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News
분류 커뮤니티

금융권도 팬데믹 영향 이자율 하락후 5년 고정금리 선호…49

작성자 정보

  • 작성자 부동산밴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금융권도 팬데믹 영향
이자율 하락후 5년 고정금리 선호…49%

모기지 대출 작년 1080억 달러 추가…신규 및 갱신
시중은행 모기지 연기 79만건, 비금융권 10만건

전국 금융권도 팬데믹에 큰 영향을 받았다. 금융권은 여전히 역사적으로 낮은 저금리 시대를 이어가는 상태이다. 통계청은 캐나다 모기지 시장을 기준으로 코로나 19 팬데믹 이전과 팬데믹 시대를 비교 분석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팬데믹에도 불구하고 모기지 대출은 지난 2020년에도 기록적 수준을 보였다. 전국 가정에서 추가한 모기지 부채는 거의 1080억 달러에 이른다. 지난 2019년에 기록했던 모기지 대출 규모의 2/3 수준이다. 전반적 경제적 혼란에도 불구하고 모기지 대출로 인한 크레딧 손실은 여전히 적었다. 3/4분기를 기준으로 할 때 가구당 모기지 전체 부채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01%에 불과하다.

결과적으로 팬데믹 속 기록적 수준의 신규 모기지 대출은 신규 모기지는 물론 모기지 갱신을 통해 초래됐다. 지난 2020년에 발생한 신규 모기지 대출 규모를 보면, 역사적으로 낮은 이자율과 주택 수요의 힘을 알 수 있다. 신규 모기지의 경우에는 지난 3월 시즌적 영향을 고려할 때 처음으로 420억 달러를 초과했다. 당시 3월에는 이자율이 역사적으로 낮은 수준으로 떨어진 시점이다. 자연히 모기지 갱신이 빠르게 늘었다. 전체 모기지 갱신 규모도 13.3%나 늘었다. 수많은 금융기관들이 대출자들에게 갱신 기간 수 개월 전부터 갱신을 할 수 있도록 했다.

일반 가정 주택 대출자들도 역사적으로 낮은 이자율에 크게 반응, 계약을 바꾸기도 했다. 팬데믹 기간 동안을 보면, 좀더 많은 캐나다인이 시중은행을 통해 5년짜리 고정 모기지를 선호했다. 지난 2020년 하반기까지 존재하는 모기지 미지불잔고의 거의 절반(49%)을 차지한다. 2019년 초반보다도 7%p 늘어난 것. 이자율이 떨어지면서 변동 모기지 금리에 대한 수요도 늘었다. 장기 이자율이 천천히 변하기 때문이다. 장기 이자율이 변동 금리를 반영하게 되면서 5년짜리 고정 금리에 대한 수요가 여름까지 늘어난 것.

주목할 부분은 많은 가정이 모기지 납부를 연기하면서 부채 서비스 비율(Debt Service Ratio)이 하락한 것이다. 이 비율은 가구당 가처분 소득에서 차지하는 원리금의 비중이다. 연기된 금액의 비중은 1/4분기 1% 미만이었지만 2/4분기에는 18%로 늘었다. 다만 금융당국(OSFI)의 신규 승인이 10월 1일 끝나면서 3/4분기까지 이 비중은 상당히 줄어들기도 했다.

이밖에 지난 2020년 3월 록다운(Lockdown)이 시작되면서 비금융권을 통한 가구당 모기지 부채의 상승률은 둔해졌다. 시중은행들이 대규모 자금을 제공했기 때문이다. 일자리도 줄어들고 지난 3월 중순에는 비즈니스 사업체도 문을 닫으면서 수많은 캐나다인은 일자리를 잃고 규정 시간보다 노동시간도 적었다.

이에 따라 캐나다 금융당국(OSFI)은 금융기관을 통해 대출자들에게 모기지 납부 연기를 할 수 있도록 조치를 취하기도 했다. 지난 11월 30일을 기준으로 할 때 시중은행을 통해 모기지 페이먼트 연기를 한 대출자들은 79만 명에 이른다. 비금융권을 통한 모기지 대출 연기도 10만 건을 넘어섰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2,800 / 36 Page
RSS
전국 주택 건축비 마저 빠른 상승세 보여
등록자 NEWS
등록일 02.11

캐나다 전국 주택 건축비 마저 빠른 상승세 보여 분기대비 2.9%로…비주거용은 0.4% 증가에 그쳐 전년비 주택 건축비, 비주거용보다 4배 더 빨라 “전국적 주택 수요 증가 커져도 목재는…

“올해 주택시장 수요-공급 계속 빠듯할 듯”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02.12

캐나다 “올해 주택시장 수요-공급 계속 빠듯할 듯” 홈바이어들의 콘도, 아파트 관심 재가열 가능해 올해 캐나다 주택 시장은 전국적으로 이전과 비슷하게 빠듯한 시장 조건을 이어갈 것으로 전…

캐나다 팬데믹 제재조치로 다시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02.12

커뮤니티 캐나다 팬데믹 제재조치로 다시 일자리 감소…재택 늘어 전국 일자리 21만 3천개 줄어…대부분 파트 타임 재택근무 70만 늘어난 540만 명…작년보다 많아 한동안 상승기조를 보이던 …

캐나다 주택 ‘팬데믹 트렌드’ 단독주택, 집값 올려…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02.12

캐나다 캐나다 주택 ‘팬데믹 트렌드’ 단독주택, 집값 올려… 상반기 콘도, 집값 상승 주도...하반기엔 ‘단독’으로 주택 수요 촉진에 모기지 빚 전년대비 7.4% 늘어나 밴쿠버, 신규 단…

