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News
분류 캐나다

주거비, 전국 가정 ‘큰 지출 부담’

작성자 정보

  • 작성자 KREW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주거비, 전국 가정 ‘큰 지출 부담’주거비 1만 8천불, 교통비 1만 6천불 등
가구당 지출 2.5% 증가…주거비 3.4% 상승
역시 주거비는 캐나다에 살면서 가장 큰 부담이 되는 항목이다. 이민자들에게만 해당되는 게 아니다. 전국 주민을 대상으로 한 통계에서도 가계 지출에서 가장 큰 몫은 주거비로 나타났다.
통계청에 따르면 최신(2017년 데이터) 자료를 기준, 캐나다 평균 가정이 상품이나 서비스에 지출하는 돈이 6만 3723달러로 나타났다. 1년 전과 비교하면 2.5% 오른 수준이다. 지출 분야는 각 주마다 다르다. 그렇지만 앨버타에서 7만 2957달러로 가장 많았고 BC주가 7만 1001달러로 뒤를 이었다. 주요 이유는 BC주의 주거비가 비쌌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한마디로 주거비는 가계 지출의 가장 큰 예산을 잡아먹고 있다. 2017년 가계 지출만 기준으로 볼 때 전체 상품 및 서비스 소비의 29.2%를 차지한다. 교통비 지출은 두 번째로 높은 항목이다. 전체 소비 금액의 19.9%이다. 식품 소비 비중 13.4%보다도 훨씬 높은 수준이다.
수치로 보면, 전국 캐나다 가정은 평균 1만 8637달러를 주거비로 지출했다. 전년대비 3.4%나 늘었다. 렌트비, 모기지 비용, 주택 수리와 유지비, 재산세와 유틸리티 비용까지 모두 포함하는 주요 거주지 지출 비용이 1만 6000여 달러나 된다. 나머지 평균 1700여 달러는 호텔 이용비나 세컨더리 주택 관련이다.
전국적으로 캐나다인 3명 가운데 2명은 집을 소유했다. 또 홈오너 절반 이상은 모기지를 보유했다. 모기지를 보유한 홈오너들은 평균 2만 5000여 달러 모기지를 주택에 지출한 것. 모기지가 없는 홈오너의 9600여 달러와 비교된다. 렌트 주민들의 주거비 지출은 1만 3000여 달러 정도이다.
캐나다인의 교통비 지출은 연간 1만 2000여 달러로 전년대비 6.7% 올랐다. 개인 교통 수단에 지출한 돈이 1만 1000여 달러나 된다. 여기에는 자동차와 트럭, 밴 구매 비용과 유지 비용이 포함된다. 평균적으로 각 가구당 휘발유에 지출하는 비용은 2142달러였다. 전년대비 9.8% 늘어난 수준. 개스 값이 연간 11.8% 오른 점도 여기에 반영돼 있다. 트랜짓(Public Transit)이나 택시, 버스와 기차, 항공기 등 각종 대중 교통 수단 지출은 큰 변화 없이 1274달러를 유지했다. 이밖에 2017년 기준, 전국 가정의 84%는 자동차를 소유했거나 리스로 보유했다. 자동차 오너십은 전원지역에서 94.9%로 높았지만 도시에서는 인구 100만 명을 기준으로 할 때 79% 정도로 나타났다.
캐나다 가정의 소비 지출은 각 주마다 조금씩 다른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전반적 지출 금액은 앨버타와 BC주가 높다. 그렇지만 BC주에서는 높은 주거비가 여기에 반영됐다. 평균 2만 1800여 달러나 된다. 앨버타의 경우에는 오히려 2만 1000여 달러로 BC주보다 조금 낮은 수준이다. 다른 지역과 비교할 때 BC주와 앨버타의 모기지 지출 금액은 높았다.
교통비를 보면, 앨버타의 경우에는 평균 금액이 1만 5000여 달러나 된다. 그렇지만 퀘벡에서는 1만 여 달러로 전국에서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다. 뉴 브런즈윅에서 가구당 상품 및 서비스 지출 금액은 평균 5만 2000여 달러였다. 주거비 지출 금액은 1만 2000여 달러로 전국에서 가장 적었다.
한편 전국적으로 눈 여겨 볼 부분은 휴대폰(Cell Phone) 사용 관련 가구당 지출이 늘어나고 있다는 점이다. 2017년 기준 전국 가정 36%는 셀폰이 있지만 집전화(Landline)은 없었다. 2012년 15.5%와도 비교된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2,779 / 135 Page
RSS
“밀레니엄 세대, 정말 대도시를 탈출하나”
등록자 KREW
등록일 05.02

