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News
분류 커뮤니티

금융권도 팬데믹 영향 이자율 하락후 5년 고정금리 선호…49

작성자 정보

  • 작성자 부동산밴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금융권도 팬데믹 영향
이자율 하락후 5년 고정금리 선호…49%

모기지 대출 작년 1080억 달러 추가…신규 및 갱신
시중은행 모기지 연기 79만건, 비금융권 10만건

전국 금융권도 팬데믹에 큰 영향을 받았다. 금융권은 여전히 역사적으로 낮은 저금리 시대를 이어가는 상태이다. 통계청은 캐나다 모기지 시장을 기준으로 코로나 19 팬데믹 이전과 팬데믹 시대를 비교 분석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팬데믹에도 불구하고 모기지 대출은 지난 2020년에도 기록적 수준을 보였다. 전국 가정에서 추가한 모기지 부채는 거의 1080억 달러에 이른다. 지난 2019년에 기록했던 모기지 대출 규모의 2/3 수준이다. 전반적 경제적 혼란에도 불구하고 모기지 대출로 인한 크레딧 손실은 여전히 적었다. 3/4분기를 기준으로 할 때 가구당 모기지 전체 부채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01%에 불과하다.

결과적으로 팬데믹 속 기록적 수준의 신규 모기지 대출은 신규 모기지는 물론 모기지 갱신을 통해 초래됐다. 지난 2020년에 발생한 신규 모기지 대출 규모를 보면, 역사적으로 낮은 이자율과 주택 수요의 힘을 알 수 있다. 신규 모기지의 경우에는 지난 3월 시즌적 영향을 고려할 때 처음으로 420억 달러를 초과했다. 당시 3월에는 이자율이 역사적으로 낮은 수준으로 떨어진 시점이다. 자연히 모기지 갱신이 빠르게 늘었다. 전체 모기지 갱신 규모도 13.3%나 늘었다. 수많은 금융기관들이 대출자들에게 갱신 기간 수 개월 전부터 갱신을 할 수 있도록 했다.

일반 가정 주택 대출자들도 역사적으로 낮은 이자율에 크게 반응, 계약을 바꾸기도 했다. 팬데믹 기간 동안을 보면, 좀더 많은 캐나다인이 시중은행을 통해 5년짜리 고정 모기지를 선호했다. 지난 2020년 하반기까지 존재하는 모기지 미지불잔고의 거의 절반(49%)을 차지한다. 2019년 초반보다도 7%p 늘어난 것. 이자율이 떨어지면서 변동 모기지 금리에 대한 수요도 늘었다. 장기 이자율이 천천히 변하기 때문이다. 장기 이자율이 변동 금리를 반영하게 되면서 5년짜리 고정 금리에 대한 수요가 여름까지 늘어난 것.

주목할 부분은 많은 가정이 모기지 납부를 연기하면서 부채 서비스 비율(Debt Service Ratio)이 하락한 것이다. 이 비율은 가구당 가처분 소득에서 차지하는 원리금의 비중이다. 연기된 금액의 비중은 1/4분기 1% 미만이었지만 2/4분기에는 18%로 늘었다. 다만 금융당국(OSFI)의 신규 승인이 10월 1일 끝나면서 3/4분기까지 이 비중은 상당히 줄어들기도 했다.

이밖에 지난 2020년 3월 록다운(Lockdown)이 시작되면서 비금융권을 통한 가구당 모기지 부채의 상승률은 둔해졌다. 시중은행들이 대규모 자금을 제공했기 때문이다. 일자리도 줄어들고 지난 3월 중순에는 비즈니스 사업체도 문을 닫으면서 수많은 캐나다인은 일자리를 잃고 규정 시간보다 노동시간도 적었다.

이에 따라 캐나다 금융당국(OSFI)은 금융기관을 통해 대출자들에게 모기지 납부 연기를 할 수 있도록 조치를 취하기도 했다. 지난 11월 30일을 기준으로 할 때 시중은행을 통해 모기지 페이먼트 연기를 한 대출자들은 79만 명에 이른다. 비금융권을 통한 모기지 대출 연기도 10만 건을 넘어섰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2,783 / 103 Page
RSS
세인트 폴 병원 착공...2027년 오픈
등록자 NEWS
등록일 03.09

부동산 신규 세인트 폴 병원 본격 착공 시작 오는 2027년 오픈 전망…기존 병원 그대로 운영중 밴쿠버 주민들의 기대를 한 몸에 받고 있는 신규 세인트 폴 종합병원(St. Paul’s H…

전국 건축면적 0.4, 연면적 2.6 늘어
등록자 NEWS
등록일 03.09

한국 전국 건축면적 0.4%, 연면적 2.6% 늘어 해마다 늘어나는 국토면적처럼 건축물 면적도 잇따라 증가하고 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2020년도 전국 건축물의 동수는 전년대비 31…

광역 밴쿠버 주택시장 “낮은 이자가 주요 동력…”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03.05

커뮤니티 광역 밴쿠버 주택시장 “낮은 이자가 주요 동력…” “홈바이어들 경쟁 더욱 심화”…거래량 전년비 73% 리스팅, 작년비 -9.1%...10년 평균보다 21.2% 적어 “홈바이어들의 …

팬데믹 위기 오면 저소득, 젊은층 타격 재확인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03.05

캐나다 팬데믹 위기 오면 저소득, 젊은층 타격 재확인 소득 하위 20% 그룹 임금 하락폭 -3.7%로 커 작년 경제위기로 고소득층과 임금 격차 줄어 정부의 발 빠른 대응으로 작년 코로나 …

“지난 100년 동안 유례없던 프레이저 밸리”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03.05