항공 여행객 작년보다 68나 뚝 ‘감소’
등록자 NEWS
등록일 02.16

한국 항공 여행객 작년보다 68%나 뚝 ‘감소’ 해마다 상승곡선을 보였던 해외여행이 팬데믹에 큰 타격을 받은 게 수치로도 보여지고 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해 한 해 동안 항공여행…

캐나다 입국자 ‘호텔 격리’ 22일부터
등록자 NEWS
등록일 02.16

캐나다 캐나다 입국자 ‘호텔 격리’ 22일부터 코로나 검사필요 3일 동안..비용은 여행자 부담 드디어 캐나다 정부가 구체적인 해외 여행 관련 격리 방안을 내놓았다. 연방 교통부와 총리실에…

팬데믹 이후, 남성의 가사부담 ‘늘어’
등록자 NEWS
등록일 02.16

캐나다 팬데믹 이후, 남성의 가사부담 ‘늘어’ 여전히 여성 부담 커…남성, 세탁 8%->16%로 캐나다에서 팬데믹이 생활 곳곳에 변화를 주고 있다. 코로나19속에서 가족들이 가정에서 다함…

올해 최대 경제 이슈 ‘청년 실업’, ‘고용’
등록자 NEWS
등록일 02.17

한국 올해 최대 경제 이슈 ‘청년 실업’, ‘고용’ 경제는 해마다 큰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다. 단순한 경제 이슈에만 머물지 않고 다양한 방면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서울 연구원의…

BC주 ‘비상조치’ 3월까지 연장돼
등록자 NEWS
등록일 02.17

커뮤니티 BC주 ‘비상조치’ 3월까지 연장돼 UK, SA 이어 나이지리아 ‘변이’도 1건 발견 BC주 3개 케어시설에서도 ‘아웃브레이크’ BC주 ‘비상 조치’가 다시 또 연장, 3월까지 이…

‘변이’ 바이러스, 캐나다 전국에서 확인
등록자 NEWS
등록일 02.17

캐나다 ‘변이’ 바이러스, 캐나다 전국에서 확인 제3차 파동 우려…540건의 UK, 33건 남아프리카 변이 등 전국적으로 코로나 변이 바이러스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현재로서는 전국…

캐나다 이민부, 경력이민자 대거 선발
등록자 NEWS
등록일 02.18

캐나다 캐나다 이민부, 경력이민자 대거 선발 최근 익스프레스 엔트리 무려 2만 7000여명 캐나다 이민정책에 큰 변화가 보이기 시작하고 있다. 코로나 19로 해외여행이 자유롭지 않고 자칫…

경기후퇴기 이전에 보인 캐나다 경제 성과
등록자 NEWS
등록일 02.18

캐나다 경기후퇴기 이전에 보인 캐나다 경제 성과 소득, 노동력, 비즈니스 투자 등 최근이 과거보다 ‘약세’ 팬데믹이 지속되면서 캐나다 경제도 ‘경기 후퇴’에 대한 우려가 나오고 있다. 그…

밴쿠버, 토론토…”같은 듯 다른 듯”
등록자 NEWS
등록일 02.18

부동산 밴쿠버, 토론토…”같은 듯 다른 듯” 고급 주택화, 근교화에 차이…토론토 도시 확장 빨라 전국의 대도시는 저마다 경제 사회적 특징이 있다. 이 같은 격차는 주택 시장과 흐름에도 차…

금융권도 팬데믹 영향 이자율 하락후 5년 고정금리 선호…49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02.19

커뮤니티 금융권도 팬데믹 영향 이자율 하락후 5년 고정금리 선호…49% 모기지 대출 작년 1080억 달러 추가…신규 및 갱신 시중은행 모기지 연기 79만건, 비금융권 10만건 전국 금융권도…

캐나다인 거주지 선택기준은...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02.19

커뮤니티 캐나다인 거주지 선택기준은... 인구 70%, 초등교육시설 1.5km 이내에 살아 약국 1km 이내 인구 60%, 식료품점 1km 절반 캐나다는 전세계적으로 러시아 다음으로 토지가…

BC부동산 기록적 출발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02.19

부동산 BC부동산 기록적 출발 주택 거래량, 집값 동반 ‘두 자릿수 상승’ 프레이저, 내륙, 아일랜드 이전기록 깨 액티브 리스팅 2만채…2000년대 ‘후퇴’ 예상대로 올해 첫 부동산 시장…

고용지표에서 남녀격차 얼마나 될까
등록자 NEWS
등록일 02.23

한국 고용지표에서 남녀격차 얼마나 될까 현대 사회는 남녀평등의 사회이다. 그런데 고용지표에서는 왜 큰 차이가 날까? 한국도 예외는 아니다. 최근 서울연구원은 여성 일자리와 기업에 대한 …

BC 학교에서도 ‘변이 바이러스’ 사례 속속…
등록자 NEWS
등록일 02.23

커뮤니티 BC 학교에서도 ‘변이 바이러스’ 사례 속속… 밴쿠버 종합병원, 킬로나 종합병원 등지 ‘아웃브레이크’ 최근 주말 동안 코로나 19 확진자가 1428명으로 집계됐다. 기존 수치와 비…

식당, 술집 등 주류 도매가격 구매 ‘영구화’
등록자 NEWS
등록일 02.23

커뮤니티 식당, 술집 등 주류 도매가격 구매 ‘영구화’ 작년 6월 시행 후 올해 3월말 만료 정책 변화 요식업 종사자들에게 희소식이다. 정부가 주류 도매 가격의 영구화를 통해 관련 분야 산…

새해 첫 주택 거래량부터 “왜”…
등록자 NEWS
등록일 02.24

한국 새해 첫 주택 거래량부터 “왜”… 올들어 첫 한 달 주택 거래 실적이 하락세를 보였다. 전월대비는 물론 1년 전보다도 감소한 것.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주택 매매거래량(90,679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