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News
분류 캐나다

캐나다 주택 ‘팬데믹 트렌드’ 단독주택, 집값 올려…

작성자 정보

  • 작성자 부동산밴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캐나다 주택 ‘팬데믹 트렌드’
단독주택, 집값 올려…

상반기 콘도, 집값 상승 주도...하반기엔 ‘단독’으로
주택 수요 촉진에 모기지 빚 전년대비 7.4% 늘어나
밴쿠버, 신규 단독주택 값 강세…토론토, 격차 커져

캐나다 주택시장은 팬데믹 속에서 독특한 변화를 보여줬다. 일반적으로 봄시장부터 활동력을 보이다가 여름 휴가철 ‘쉼표’를 보이다가 가을에 다시 ‘반짝’한 후 겨울에 마무리하는 패턴이다. 그렇지만 작년 한 해는 12월 마무리하는 시기까지 뜨거운 가을 겨울 시장을 보낸 것으로 평가된다.

통계청의 최근 분석에 따르면 주택 가격 측면에서도 전국 주요 시장은 3/4분기에서 4/4분기 동안 가장 빠른 집값 상승세를 기록하기도 했다. 집값 증가율 2.5%를 기록하면서 2017년 2/4분기 이후 가장 빠른 속도를 보였다. 특히 대다수의 집값 상승세는 단독주택(3.5%)에서 비롯됐다. 팬데믹 속에서 주택 수요에 변화가 생기면서 단독주택이 겨울철 마지막까지 부동산 시장을 이끈 것이다. 물론 여기에는 전형적 단독주택 외에도 반단독주택과 로 하우스(Row Houses)도 포함된다.

콘도와 아파트의 경우에는 집값이 이 기간 동안 0.2% 정도 오른 데 그쳤다. 즉 집값 상승의 큰 동력은 단독주택에서 비롯됐다는 의미가 된다. 홈바이어들이 재택근무를 위해 좀더 공간을 갖춘 주택을 찾고 있다는 의미다.

전국 각 지역을 볼 때 집값은 4/4분기 전국 6개 시장에서 모두 상승세를 보였다. 이 가운데 오타와가 4.7%, 몬트리올이 4%, 빅토리아가 3.9% 등이다.

이 보고서는 “글로벌 의료 위기 속에서도 주거용 부동산의 가격은 2020년 6.3%가 올랐다. 지난 2019년의 0.7%를 훨씬 앞서는 기록이다”고 평가했다.

코로나 19 팬데믹의 영향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도 필요하다. 주목할 부분은 바로 홈바이어들의 뚜렷한 단독주택행 발길이라는 점이다. 특히 작년 하반기에 두드러진 모습이다. 2020년 상반기를 보면, 콘도와 아파트 가격은 6.6% 올랐다. 전반적 주택 시장 상승세 2.6%를 앞지르는 모습이다. 특히 고층빌딩은 바이어들과 투자자들에게 접근 가능한 수준의 옵션이었다.

하지만 코로나 19가 본격화 하면서 이 같은 패턴에는 변화가 생겼다. 집값도 주택이 4.5%를 기록하면서 콘도와 아파트의 2.2%보다 두 배나 빠른 오름세를 기록하기도 했다. 이 같은 반전은 2020년 하반기의 작품이다. 수많은 캐나다인이 자신의 집에서 일하고 공굽하고 쇼핑을 하면서 좀더 많은 시간을 보냈기 때문. 반면 다운타운 중심부는 조용했고 이민자 유입도 거의 중단 상태였다.

낮은 대출 비용도 여기에 한 몫을 했다. 캐나다 중앙은행은 국가 경제가 팬데믹 속에서 위기를 겪자, 이자율을 기존 1.75%에서 무려 0.25%로 뚝 떨어트렸다. 게다가 정책 이자율은 오는 2023년까지도 낮게 유지될 전망이다. 부동산 가격 상승은 이로써 낮은 대출 비용을 통해 상쇄되는 효과를 봤다. 홈바이어들에게는 좀더 넓은 집을 살 수 있도록 잠재적인 구매 능력을 확대하는 효과도 됐다. 결과적으로 전년대비 모기지 부채는 무려 7.4%나 올랐다.

전국 주요 도시들마다 조금씩 다른 특징도 보였다. 먼저 밴쿠버를 보면, 강력한 신규 단독주택 가격이 특징이다. 주거용 부동산 가격은 3.1%로 2020년 반등했다. 2019년에는 3.7%가 떨어졌다. 캐나다에서 가장 비싼 도시가 모기 대출 비용 하락에 수요 상승을 경험한 것이다. 토론토와 마찬가지로, 밴쿠버는 콘도와 아파트 가격이 1.2% 올랐다. 하반기 주택 가격 속도보다는 느리다. 반면 주택 가격은 3.6%가 오르면서 신규 단독주택(4%)이 시장을 이끌었다.