커뮤니티 “지난 100년 동안 유례없던 프레이저 밸리” 월 거래량 전년대비 108%...평균집값은 25.3% 올라 리스팅 작년보다 28% 늘어도 남은 인벤토리는 줄어 프레이저 밸리 부동산 …

뜨거운 캘거리 시장…”2014년 후 최고 2월”
등록자 NEWS
등록일 03.04

캐나다 뜨거운 캘거리 시장…”2014년 후 최고 2월” 역대 최저 이자율, 에너지 가격 오름세 등 힘입어 요즘 BC주 인근 캘거리 시장이 뜨겁게 움직이면서 주목을 받고 있다. 팬데믹을 무…

“특급 강세 캐나다 주택시장 위험 없지는 않다”
등록자 NEWS
등록일 03.04

캐나다 “특급 강세 캐나다 주택시장 위험 없지는 않다” 집장만 여건, 캐나다 전국 포함, 밴쿠버, 토론토 ‘적색’ 이민자 유입 적어 향후 주택 수요 영향…실업률도 이슈 캐나다 주택 시장이…

임금보조, 긴급렌트 보조 등 6월까지 연장
등록자 NEWS
등록일 03.04

캐나다 임금보조, 긴급렌트 보조 등 6월까지 연장 연방 정부, CEWS, CERS, LSP 등 지원에 160억불 연방 정부의 코로나 19 지원 정책이 다시 한번 연장된다. 기업의 임금 보…

“소비자 지출 2월초부터 회복 기조”
등록자 NEWS
등록일 03.04

캐나다 “소비자 지출 2월초부터 회복 기조” 외식 감소에 식료품 매출 늘어…의류 서서히 회복 “소비자들의 지출 패턴이 펜데믹 제2차 파동 속에서도 탄력 있는 모습을 보였다.” RBC이코노…

캐나다 역대 최악 -5.4 경제 성장 실적
등록자 NEWS
등록일 03.03

캐나다 캐나다 역대 최악 -5.4% 경제 성장 실적 ‘주택 투자’ 꾸준한 상승에도 Biz 투자는 ‘둔화’ 캐나다 경제가 2020년, 역사상 유례없는 최악의 한 해를 보낸 것으로 나타났다.…

BC주, 렌트비 2021년말까지 동결 법안
등록자 NEWS
등록일 03.03

부동산 BC주, 렌트비 2021년말까지 동결 법안 내년에도 렌트비는 물가인상률까지만 인상 가능 렌트 주민들에게는 희소식이다. 주 정부가 렌트비를 2021년 올해 내내 동결하기로 결정한 것…

신규 주택 공급 물량 증가 전망
등록자 NEWS
등록일 03.03

한국 신규 주택 공급 물량 증가 전망 주택 인허가 및 준공 실적마저 ‘동반 상승’ 전국에서 신규 주택 공급이 늘어날 전망이다. 신규 주택 인허가 실적이 늘어난 것은 물론, 준공 실적마저…

BC주, 빠르면 7월중 주민 모두 ‘백신 접종’
등록자 NEWS
등록일 03.02

커뮤니티 BC주, 빠르면 7월중 주민 모두 ‘백신 접종’ 8일부터 90세 이상…15일 이후 85세 이상 등 단계적 정부, “코로나 19 백신 접종 관련 전화 사기 주의” 당부 빠르면 7월중…

BC주 3월4월초 40만 명 이상 접종 목표
등록자 NEWS
등록일 03.02

커뮤니티 BC주 3월~4월초 40만 명 이상 접종 목표 누적 확진 8만명 넘어…액티브 ‘변이 바이러스’ 10건 백신 공급에도 불구하고 BC주 누적 확진자 수는 8만 명을 넘어섰다. 주 정부…

전국적 미분양 주택 감소 흐름 타
등록자 NEWS
등록일 03.02

한국 전국적 미분양 주택 감소 흐름 타 전국 주택 시장이 봄이 가까워지면서 조금씩 열기를 더하고 있다. 미분양 주택도 이전보다 줄어든 것으로 파악됐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1월말 기준 …

캐나다 2021년 주택시장 ‘키워드’ “코로나 19, 공급부족”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02.26

캐나다 캐나다 2021년 주택시장 ‘키워드’ “코로나 19, 공급부족” 전국 시장 기록적 출발…거래, 집값 전년비 35%, 22% 신규 리스팅 한 달 전보다 -13%…인벤토리 1.9개월뿐…

캐나다인 팬데믹 속 RRSP 은퇴저축 늘어…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02.26

캐나다 캐나다인 팬데믹 속 RRSP 은퇴저축 늘어… 2020년 RRSP 평균 보유금액 11만 2295달러 지난 2015년의 7만 9492달러보다 41% 늘어 팬데믹 속에서 캐나다 소비자들…

캐나다 소비자들 선택에 경제위기 탈출 좌우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02.26

캐나다 캐나다 소비자들 선택에 경제위기 탈출 좌우 “지출 2021년, 2022년 평균 5% 정도 상승할 것” 올해는 특히 캐나다 소비자들의 움직임에 경제 주체들의 시선이 쏠리고 있다. 바…

BC주 올해와 2022년 연속 4 성장 전망
등록자 NEWS
등록일 02.25

커뮤니티 BC주 올해와 2022년 연속 4% 성장 전망 센트럴 1 분석…주택 착공 2023년까지 상승곡선 BC 주택시장은 올해도 전국 시장과 마찬가지로 뜨거운 출발을 시작했다. 그렇다면 올…

“캐나다인 2021년 대출 더 받고 지출 더 늘려”
등록자 NEWS
등록일 02.25

캐나다 “캐나다인 2021년 대출 더 받고 지출 더 늘려” 모기지 절반 5년 고정…”높은 이자 영향까지 시간 여유” 캐나다 중산층 우려 커…”정부 임금 보전도 부분적 불과” 코로나 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