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News
분류 커뮤니티

캐나다인 거주지 선택기준은...

작성자 정보

  • 작성자 부동산밴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캐나다인
거주지 선택기준은...

인구 70%, 초등교육시설 1.5km 이내에 살아 
약국 1km 이내 인구 60%, 식료품점 1km 절반

캐나다는 전세계적으로 러시아 다음으로 토지가 넓은 국가이다. 전세계 토지 면적의 6.1%를 차지하고 있다. 다만 인구는 한국보다 적을 정도로 많지 않다. 특징이라면 대다수 인구가 도시에 집중해 있다는 것. 이민자들에게는 캐나다인이 모여 사는 특징도 주택 선택이나 경제, 비즈니스 선택에서도 큰 관심 대상이다.

통계청은 최근 캐나다의 서비스 및 편의시설 접근성 또는 근접성에 대한 조사 결과를 내놓았다. 결과적으로 캐나다인 거의 20%는 ‘편의 시설 밀집 지역(Amenity Dense)’ 구역에 거주했다. 편의시설 밀집이란 식료품 가게와 약국, 대중교통 수단이 도보로 1Km 이네에 위치한 곳이다. 덧붙여 탁아시설과 초등학교, 도서관이 1.5k 이내, 운동시설이 3km 운전거리 이내, 직장이 10km 운전 거리 이내이다. 그만큼 대다수 인구는 직장에서 가까운 곳에 거주한다는 의미가 된다.

특히 캐나다인 절반 정도는 식료품 점에서 1km 이내 거리에 위치했다. 대도시 주민을 기준으로 보면, 인구의 55%가 식료품 가게 근처에 살았다. 소규모 도시(Small Metro)를 기준으로 한다면 그 비중은 30%로 떨어진다. 전원도시를 기준으로 한다면 16%로 더욱 줄어들기 마련이다.

주목할 부분은 바로 약국이다. 캐나다인 거의 60%는 약국에서 1km 이내 지점에 살았다. 의료 시설을 기준으로 본다면 88%가 3km 이내의 운전 거리에서 거주했다. 대도시를 기준으로 보면, 그 비중은 97%로 훌쩍 높아진다. 소규모 도시라면 87%, 전원도시라면 50%이지만 여전히 식료품 가게와 비교할 때도 큰 비중이다.

교육시설도 관심 대상이다. 거의 70%의 캐나다인은 초등 교육시설에서 1.5km 이내 지역에 살았다. 자녀 탁아시설과도 비슷하다. 다만 중 고등학교 시설과 비교한다면 그다지 높지 않다. 예를 들어 중 고등학교와 1.5km 도보 거리에 위치한 인구 비중은 42%에 불과했다. 다만 대도시라면 이 비중이 49%, 소규모 도시는 38%로 조금씩 떨어진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2,795 / 104 Page
RSS
신규 분양 물량도 전국 감소세
등록자
등록일 09.02

한국 신규 분양 물량도 전국 감소세전세계적인 팬데믹 속에서도 신규 미분양 주택은 전국적으로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수도권에서는 미분양이 늘어난 상태라고 국토교통부가 분석했다.이…

코퀴틀람시, Lafarge Lake 산책로 조성 70만 달러 요청
등록자 KREW
등록일 01.27

커뮤니티 로컬뉴스를 전해드립니다. 코퀴틀람 주민들에게 정말 좋은 소식인 것 같네요. 코퀴틀람시는 라파지 레이크(Lafarge Lake) 루프 트레일 업그레이드에 필요한 예산중 일부를 주정부…

전국 식음료 서비스 매출 첫 달 ‘감소’
등록자 KREW
등록일 03.21

캐나다 전국 식음료 서비스 매출 첫 달 ‘감소’퀘벡 -2.5%로 커…앨버타 -1.6%, BC주 -1.2% 등올해 캐나다 경제는 지난해보다 소폭 위축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었다. 자연히…

주민 18세 34세, 2주 1회씩 ‘배달 음식’
등록자 NEWS
등록일 02.10

커뮤니티 주민 18~34세, 2주 1회씩 ‘배달 음식’ 작년보다는 줄어…BC주민 전반적 32% 주문 소매점포들은 정부의 각종 정책으로 큰 변화를 겪기 마련이다. 코로나 19 도 예외는 아니…

캐나다 노인들도 집장만 걱정 시대
등록자 KREW
등록일 05.31

캐나다 캐나다 노인들도 집장만 걱정 시대 주거지 필요 핵심 계층 5년새 21% 늘어 BC주 노인 더 취약…5년새 16.8% 증가해 주거지가 필요한 핵심 계층(Household in Cor…

캐나다인 점점 식물성 식사로 전환
등록자 KREW
등록일 09.10

커뮤니티 캐나다인 점점 식물성 식사로 전환사회가 다변화 되는 현상은 각 개인과 가정의 식탁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특히 캐나다에서는 점점 더 동물성 식사(Animal-Reliant Diet)…

