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News
분류 한국

항공 여행객 작년보다 68나 뚝 ‘감소’

작성자 정보

  • 작성자 NEWS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항공 여행객 작년보다 68%나 뚝 ‘감소’


해마다 상승곡선을 보였던 해외여행이 팬데믹에 큰 타격을 받은 게 수치로도 보여지고 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해 한 해 동안 항공여행객은 전년도에 비해 무려 68.1%나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997년 이후 역대 3번째 낮은 실적(1998년 3,361만 명, 1999년 3,789만 명)이다.
국제선과 국내선 여객은 전년 대비 각각 84.2%, 23.7% 감소했고, 항공화물은 국제선 화물(수하물 제외)이 0.4% 증가했으나 여객 수하물의실적이 크게 줄어 전년 대비 23.9% 감소했다. 국제선 여객의 경우 연초 코로나-19의 확산으로 급감한 항공여객은 하반기 2차 유행이 진행되며 전년 대비 84.2% 감소한 1,424만 명 수준이다.
지역 별로는 일본(△88.2%)•중국(△87.8%)•아시아(△83.4%)•미주(△72.3%)• 유럽(△82.2%) 등 전 노선이 감소했다. 일본노선은 수출규제 조치(‘19.7월)와 무비자입국 금지(’20.3월) 및 코로나-19의 영향까지 겹쳐, ‘20년 여객은 전년 대비 88.2% 감소했고 연간 국제여객의 15.6%(’19년 1위 → ‘20년 2위)의 비중을 보였다. 중국노선은 ‘20.2월부터 운항편수 급감(’19년 12만 편 → ‘20년 3만 편 운항, △73.4%) 후 일부 노선 운항 재개, 정기• 부정기 노선 추가 재개가 있었으나, 전년 대비 여객은 87.8% 감소했고 ’20년 국제여객의 15.8%(’19년 2위 → ‘20년 1위) 수준이었다. 미국노선은 연초 성장세였으나 3월 급락 후 큰 변화 없이 여객은 전년 대비 72.3% 감소했고, ‘20년 여객의 9.2%를 분담(’19년 7위 → ‘20년 4위)했다. 중국과 일본을 제외한 아시아 노선 또한 팬데믹의 영향으로 급락하여 여객은 전년 대비 83.4% 감소했으며, ‘20년 여객의 42.4%(’19년 40.3%)를 분담했다.
공항 별로는 인천(△83.1%)•제주(△89.4%)•김포(△87.3%)•김해(△88.0%) 등 전 공항이 감소했다. 항공사 별로는 우리 대형항공사*의 경우 전년 대비 82.3% 감소했고, 저비용항공사**는 전년 대비 86.7% 감소했다. 국내선 여객의 경우 코로나-19 감염 우려로 급감한 국내선 여객수요(연내 최저 3월, 110만 명)는 빠른 회복세를 보이며 11월(294만 명)의 경우 전년 동월 대비 2.5% 성장을 이루었으나, 3차 유행(11월말-12월)의 영향으로 급감하며 전년 대비 23.7%(내륙 2.8%↓, 제주 27.2%↓) 감소한 2,516만 명으로 마감했다.
공항 별로 제주노선은 양양(535.7%), 포항(100.2%)공항 외 노선의 여객은 전년 대비 감소했고, 내륙노선은 광주-김포(71.4%), 김포-김해(13.2%), 김포-여수(23.2%) 노선에서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그 외 노선에서 감소했다. 항공사 별로는 우리 대형항공사의 국내여객 운송량은 829만 명으로 전년 대비 40.4% 감소했고, 저비용항공사의 경우 ‘20.7~8월, 10~11월은 전년 동월 실적을 상회하며 성장했지만 연간 1,687만 명을 수송하며 전년 대비 11.5% 감소했다.
이밖에 항공화물의 경우 2020년 팬데믹으로 국내외 운휴 여객기가 증가(수하물 감소)하며 화물은 전년 대비 23.9% 감소했으나 수하물 제외 화물은 전년 대비 0.6% 감소에 그쳤다. 국제화물은 전 지역의 수하물 감소로 전년 대비 23.5% 감소했으나 수하물 제외 항공화물은 미주(12.8%)・중국(4.6%)・기타(1.2%)지역이 전년대비 증가했고, 우리항공사의 수하물 제외 화물의 운송실적이 전년 대비 8.1% 성장하며 201만 톤을 기록했다. 국내화물은 내륙 노선(△53.3%)과 제주(△26.8%) 노선 모두 감소해 전년 대비 29.7% 하락한 18만 톤으로 집계됐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2,764 / 40 Page
RSS
톱 100 CEO, 팬데믹에 평균 1090만불 벌어
등록자 NEWS
등록일 01.05

