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News
분류 캐나다

“캐나다 모기지 부채, 연체 상황은 좋아져”

작성자 정보

  • 작성자 KREW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캐나다 모기지 부채, 연체 상황은 좋아져”
65세 이상 노인들 연체비중 가장 높고 덜 줄어 ‘우려’모기지 보유 소비자중 ‘파산’ 위험자 비중 점점 하락

전세계적으로 팬데믹 위기가 계속되는 가운데 캐나다는 비교적 경제 측면에서 잘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 가운데 소비자들의 모기지 관련 연체율도 이전보다 낮게 유지되고 있다. 특히 전국 3대 대도시 모든 곳에서 연체율이 꾸준하게 떨어지는 상황. 다만 지금과 같은 팬데믹 현상이 지속될 경우 어떤 영향이 미칠지에 대해서는 좀더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분석된다. 캐나다 모기지주택공사(CMHC)는 에퀴팩스 등의 데이터를 종합, 2012-2020년 주거용 모기지와 부채 데이터를 분석했다. 캐나다의 모기지 연체율(Mortgage Delinquency Rates)은 지난 2015년을 기준, 035%에서 2020년 1/4분기를 기준, 0.29%로 점진적인 하락세를 보였다. 물론 2018년에서 2019년도 사이에는 0.29%에서 0.3%로 조금 오르기도 했다. 이 같은 흐름은 밴쿠버를 포함한 토론토, 몬트리올 등 전국 3대 대도시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예를 들어 밴쿠버는 2015년 1/4분기 0.29%였지만 2020년 1/4분기에는 0.13%로 낮아지기도 했다. 토론토의 경우에는 0.18%에서 0.11%로, 몬트리올은 0.38%에서 0.26% 등이다. 우려되는 부분은 모기지 연체율이 65세 이상의 노인 세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다는 점이다. 다른 연령대와 달리 은퇴 시기에 들어가는 노인들의 경우에는 이전보다 경제적으로 소득이 늘어날 가능성이 떨어지기 마련이다. 하지만 노인들의 연체율은 2015~2020년을 비교할 때는 점진적으로 낮아지고 있지만 여전히 다른 연령대보다는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특히 연체율 분야에서 두 번째를 기록하고 있는 35~44세 연령대와 비교할 때도 그 격차가 뚜렷하게 벌어지고 있어 우려되고 있다. 수치로 볼 때, 65세 이상 노인들의 연체들은 2015년 1/4분기를 기준, 0.38%를 기록했고 2020년 1/4분기에는 0.3%로 조금 떨어졌다. 그렇지만 다른 연령대보다 가장 높은 수준을 보이고 하락폭도 그다지 많지 않다. 예를 들어 사회 초년생이자 생애 첫 주택 장만에 나서는 주민들이 많은 25~34세 젊은 층을 보면, 2015년 1/4분기 연체율이 0.31%였지만 2020년 1/4분기에는 0.24%로 떨어지기도 했다. 이 가운데 2020년 1/4분기를 기준으로 보면, 65세 이상이 0.35%로 가장 높고, 35~44세가 0.3%, 45~54세가 0.29%, 55~64세가 0.27%, 25~34세가 0.24% 등의 순서를 보이고 있다. 주목할 부분은 전국적으로 모기지를 보유한 소비자들의 비중이다. 2015~2020년을 비교할 때 지난 2017, 2018년 사이 크게 늘었지만 이후 다시 하락 곡선을 보이고 있다. 예를 들어 2015년 1/4분기에는 27.56%였고 2020년 1/4분기에는 28.69%이다. 2017년 3/4분기에는 29.21%로 치솟기도 했다. 한편 전국 모기지 보유자 가운데 파산에 진입할 소비자들의 비중은 해마다 줄어들고 있다. 예를 들어 지난 2015년 1/4분기에는 6.45%였지만 2020년 1/4분기에는 4.89%로 떨어지기도 했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2,795 / 118 Page
RSS
BC, 체납 테넌트 퇴거 모라토리움 끝나...
등록자 KREW
등록일 09.02

커뮤니티 BC, 체납 테넌트 퇴거 모라토리움 끝나...로컬 렌트 주민 12% 여전히 부분 납부하는 중팬데믹 속에서 단행된 지원 장치에도 조금씩 변화가 생기고 있다. 이 가운데 BC주의 렌트…

신규 분양 물량도 전국 감소세
등록자
등록일 09.02

한국 신규 분양 물량도 전국 감소세전세계적인 팬데믹 속에서도 신규 미분양 주택은 전국적으로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수도권에서는 미분양이 늘어난 상태라고 국토교통부가 분석했다.이…

코로나 19 여파 캐나다 정치권 영향도
등록자
등록일 09.01

캐나다 코로나 19 여파 캐나다 정치권 영향도BC주, ON, 퀘벡 수상 ‘수행 지지도’ 전국서 높아최근 전세계적 팬데믹 대응은 정치권에서도 큰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이 가운데 앵거스 …

캐나다 요식업 60, 팬데믹 버티기 힘들어해
등록자 KREW
등록일 09.01

캐나다 캐나다 요식업 60%, 팬데믹 버티기 힘들어해숙박업계는 1년간 200억불 손실…재택 근무에 타격캐나다 요식업과 숙박업을 향한 코로나 19 타격 여파가 생각보다 훨씬 클 것으로 우려…

BC주 올해 집값 마무리는…
등록자 KREW
등록일 08.27

커뮤니티 BC주 올해 집값 마무리는…BC부동산협회, 올해 7.7% , 2021년 3.7% 올라“경제 약세지만 거래 회복세 크고, 공급 줄어”최근 BC주에서도 팬데믹 상황이 다시 악화되면서 …

