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News
분류 캐나다

캐나다 주택시장 “공간을 향한 경쟁…”

작성자 정보

  • 작성자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캐나다 주택시장 “공간을 향한 경쟁…”

“거래 팬데믹 수렁에서 벗어나”…2월보다 20% 늘어
억압된 수요, 낮은 이자율, 정부의 가계 소득 지원 등
“주택 재판매 시장 강세는 단기적으로 지속 안될 듯”


팬데믹 시대를 살아가는 캐나다. 주택 시장에 대한 질문은 전국 곳곳에서 다채롭게 쏟아지고 있다. 이 가운데 TD이코노믹스가 질의응답 형식으로 시장 전망을 내놓아 주목을 받고 있다. 전국에서 주민들이 “공간을 향한 경쟁(Race for Space)”를 벌이고 있다는 평가도 내놓았다.
먼저, 캐나다 주택 거래는 팬데믹 기간 동안 어떻게 음침한 시기를 무색하게 만들었을까. 결과적으로 이 보고서는 전반적으로 캐나다 전국 주택 거래는 팬데믹의 수렁에서 벗어났다는 평가를 내놓았다. 그 과정을 보면, 지난 3월 중순과 4월 경제 셧다운에 들어가면서 전국 주택 시장 활동은 크게 후퇴했다. 바이어들과 셀러모두 시장에서 한 발 물러났다. 역대 봄 실적 최저를 기록한 이후, 세일즈는 8월들어 230%라는 기록적 수준으로 치솟았다. 이처럼 브이(V)자 형태의 회복을 보였고, 2월 팬데믹 이전 수준의 20% 정도를 웃돌았다.
TD이코노믹스 측은 사실 캐나다 주택 거래가 올해 3분기에 16만 5000유닛 수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전까지 기록을 20% 정도 앞서고 연간 분기 대비 기록에서도 1300% 수준이다. 여기에는 봄 시장에서 보여줬던 억압된 수요. 일자리 손실의 왜곡. 역대급 낮은 이자율 등이 한 몫을 하고 있다는 평가. 정부의 지원 프로그램도 가구당 소득을 지지해줬다. 이 기간 동안 공급은 후퇴했다.
다음으로 가장 집중 조명을 받는 분야는 주택 가격의 전망이다. 지난 4월 대규모 하락세를 보인 후 집값은 빠르게 뜨거워지고 있다. 지금은 실속 없이 지난 2월 팬데믹이 경제를 타격하기 전처럼 두 자릿수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결과적으로 8월에는 기록적인 60만 달러를 보였다. 지역 별로 보면, 전국 각 지역에서 플러스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8월에는 10곳 가운데 6곳에서 두 자릿수 상승세다. 전년대비로 볼 때, 앨버타가 가장 둔화된 모습을 보인다. 하지만 이곳도 집값은 전년대비 5.3% 늘었다.
여기에는 다양한 요인이 있다. 먼저 거래가 늘었다는 점. 다음으로 리스팅도 반등했지만 세일즈를 따라갈 수 있는 수준이 아니다. 결과적으로 시장이 빠듯해지고 있다는 것. 마지막으로 매매되는 주택의 구성요소이다. 이는 주택 선호도에 변화가 생기고 있다는 점을 의미한다.
세 번째 질문은 바로 주택 선호도에 대한 것이다. 즉 캐나다인이 현재 도시를 떠나 시외곽으로 벗어나고 있는지에 대한 평가다. 결과적으로 가치가 낮은 콘도보다는 비싸더라도 단독주택으로 향하는 트렌드가 집값을 올려놓고 있다. 만약 단독주택 거래량이 지난 4월 이후 콘도처럼 비슷한 수준으로 회복했다면 주택 중간 가격은 8월 토론토와 밴쿠버에서 지금보다 1% 낮았고 프레이저 밸리에서는 3%가 낮았을 것이라는 분석. 더욱이 밴쿠버와 프레이저 밸리는 각각 전년대비 평균 집값이 MLS 벤치마크 값보다 4%p~8%p 정도 높았다. 반면 토론토에서는 이 격차가 9월 2.5%p였다.
마지막으로 “재판매 주택 시장의 힘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인가”이다. 이 보고서는 “단기적으로 볼 때 그 해답은 그렇지 않다(Unlikely)이다”고 말하고 있다. 주택 시장과 경제, 일자리 시장의 큰 단절에 이 현상이 지속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 즉 팬데믹의 지속된 영향을 고려할 때, 일자리의 기본 토대가 지금보다 개선되는 것보다는 주택 시장이 더 완만해질 수 있다는 것이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2,765 / 110 Page
RSS
캘거리, 드론 기술연구에 시유지 제공
등록자 NEWS
등록일 12.01