캐나다 톱 100 CEO, 팬데믹에 평균 1090만불 벌어 평균 10만불 늘어…100곳중 30곳 정부 CEWS 지원 팬데믹 속에서도 캐나다 최고 CEO들의 연봉은 크게 오른 것으로 나타나…

서머타임 14일 오전 2시를 3시로
등록자 NEWS
등록일 03.12

캐나다 서머타임 14일 오전 2시를 3시로 올해도 어김없이 서머타임(Summer Time)이 시작된다. 이에 따라 BC주민들은 오는 3월 14일 오전 2시 시간을 1시간 더 추가, 3시로…

BC 확진자 20-29세 2600명 ‘최다’ 연령
등록자
등록일 10.20

커뮤니티 BC 확진자 20~29세 2600명 ‘최다’ 연령 주말 확진자 499명…4천명 이상 모니터링중 누적1만 1000명 이상…‘제2차 파동’ 평가도 BC주 코로나 19 확진자가 부쩍 늘…

캐나다 코로나 19, 1주년에도 ‘여전’
등록자 NEWS
등록일 01.26

캐나다 캐나다 코로나 19, 1주년에도 ‘여전’ BC주는 작년 10월, 11월처럼 여전히 ‘우려’ 전국 확진자 1년 동안 74만 명. 사망 1만 9천 코로나 바이러스 확진자가 캐나다에 첫…

BC 코로나 백신 접종 의지 가장 높아
등록자 NEWS
등록일 12.17

캐나다 BC 코로나 백신 접종 의지 가장 높아 앨버타, 서스캐처원, 매니토바 반대 커 코로나19 백신 공급이 드디어 캐나다에서도 시작됐다. 그렇지만 서둘러 진행된 백신 개발 등의 이유로 …

캐나다 역대 최악 -5.4 경제 성장 실적
등록자 NEWS
등록일 03.03

캐나다 캐나다 역대 최악 -5.4% 경제 성장 실적 ‘주택 투자’ 꾸준한 상승에도 Biz 투자는 ‘둔화’ 캐나다 경제가 2020년, 역사상 유례없는 최악의 한 해를 보낸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권도 팬데믹 영향 이자율 하락후 5년 고정금리 선호…49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02.19

커뮤니티 금융권도 팬데믹 영향 이자율 하락후 5년 고정금리 선호…49% 모기지 대출 작년 1080억 달러 추가…신규 및 갱신 시중은행 모기지 연기 79만건, 비금융권 10만건 전국 금융권도…

BC주 3월4월초 40만 명 이상 접종 목표
등록자 NEWS
등록일 03.02

커뮤니티 BC주 3월~4월초 40만 명 이상 접종 목표 누적 확진 8만명 넘어…액티브 ‘변이 바이러스’ 10건 백신 공급에도 불구하고 BC주 누적 확진자 수는 8만 명을 넘어섰다. 주 정부…

“10년간 1월 평균보다 무려 72나 많아”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02.05

부동산 “10년간 1월 평균보다 무려 72%나 많아” 매물 리스팅 작년보다 18% 적어…”바이어 동기 커” “또 다른 기록적인 부동산 매매를 기록했다.” 프레이저 밸리 부동산 거래량이 광…

BC주택시장, “하반기도 강세 전망”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06.18

커뮤니티 BC주택시장, “하반기도 강세 전망” 시장 수요 강하고 공급은 줄어…집값 전년비 26%나 올라 빅토리아는 평균 100만불 육박, 칠리왁 70만불 넘어서 “엄격한 모기지 스트레스 테…