캐나다 “밀레니엄 세대, 정말 대도시를 탈출하나”집값에 도시 탈출…밴쿠버 토론토, MTL 세 배 증가이민자, 타주 유입 등에 도시 젊은 층 인구 상승세캐나다 대도시 집값 상승은 다양한 측…

캐나다 ‘증오범죄’ 두 자릿수 증가
등록자 KREW
등록일 05.02

캐나다 캐나다 ‘증오범죄’ 두 자릿수 증가종교, 인종 민족 관련 범죄가 상승세 주도전세계에서 온 다민족이 함께 사는 국가 캐나다. 자연히 인종이나 민족 등에 관련된 ‘증오 범죄(Hate …

금리 동결 2019년 연말까지도…
등록자 KREW
등록일 04.26

캐나다 금리 동결2019년 연말까지도…중앙은행, 올 경제 전망 1.2%로 하향 조정RBC, 내년까지 금리 1.75% 유지 가능 전망다수의 예상대로 캐나다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

전국 주택 거래 상승…봄시장 반등
등록자 KREW
등록일 04.26

캐나다 전국 주택 거래 상승…봄시장 반등BC, 앨버타, SK 등 10년 평균 20% 밑돌아아파트 가격 유일하게 전년비 1.1% 올라캐나다 전국 주택 시장은 봄바람 훈풍을 타고 있다. 3월…

캐나다 밀레니엄 세대 ‘부의 편차’ 커
등록자 KREW
등록일 04.25

캐나다 캐나다 밀레니엄 세대 ‘부의 편차’ 커상위 10%, 밀레니엄세대 전체 자산 55% 보유젊은 층 과거보다 ‘고소득’…부채는 더 많아져“요즘 캐나다 젊은 세대 재정 상태는 어떨까?” …

최신 이민자 ‘건강 상태’ 더 좋아
등록자 KREW
등록일 04.25

캐나다 최신 이민자 ‘건강 상태’ 더 좋아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캐나다. 그렇지만 갈수록 이민자 수가 늘어나면서 경제 인력을 채워나가고 있다. 더욱이 신규 이민자들 건강 상태는 캐나다 …

봄 시장에도 주택 거래 감소
등록자 KREW
등록일 04.23

한국 봄 시장에도 주택 거래 감소기지개를 펴야 할 봄 시장이 예년만큼 못하다. 주택 거래량이 줄어든 것. 오히려 전월세 거래량이 소폭 하락, 다소 나은 편으로 평가된다.국토교통부에 따르…

밀레니엄 세대, “집장만 위해서라면… 시 외곽으로”
등록자 KREW
등록일 04.19

캐나다 밀레니엄 세대, “집장만 위해서라면… 시 외곽으로” 어포더빌리티, 주택 사이즈, 생활환경 고려 직장 근처 희망해도 27% 출퇴근 고충 감당 다수 밀레니엄 세대들은 도시외곽 진출이 …

캐나다 이민 가정 재산은
등록자 KREW
등록일 04.19

캐나다 캐나다 이민 가정 재산은… 1999~2016년 사이 증가재산 43만 5천불 캐나다인 대비 집 가치 많지만 부채 더 커 은퇴연금 17% 증가…캐나다인 33%로 대조 캐나다 이민자들은…