빅토리아의 경우에는 콘도와 아파트 값이 하반기에 두드러진 하락세를 보였다. 전반적 주택 가격은 2020년 4.7% 올랐다. 주택이 1.4%, 콘도와 아파트가 2.8% 등이다. 하지만 재택 근무가 늘어나면서 단독주택은 5.7%로 하반기 집값이 뛰었고 오히려 콘도와 아파트 가격은 -0.3%로 쳐졌다.

토론토의 경우에는 콘도 아파트와 단독주택 가격의 격차가 커지고 있다. 작년 주택 가격은 8.4%가 늘어나 2019년의 2.9%보다 두 배 이상 뛰었다. 상반기 콘도와 아파트가 9.1% 올랐고 단독주택이 3.4% 올랐다. 그렇지만 하반기에는 단독주택 가격이 4.5% 오르는 동안 콘도와 아파트 가격은 3/4분기와 4/4분기에 각각 -0.2%, -0.4% 떨어지기도 했다.

한편 이 보고서는 2021년 주택 가격 상승세는 계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 캐나다의 GDP 성장률이 3.6%가 될 전망이다. 소비자들의 확신이 굳건하고 수많은 지역에서 록다운 조치가 지속되면서 삶의 공간으로서 주택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2,795 / 105 Page
RSS
캐나다인 거주지 선택기준은...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02.19

커뮤니티 캐나다인 거주지 선택기준은... 인구 70%, 초등교육시설 1.5km 이내에 살아 약국 1km 이내 인구 60%, 식료품점 1km 절반 캐나다는 전세계적으로 러시아 다음으로 토지가…

금융권도 팬데믹 영향 이자율 하락후 5년 고정금리 선호…49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02.19

커뮤니티 금융권도 팬데믹 영향 이자율 하락후 5년 고정금리 선호…49% 모기지 대출 작년 1080억 달러 추가…신규 및 갱신 시중은행 모기지 연기 79만건, 비금융권 10만건 전국 금융권도…

밴쿠버, 토론토…”같은 듯 다른 듯”
등록자 NEWS
등록일 02.18

부동산 밴쿠버, 토론토…”같은 듯 다른 듯” 고급 주택화, 근교화에 차이…토론토 도시 확장 빨라 전국의 대도시는 저마다 경제 사회적 특징이 있다. 이 같은 격차는 주택 시장과 흐름에도 차…

경기후퇴기 이전에 보인 캐나다 경제 성과
등록자 NEWS
등록일 02.18

캐나다 경기후퇴기 이전에 보인 캐나다 경제 성과 소득, 노동력, 비즈니스 투자 등 최근이 과거보다 ‘약세’ 팬데믹이 지속되면서 캐나다 경제도 ‘경기 후퇴’에 대한 우려가 나오고 있다. 그…

캐나다 이민부, 경력이민자 대거 선발
등록자 NEWS
등록일 02.18

캐나다 캐나다 이민부, 경력이민자 대거 선발 최근 익스프레스 엔트리 무려 2만 7000여명 캐나다 이민정책에 큰 변화가 보이기 시작하고 있다. 코로나 19로 해외여행이 자유롭지 않고 자칫…

‘변이’ 바이러스, 캐나다 전국에서 확인
등록자 NEWS
등록일 02.17

캐나다 ‘변이’ 바이러스, 캐나다 전국에서 확인 제3차 파동 우려…540건의 UK, 33건 남아프리카 변이 등 전국적으로 코로나 변이 바이러스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현재로서는 전국…

BC주 ‘비상조치’ 3월까지 연장돼
등록자 NEWS
등록일 02.17

커뮤니티 BC주 ‘비상조치’ 3월까지 연장돼 UK, SA 이어 나이지리아 ‘변이’도 1건 발견 BC주 3개 케어시설에서도 ‘아웃브레이크’ BC주 ‘비상 조치’가 다시 또 연장, 3월까지 이…

올해 최대 경제 이슈 ‘청년 실업’, ‘고용’
등록자 NEWS
등록일 02.17

한국 올해 최대 경제 이슈 ‘청년 실업’, ‘고용’ 경제는 해마다 큰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다. 단순한 경제 이슈에만 머물지 않고 다양한 방면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서울 연구원의…