캐나다 캘거리, 드론 기술연구에 시유지 제공 캐나다에서 처음으로 캘거리 시는 드론 기술연구 및 시험비행을 위해 시 부지를 제공하기로 했다. 세계 주요 도시의 동향을 분석하는 서울연구원이 …

캐나다 신규 주택 잇따른 상승 배경은…
등록자 KREW
등록일 11.27

캐나다 캐나다 신규 주택 잇따른 상승 배경은… “밴쿠버, 토론토 등 대도시 주변 도시 수요 커” 캐나다 27개 광역 도시 중에서 21곳 상승곡선 신규주택 3월 후 3.1%...작년 이맘때…

“빠듯한 공급 속 거래량과 집값 기록 세워”
등록자 KREW
등록일 11.27

커뮤니티 “빠듯한 공급 속 거래량과 집값 기록 세워” 전년대비 거래 32.1%...주택 가격지수 10.9% 올라 “캐나다 전국 주택 거래가 역사적으로 강한 수준을 보이고 있다.” 최근 한 …

캐나다 전국 소매 ‘상승’…물가 ‘꿈틀’
등록자 KREW
등록일 11.27

캐나다 캐나다 전국 소매 ‘상승’…물가 ‘꿈틀’ 소매매출 전월비 1.1%...물가는 전월비 0.5% 전국적으로 소매 매출이 다시 늘어나는 가운데 물가도 꿈틀거리고 있다. 다만 올해 연말 …

대도시 일부, 가구당 소득 순위 ‘급락’
등록자 NEWS
등록일 11.26

캐나다 대도시 일부, 가구당 소득 순위 ‘급락’ BC주, 빅토리아, 밴쿠버, 킬로나 ‘순위 상승’ 경제에는 흐름이 있다. 개인 경제도 삶 속에서 등락을 거듭하듯 한 도시와 국가도 마찬가지…

캐나다 상업용 렌트 보조 접수 시작
등록자 NEWS
등록일 11.26

캐나다 캐나다 상업용 렌트 보조 접수 시작 CERS, 1차 기간 9월 27~10월 24일 해당 2차 접수 11월 30일, 3차는 12월 23일 전국 스몰 비즈니스 사업체들이 드디어 렌트비…

캐나다 기업 4곳중 1곳 전자거래
등록자 NEWS
등록일 11.26

캐나다 캐나다 기업 4곳중 1곳 전자거래 연 3050억 달러…기업 86% 웹사이트 보유 팬데믹 속에서 온라인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그런데 캐나다에서는 생각보다 많은 기업들이 이미 전자…

밴쿠버 주민 다수, ‘조닝 규정 변경’ 지지
등록자 NEWS
등록일 11.25

커뮤니티 밴쿠버 주민 다수, ‘조닝 규정 변경’ 지지 “표준 토지에 최대 6개 유닛 스트라타 건설…” 유권자 81%, 스카이 트레인 UBC 연장에 찬성 조닝 변경(Zoning Change)…

마스크 의무화에도 신규 확진 계속 발생
등록자 NEWS
등록일 11.25

커뮤니티 마스크 의무화에도 신규 확진 계속 발생 최근 주말 약 2000명…모니터링 대상 1만 명 BC주가 마스크 착용을 의무화 했지만 여전히 신규 확진자는 계속 되고 있다. 이 가운데 정부…