몬트리올 렌트 거주민 60 소득이…
등록자 KREW
등록일 04.18

캐나다 몬트리올 렌트 거주민 60% 소득이…렌트자 35%, 3만불 미만…60% 5만불 밑돌아광역 몬트리올 가정 45%는 렌트로 거주하는캐나다는 인구 수에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토지가 광…

마리화나 소비 더 늘어
등록자 KREW
등록일 04.17

캐나다 마리화나 소비 더 늘어5%는 신규…내년 음식 형태도마리화나 법제화 이후 전국적으로 마리화나 소비가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그만큼 신규 소비자들이 늘어났다는 분석이다.인사이트…

캐나다 모기지 흐름 ‘반전’
등록자 KREW
등록일 04.12

캐나다 캐나다 모기지 흐름 ‘반전’ 프라임 이자율 올해 3.95% 유지…내년 반등 5년 모기지 올해 하락 곡선 후 내년에 회복 캐나다 경제의 궤도 변화로 모기지 이자율 전망에도 큰 반전이…

“홈 바이어 전통적 흐름에서 변화중”
등록자 KREW
등록일 04.11

캐나다 “홈 바이어 전통적 흐름에서 변화중”솔로 구매자와 가족 의지형 홈바이어 동반 상승39%는 주택 장만 후 ‘하우스 푸어’ 거주 현실로요즘 캐나다 주택 시장이 많이 위축됐다고들 말하지…

캐나다 가계 부채 “이렇게 늘어”
등록자 KREW
등록일 04.10

캐나다 캐나다 가계 부채 “이렇게 늘어”“재정 상태 긍정적 평가 가정 빚 많아”세금과 마찬가지로 살면서 부채는 점점 현대 생활의 일부가 되고 있다. 캐나다에서도 가구당 장기 부채 요인은 …

“핸드폰 내려 놓고 운전하세요…”
등록자 KREW
등록일 04.10

커뮤니티 “핸드폰 내려 놓고 운전하세요…”“경찰의 집중 단속 효과인가 아니면 점점 운전자들 경각심이 줄어드는 것일까?” 최근 실시된 밴쿠버 경찰청(VPD)의 운전중 휴대전화 단속 결과가 공…

써리 랭리 스카이크레인 내후년 착공
등록자 KREW
등록일 04.09

커뮤니티 써리 랭리 스카이크레인 내후년 착공2025년 개통…오픈하우스 4월 26일까지드디어 프레이저 밸리 지역 스카이 트레인 연장 계획이 확정, 로컬 시장이 다시 들썩일 전망이다. 트랜스 …

광역 밴쿠버 주택 옵션 더 다채로워
등록자 KREW
등록일 04.05

부동산 광역 밴쿠버 주택 옵션 더 다채로워 3월 1727채 거래…30년래 3월 최저 수준 “주택거래량, 경제 성장 실업률과 부조화” 종합 집값 101만 불…전년비 -7.7%로 하락 “유망…

프레이저 밸리, ‘봄 시장’ 꿈틀
등록자 KREW
등록일 04.05

부동산 프레이저 밸리, ‘봄 시장’ 꿈틀 3월 1221채...한 달 전보다 24% 늘어 단독, 타운홈, 아파트 값 전년비 감소 2013년 이후 3월 실적 중 가장 낮아 “프레이저 밸리 시…

캐나다 가정 주요 소득원 어디에…
등록자 KREW
등록일 04.04

캐나다 캐나다 가정 주요 소득원 어디에…‘투자’ 가정 연 15만불 벌고…’임금’ 가정 연 9만 4천불’BC주 온타리오 상류층 재산비중 증가…중부는 ‘줄어’상류층 연 4만불 저축할 때 하위…

캐나다 대도시 주민 소득 대비 부채 늘고 순 자산도 증가
등록자 KREW
등록일 04.04

캐나다 캐나다 대도시 주민들소득 대비 부채 늘고 순 자산도 증가“모기지 빚, 자산 증가시킨 부동산 역할”전국 가정 8.4% 순자산 500달러 밑돌아“캐나다 가정의 재정적 균형 정도를 파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