팬데믹 이후, 남성의 가사부담 ‘늘어’
등록자 NEWS
등록일 02.16

캐나다 팬데믹 이후, 남성의 가사부담 ‘늘어’ 여전히 여성 부담 커…남성, 세탁 8%->16%로 캐나다에서 팬데믹이 생활 곳곳에 변화를 주고 있다. 코로나19속에서 가족들이 가정에서 다함…

캐나다 입국자 ‘호텔 격리’ 22일부터
등록자 NEWS
등록일 02.16

캐나다 캐나다 입국자 ‘호텔 격리’ 22일부터 코로나 검사필요 3일 동안..비용은 여행자 부담 드디어 캐나다 정부가 구체적인 해외 여행 관련 격리 방안을 내놓았다. 연방 교통부와 총리실에…

항공 여행객 작년보다 68나 뚝 ‘감소’
등록자 NEWS
등록일 02.16

한국 항공 여행객 작년보다 68%나 뚝 ‘감소’ 해마다 상승곡선을 보였던 해외여행이 팬데믹에 큰 타격을 받은 게 수치로도 보여지고 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해 한 해 동안 항공여행…

캐나다 주택 ‘팬데믹 트렌드’ 단독주택, 집값 올려…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02.12

캐나다 캐나다 주택 ‘팬데믹 트렌드’ 단독주택, 집값 올려… 상반기 콘도, 집값 상승 주도...하반기엔 ‘단독’으로 주택 수요 촉진에 모기지 빚 전년대비 7.4% 늘어나 밴쿠버, 신규 단…

캐나다 팬데믹 제재조치로 다시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02.12

커뮤니티 캐나다 팬데믹 제재조치로 다시 일자리 감소…재택 늘어 전국 일자리 21만 3천개 줄어…대부분 파트 타임 재택근무 70만 늘어난 540만 명…작년보다 많아 한동안 상승기조를 보이던 …

“올해 주택시장 수요-공급 계속 빠듯할 듯”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02.12

캐나다 “올해 주택시장 수요-공급 계속 빠듯할 듯” 홈바이어들의 콘도, 아파트 관심 재가열 가능해 올해 캐나다 주택 시장은 전국적으로 이전과 비슷하게 빠듯한 시장 조건을 이어갈 것으로 전…

전국 주택 건축비 마저 빠른 상승세 보여
등록자 NEWS
등록일 02.11

캐나다 전국 주택 건축비 마저 빠른 상승세 보여 분기대비 2.9%로…비주거용은 0.4% 증가에 그쳐 전년비 주택 건축비, 비주거용보다 4배 더 빨라 “전국적 주택 수요 증가 커져도 목재는…

올해, 경제 전망…”무조건 낙관은 금물”
등록자 NEWS
등록일 02.11

캐나다 올해, 경제 전망…”무조건 낙관은 금물” “2021년 중반까지 각 주 팬데믹 이전 수준 회복” 올해 경제 전망이 작년보다는 비교적 낙관적이다. 그렇지만 한편으로는 더욱 조심스러운 …

연방 및 주 정부 코로나 19 속 부채 ‘산 더미’
등록자 NEWS
등록일 02.11

캐나다 연방 및 주 정부 코로나 19 속 부채 ‘산 더미’ 1년 동안 65% 증가…팬데믹 후 프로그램 삭감 우려 전세계적 팬데믹 속에서 각 국가의 빚은 늘어나고 있다. 캐나다도 예외는 아…

주민 18세 34세, 2주 1회씩 ‘배달 음식’
등록자 NEWS
등록일 02.10

커뮤니티 주민 18~34세, 2주 1회씩 ‘배달 음식’ 작년보다는 줄어…BC주민 전반적 32% 주문 소매점포들은 정부의 각종 정책으로 큰 변화를 겪기 마련이다. 코로나 19 도 예외는 아니…

납치 미수 사건에 대한 루머 진상은…
등록자 NEWS
등록일 02.10

커뮤니티 납치 미수 사건에 대한 루머 진상은… 경찰, 공식 자료를 통해 설명 나서기도 온라인을 통해 ‘납치 미수’에 대한 루머가 돌면서 경찰이 직접 설명에 나섰다. 코퀴틀람RCMP는 최근 …

코로나 19 속 영세상공인 온라인 상점 구축 지원
등록자 NEWS
등록일 02.10

한국 코로나 19 속 영세상공인 온라인 상점 구축 지원 팬데믹 속에서 소상공인을 살리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어지고 있다. 이 가운데 서울연구원의 조사에 따르면 캐나다 토론토에서는 샵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