“캐나다 경제 근본적으로 바뀌어야 한다”
등록자
등록일 10.22

캐나다 “캐나다 경제 근본적으로 바뀌어야 한다” 캐나다인 32%, 코로나19로 불안, 우울증, 패닉 등 23%는 대출 및 카드 감당할 수 있는 것보다 빚 많아 코로나 19와 같은 팬데믹 …

BC 코로나 사태 “어쩌나”…연일 300명 이상
등록자 NEWS
등록일 11.03

커뮤니티 BC 코로나 사태 “어쩌나”…연일 300명 이상 연령대 별 확진자 20~29세 최다…연말 우려 커 BC주 코로나 19 사태가 심상치 않은 조짐을 보여주고 있다. 최근 24시간 동안…

선거 패배 윌킨슨 BC 자유당 대표 사퇴
등록자 NEWS
등록일 10.27

커뮤니티 선거 패배 윌킨슨 BC 자유당 대표 사퇴 BC NDP, 선거 승리…과반수 넘겨 다수당으로 BC주 스냅선거(Snap Election) 결과가 드디어 드러났다. 여전히 우편 투표 결과…

BC주택 시장 ‘거래 정상’속 리스팅 ‘가뭄’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09.17

커뮤니티 BC주택 시장 ‘거래 정상’속 리스팅 ‘가뭄’ 평균 집값 전년비 17.2% 올라…거래량은 7.1% 감소해 액티브 리스팅 37.9%나 감소…8월 평균보다 42%적어 “주택 거래가 정…

밴쿠버 정신 건강, BC 및 전국보다 “안 좋아”
등록자 KREW
등록일 10.24

캐나다 밴쿠버 정신 건강, BC 및 전국보다 “안 좋아”밴쿠버, 과체중, 비만 ‘적고’, 신체 운동량 ‘더 많아’빅토리아 주민, 정신 건강 ‘좋고’, 비만자 ‘더 적어’캐나다의 전반적 건…

매 7분마다 자동차 도난사고
등록자 KREW
등록일 03.27

커뮤니티 매 10분마다 자동차 도난사고자동차 도난 사고는 전세계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다. 그런데 캐나다에서는 전국적으로 평균 7분 만에 차량 한 대가 도난 당하는 것으로 IBC 조사에서 나…

오는 2036년 이민자 인구 절반 ‘아시안’
등록자 KREW
등록일 06.26

캐나다 오는 2036년 이민자 인구 절반 ‘아시안’이민자중 유럽계 비중 31%에서 15~17%로 줄어밴쿠버와 토론토 등 대도시에 비기독교인 늘어캐나다 인구 전망은 향후 이민자 비중이 확실…

“BC 고용주 의료세금 부담 결국 노동자에게…”
등록자 KREW
등록일 08.13

커뮤니티 “BC 고용주 의료세금 부담 결국 노동자에게…”고용주 급여세 인상, 노동시간 고용 등 노동자에 부담프레이저 연구소, 연간 3000달러 부담 노동자에 전가공공의료 체계를 갖춘 캐나다…

캐나다 경제 1530 위축 전망
등록자
등록일 04.16

캐나다 캐나다 경제 15~30% 위축 전망뱅크 오브 캐나다, 기준금리 0.25% 동결캐나다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그렇지만 금리 동결 배경에서 드러난 캐나다 경제 위축 전망은 더…

캐나다 성인, 부모와 함께 사는 비중 커져
등록자 KREW
등록일 02.20

캐나다 캐나다 성인, 부모와 함께 사는 비중 커져1995년 비중 5%에서 2017년 9%로 거의 두 배대학생 비중 커…중국계 많은 등 문화적 요소도해외 이민의 목적은 사람마다 다르다. 그…

캐나다인 거주지 선택기준은...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02.19

커뮤니티 캐나다인 거주지 선택기준은... 인구 70%, 초등교육시설 1.5km 이내에 살아 약국 1km 이내 인구 60%, 식료품점 1km 절반 캐나다는 전세계적으로 러시아 다음으로 토지가…

캐나다 국내 각 주별 ‘무역장벽’ 해소 GDP 3.8
등록자 NEWS
등록일 11.19

캐나다 캐나다 국내 각 주별 ‘무역장벽’ 해소 GDP 3.8% BC주 온타리오 3%도...가구당 소득 6000불 이상 캐나다의 전반적 경제력이 늘어날 수 있는 방안이 새롭게 제시되고 있다…

임금보조, 긴급렌트 보조 등 6월까지 연장
등록자 NEWS
등록일 03.04

캐나다 임금보조, 긴급렌트 보조 등 6월까지 연장 연방 정부, CEWS, CERS, LSP 등 지원에 160억불 연방 정부의 코로나 19 지원 정책이 다시 한번 연장된다. 기업의 임금 보…

‘사회적 거리두기’ 잘 될까…
등록자
등록일 03.24

커뮤니티 ‘사회적 거리두기’ 잘 될까…주민, 22% “노인 방문 합리적” 판단사람들의 행동이 하루 아침에 바뀌기는 힘든 듯하다. 정부가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 대비를 위해 ‘사회적 거리두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