캐나다인 이미 ‘지급불능’이…
등록자 KREW
등록일 01.22

캐나다 캐나다인 이미 ‘지급불능’이…캐나다 경제는 올해도 증가폭은 조금 줄어들더라도 성장곡선을 이어갈 전망이다. 그러나 경제 전문가들이 가장 우려하는 부분은 바로 가계 경제이다. 이 가운…

ICBC, BC 운전자에 평균 190달러 리베이트
등록자 NEWS
등록일 02.02

커뮤니티 ICBC, BC 운전자에 평균 190달러 리베이트 작년 4월~9월 기준 가입자…3월부터 체크 발송 BC주민들이 ICBC로부터 리베이트를 받게 된다. 정부가 예상한 금액은 평균 19…

항공 여행객 작년보다 68나 뚝 ‘감소’
등록자 NEWS
등록일 02.16

한국 항공 여행객 작년보다 68%나 뚝 ‘감소’ 해마다 상승곡선을 보였던 해외여행이 팬데믹에 큰 타격을 받은 게 수치로도 보여지고 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해 한 해 동안 항공여행…

생애 첫 주택구매자 ‘팬데믹 저축’ ‘다운페이’로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04.02

캐나다 생애 첫 주택구매자 ‘팬데믹 저축’ ‘다운페이’로 앨버타와 중부 생애 첫 구매자 55%~70% “시장 낙관” BC, 온타리오, 퀘벡 ‘비관적’…각각 20%~22%에 불과 생애 첫 …

캐나다 이민자, ‘팬데믹 이전 수준’ 회복
등록자 NEWS
등록일 05.20

캐나다 캐나다 이민자, ‘팬데믹 이전 수준’ 회복 전국 3개월간 7만명…BC주 작년 40% 수준 1만명 연방 정부의 이민자 유입 속도가 빠르게 회복하고 있다. 올해 첫 3개월 동안에만 바…

앨버타, 코로나 19 ‘현재 진행’ 케이스 ‘전국 최다'
등록자 NEWS
등록일 11.24

캐나다 앨버타, 코로나 19 ‘현재 진행’ 케이스 ‘전국 최다’ 액티브 케이스 1만 3000여명…전월대비 3배 캐나다 전국적으로 연말이 다가오면서 코로나 19 사태가 더욱 심각해지고 있다…

아시아인 인종차별, 젊은 층, 저소득층 ‘큰 타격’
등록자 NEWS
등록일 06.09

캐나다 아시아인 인종차별, 젊은 층, 저소득층 ‘큰 타격’ 앵거스 라이드 조사, 응답자 58%, 지난 1년 동안 경험 팬데믹 속에서 인종차별이 큰 이슈가 되고 있다. 국경 너머 미국의 흑…

‘변이’ 바이러스, 캐나다 전국에서 확인
등록자 NEWS
등록일 02.17

캐나다 ‘변이’ 바이러스, 캐나다 전국에서 확인 제3차 파동 우려…540건의 UK, 33건 남아프리카 변이 등 전국적으로 코로나 변이 바이러스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현재로서는 전국…

캐나다 팬데믹이 가져 온 경제 사회 1년 변화
등록자 NEWS
등록일 03.31

캐나다 캐나다 팬데믹이 가져 온 경제 사회 1년 변화 ‘K’ 자형 경제 영향, 가정경제 개선, 뜨거운 주택 시장 경제적 의미에서 3월은 캐나다 팬데믹이 1주년을 맞이하는 시즌이다. 작년 …

팬데믹 이후, 남성의 가사부담 ‘늘어’
등록자 NEWS
등록일 02.16

캐나다 팬데믹 이후, 남성의 가사부담 ‘늘어’ 여전히 여성 부담 커…남성, 세탁 8%->16%로 캐나다에서 팬데믹이 생활 곳곳에 변화를 주고 있다. 코로나19속에서 가족들이 가정에서 다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