BC주 9월 개학 방침 드디어 발표…
등록자 KREW
등록일 08.27

커뮤니티 BC주 9월 개학 방침 드디어 발표…코퀴틀람 교육청, 고등학교 4학기제로 변경써리, 8~9학년 100% 대면수업, 10~12 혼합식드디어 BC주 학교 새학기 개학 플랜이 발표됐다.…

캐나다 팬데믹 이후 경제회복도 ‘들쑥날쑥’…
등록자 KREW
등록일 08.26

캐나다 캐나다 팬데믹 이후경제회복도 ‘들쑥날쑥’…BC주 비교적 덜 충격…2021년에도 경제 리더에너지 의존지 회복세 더뎌…동부 3곳 “좋아”캐나다 경제는 큰 국토면적만큼 다양한 특징을 보…

캐나다 대학 전공과 사회진출 ‘임금 수준’…
등록자 KREW
등록일 08.26

캐나다 캐나다 대학 전공과 사회진출 ‘임금 수준’…엔지니어링, 약학 등 높고…교육, 공공 행정 등 낮아팬데믹 속에서도 신입생 선발과 졸업은 계속되고 있다. 새 학년이 시작되는 가을학기가 …

BC 주말마다 대규모 감염 사태...”어떡하나”
등록자 KREW
등록일 08.25

커뮤니티 BC 주말마다 대규모 감염 사태...”어떡하나”주말 신규 확진자 269명…방역 수칙 위반 파티 벌금대중교통, 슈퍼스토어 등 일부 마트 ‘마스크 의무’화캐나다에서 비교적 방역 사정이…

연방 보수당 새 대표에 에린 오툴 전 보훈장관
등록자 KREW
등록일 08.25

캐나다 연방 보수당 새 대표에 에린 오툴 전 보훈장관캐나다 연방 보수당의 새 대표가 선출됐다. 코로나 19 팬데믹과 자유당의 ‘위채러티(WE Charity)’ 스캔들 등으로 경제와 정치 …

코로나 19 속에서도 주택 거래 증가세 ‘꾸준’
등록자 KREW
등록일 08.25

한국 코로나 19 속에서도 주택 거래 증가세 ‘꾸준’팬데믹 속에서도 주택 거래량이 늘어난 것으로 분석,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국토교통부는 최근 7월 실적을 분석하면서 주택 매매…

'캐나다 이민 제도 빨리 수정해야...'
등록자 KREW
등록일 08.25

캐나다 "캐나다이민제도빨리수정해야..."상공회의소,"고급기술력놓치는위기"풀타임대학졸업유학생에별도점수제올해로시행1주년을맞이한'익스프레스엔트리(ExpressEntry)'.비록연방보수당정부가도…

캐나다, 3월부터 전자여행허가서(eTA)
등록자 KREW
등록일 08.25

캐나다 캐나다,3월부터전자여행허가서(eTA)앞으로캐나다를방문할때는정부허가를받아야한다.한국에서캐나다를방문을준비하는가족,친척이있다면새입국제도를미리알려줘야낭패를겪지않을것이다.연방이민부에따르면오…

캐나다, 3월부터 전자여행허가서(eTA)
등록자 KREW
등록일 08.25

캐나다 캐나다,3월부터전자여행허가서(eTA)앞으로캐나다를방문할때는정부허가를받아야한다.한국에서캐나다를방문을준비하는가족,친척이있다면새입국제도를미리알려줘야낭패를겪지않을것이다.연방이민부에따르면오…

캐나다 전자여행허가 9월부터 미국인과 유효 비자 소유자 제외
등록자 KREW
등록일 08.25

캐나다 캐나다전자여행허가9월부터미국인과유효비자소유자제외캐나다입국을위한전자여행허가(eTA)제도가오는9월부터시행된다.연방정부는지난3월시행예정이었지만한차례연기된이제도(eTA)를오는9월29일입국…

캐나다 주택시장 팬데믹 속 기록행진중…
등록자 KREW
등록일 08.21

캐나다 캐나다 주택시장 팬데믹 속 기록행진중… 거래량 전년비 30.5%...7월 실적으로 역대 기록 “전국 주택시장 3월달에 기대했던 방향으로…” 캐나다 주택시장이 전국적으로 다양한 모습…

BC 주택시장 회복 강세 ‘키워드’
등록자 KREW
등록일 08.21

커뮤니티 BC 주택시장 회복 강세 ‘키워드’ (크게) “거래 강세 지속…주거 수요 늘었지만 공급 부족” 7월 거래량 전년대비 26.6%, 집값 12.9% 상승해 “주택시장에서 강렬한 회복세…

캐나다 포스트 팬데믹 소비자들 지갑 확 열려
등록자 KREW
등록일 08.21

캐나다 캐나다 포스트 팬데믹 소비자들 지갑 확~ 열려(크게) 운송, 여행 등 제외…개인지출 전년비 18% 급등 “미래 불투명하지만 소비 상태는 굳건할 전망” 캐나다 소비자들의 지출 수준이…

BC 비상사태 9월까지…저소득층 별도 지원
등록자 KREW
등록일 08.20

커뮤니티 BC 비상사태 9월까지…저소득층 별도 지원확진자 주말 100명 이상…평일 하루에도 83건 ‘훌쩍’저소득 9월부터 4회지원…코로나19 방역수칙 단속BC주 비상사태가 9월까지 이어지게…

BC주 9월 2차 파동 직면하게 되나…
등록자 KREW
등록일 08.20

커뮤니티 BC주 9월 2차 파동 직면하게 되나…팬데믹 재정부담 서아시안, 남미인 등 부담 커BC주는 매월 정기적으로 코로나 19 사태를 평가, 현재 진행방향을 분석해오고 있다. 바로 모델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