수명 연장 등…주택 재고관리 필요
등록자 NEWS
등록일 11.25

한국 수명 연장 등…주택 재고관리 필요 주택시장도 수요와 공급으로 결정되는 경제 현상의 하나다. 앞으로 재고 관리가 필요한 것도 이상하지 않은 이유이다. 서울연구원은 최근 보고서를 통해…

BC 긴급사태 연장…1일 941명 최다 확진
등록자 NEWS
등록일 11.24

커뮤니티 BC 긴급사태 연장…1일 941명 최다 확진 마스크 규정 위반에 230달러 벌금 부과 BC주 정부가 긴급 사태(State of Emergency)를 다시 연장했다. 덧붙여 이날 B…

앨버타, 코로나 19 ‘현재 진행’ 케이스 ‘전국 최다'
등록자 NEWS
등록일 11.24

캐나다 앨버타, 코로나 19 ‘현재 진행’ 케이스 ‘전국 최다’ 액티브 케이스 1만 3000여명…전월대비 3배 캐나다 전국적으로 연말이 다가오면서 코로나 19 사태가 더욱 심각해지고 있다…

주택 거래, 전월전년대비 동반 상승
등록자 NEWS
등록일 11.24

한국 주택 거래, 전월/전년대비 동반 상승 전국적 주택 거래가 꾸준한 상승기조를 보이고 있다. 전월 대비는 물론, 1년 전보다도, 5년 전보다도 늘어난 것으로 평가됐다. 국토교통부에 따…

BC 주택시장 ‘기록 연속’ “높은 가격 거래비중 커져”
등록자 KREW
등록일 11.20

커뮤니티 BC 주택시장 ‘기록 연속’ “높은 가격 거래비중 커져” 홈바이어, ‘넓은 공간’ 선호해…낮은 이자율도 인벤토리 전년비 14% 적어 ‘집 값 상승’ 한 몫 빅토리아 평균 주택가격이…

캐나다 전국 “3개월 후 일자리는…”
등록자 KREW
등록일 11.20

캐나다 캐나다 전국 “3개월 후 일자리는…” 전국 기업 74%, “현행 일자리 그대로 유지” 전망 숙박업/식음료업 22.5%는 “추가 해고” 계획도… 전국적으로 팬데믹 상황이 더욱 심각해…

캐나다 북부 주거비도 “만만치 않다”
등록자 NEWS
등록일 11.19

캐나다 캐나다 북부 주거비도 “만만치 않다” 화이트호스 단독주택 장만 연소득 11만 4천 필요 누나바트, 사회공공주택 공실률 전국에서 최하위 캐나다에서 ‘집장만’ 이슈는 전국 어디에서나 …

BC주 마스크 착용 의무화…교실 착용은 ‘아직’
등록자 NEWS
등록일 11.19

커뮤니티 BC주 마스크 착용 의무화…교실 착용은 ‘아직’ 종교시설 모임도 중지…결혼식 등에 정원 10명 BC주가 드디어 공공 장소 마스크 착용을 의무화 했다. 단지 메트로 밴쿠버에만 해당되…

캐나다 국내 각 주별 ‘무역장벽’ 해소 GDP 3.8
등록자 NEWS
등록일 11.19

캐나다 캐나다 국내 각 주별 ‘무역장벽’ 해소 GDP 3.8% BC주 온타리오 3%도...가구당 소득 6000불 이상 캐나다의 전반적 경제력이 늘어날 수 있는 방안이 새롭게 제시되고 있다…

단독주택, 주택착공 ‘다시 상승모드’로 끌어
등록자 KREW
등록일 11.19

캐나다 단독주택, 주택착공 ‘다시 상승모드’로 끌어 도시의 단독주택 14.3% 늘어…다세대는 0.2% 감소해 “장기적으로 콘도 냉각세 아파트 착공 둔화 이어져” 캐나다의 주택 착공이 새롭…

캐나다 중산층 일부 저소득층으로…
등록자 NEWS
등록일 11.18

캐나다 캐나다 중산층 일부 저소득층으로… 저소득층 28.1%는 중산층으로 벗어나기도 “편부모 가정, 홀로 거주자 저소득 위험 커” “지난 2년 동안 일부 캐나다인은 저소득층으로 떨어지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