC, 온타리오, 퀘벡 ‘비관적’…각각 20%~22%에 불과 생애 첫 …

전국 가정의 실질 최종 지출 3.2 감소해
등록자 NEWS
등록일 04.01

캐나다 전국 가정의 실질 최종 지출 3.2% 감소해 정부의 사회적 지원은 2009년 이후 최다 늘어 캐나다 가정의 씀씀이가 줄었다. 지난 한 해 동안 팬데믹 속에서 소비자들은 허리를 졸라…

노인 인구 23지만…의료비 71 차지해(
등록자 NEWS
등록일 04.01

캐나다 캐나다 2040년 노인 인구 23%지만…의료비 71% 차지해 공공 보건을 추구하고 있는 캐나다. 장점만큼 많은 단점이 노출되는 가운데 최근에는 고령화 시대 속에서 피할 수 없는 우…

전국 ‘증오범죄’ BC주 인구비중 ‘최다’
등록자 NEWS
등록일 04.01

캐나다 전국 ‘증오범죄’ BC주 인구비중 ‘최다’ 캐나다 ‘증오범죄’ 뚜렷한 상승…전년비 7% 캐나다에서도 팬데믹 기간중 아시아인에 대한 증오범죄(Hate Crime) 우려가 커지고 있다…

캐나다 팬데믹이 가져 온 경제 사회 1년 변화
등록자 NEWS
등록일 03.31

캐나다 캐나다 팬데믹이 가져 온 경제 사회 1년 변화 ‘K’ 자형 경제 영향, 가정경제 개선, 뜨거운 주택 시장 경제적 의미에서 3월은 캐나다 팬데믹이 1주년을 맞이하는 시즌이다. 작년 …

캐나다 경제 두 달 연속 ‘상승곡선’
등록자 NEWS
등록일 03.31

캐나다 캐나다 경제 두 달 연속 ‘상승곡선’ 전월대비 0.7% 성장…당초 전망 0.5%보다 높아 올해 2021년은 경제 전망이 밝을 것으로 예상됐다. 실제로 1월 실질 GDP 성장률이 전…

전국 주택 인허가 ‘감소’…착공은 ‘증가’
등록자 NEWS
등록일 03.31

한국 전국 주택 인허가 ‘감소’…착공은 ‘증가’ 전국 주택 시장 흐름이 엇갈린 행보를 보이고 있다. 착공이 늘어나지만 인허가 건수는 줄어들면서 향후 시장 공급이 감소할 것으로도 기대된다…

포트무디, 우드랜드 파크 구역 ‘구체화’ 기대
등록자 NEWS
등록일 03.30

부동산 포트무디, 우드랜드 파크 구역 ‘구체화’ 기대 1400여개 스트라타 등 1800여 개 유닛…2개 공원 등 포트무디의 오래된 우드랜드 파크 생활구역(Woodland Park Nei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