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News
분류 캐나다

전국 주택시장 거래, 집값 ‘동반 상승’

작성자 정보

  • 작성자 KREW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전국 주택시장  거래, 집값 ‘동반 상승’



HPI 주택 가격지수는 5개월 연속(전월비) 하락

전국 거래량 2018년 1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





전국적으로 주택 거래가 늘었다. 그동안 주춤했던 BC주도 전월대비에서 상승세를 보이면서 전국 상승곡선에 힘을 보탰다. 실제 거래량은 전년대비 늘어났을 뿐만 아니라 평균 집값도 지난해보다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캐나다 부동산협회에 따르면 최근 한 달(5월) 동안 전국에서 거래된 주택은 한 달 전보다 1.9% 늘어났다. 실제 거래규모도 1년 전과 비교할 때 6.7%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신규 리스팅 규모는 전월대비 1.2% 줄었다. 주택 가격 지수도 전월대비 0.2% 감소, 5개월 연속 하락세다. 실제 주택 가격지수는 1년 전보다 0.6% 감소한 상태이다. 그렇지만 전국 평균 집값은 전년대비 1.8% 올랐다.

먼저 지난 5월중 전국 주택 거래량은 2018년 1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 올해 2월 전국 주택 거래량은 6년래 최저 거래량보다 8.9% 높은 수준이었다. 다만 5월 거래 실적은 전국 시장 절반에서만 나타난 현상이다. 여기에 대형 시장이 포함된 것. 광역 밴쿠버와 광역 토론토의 상승세가 전국을 이끌었다.

실제 거래 활동은 2018년 5월과 비교할 때도 6.7% 늘었다. 2016년 여름 이후 가장 큰 실적이다. 이로써 10년간 5월 평균에 접근한 상태. 또 비록 전국 로컬 시장 3곳 가운데 2곳은 전년대비 상승세를 보였지만 광역 토론토에서 상승세가 전국적 인상폭의 절반을 차지하는 상황이다.

그레고리 클럼프 캐나다 부동산협회 경제학자는 “모기지 스트레스 테스트는 여전히 주택 시장의 바이어들에게 큰 도전거리이다. 특히 바이어들이 시장에 선택할 주택들이 많이 있지만 다운 페이먼트를 위해서는 더 많은 돈을 모아야 하기 때문이다”면서 “바라건대 스트레스 테스트가 잘 자리를 잡아 집값이 오르지 않고 홈바이어들도 모기지 대출을 좀더 빨리 받을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신규 리스팅 주택은 5월중 1.2%가 줄었다. 세일즈는 늘었고 신규 리스팅은 줄어든 것. 이로써 신규 리스팅 대비 세일즈 비율은 57.4%가 됐다. 한 달 전에는 55.7%였다. 여전히 장기 평균인 53.5% 범위 내에 있는 상태. 전국 주택 인벤토리는 현재 5.1개월을 기록했다. 한 달 전 5.3개월보다 조금 줄었다. 지난 2월에는 5.6개월이었다. 그만큼 인벤토리가 빠르게 줄어들고 있다는 것.

집값을 보면, 종합 주택 가격지수는 전년대비 -0.6% 줄었다. 전체 벤치마크 가격이 감소한 것. 세부적으로 타운홈과 로 하우스, 아파트 유닛 가격을 보면 단지 0.2%가 후퇴하면서 큰 변화는 없었다. 반면 2층짜리 단독주택은 가격이 0.5%가 빠졌다. 단층짜리 주택의 경우에는 무려 1.7%나 줄어든 것.

주택 가격 흐름은 전국 18개 로컬 시장에서 제각각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BC주에서는 복합적이다. 광역 밴쿠버의 경우에는 전년대비 -8.9%이고, 프레이저 밸리가 -5.9%, 오카나간이 -0.7%로 하락세를 보인다. 그렇지만 빅토리아에서는 전년대비 1%, 밴쿠버 아일랜드에서도 4.7%를 나타내고 있다.

인근 앨버타를 포함한 캐나다 중부에서는 역사적으로 많은 주택 공급 수준을 보여주고 있다. 즉 주택 가격이 여전히 지난해 수준보다 낮다. 캘거리에서 벤치마크 값은 전년대비 4.3% 줄었다. 에드먼턴에서는 하락폭이 3.9%, 리자이나 3.9%, 새스카툰 1.3% 등이다. 게다가 주택 가격을 조성하는 환경은 수요 공급의 ‘균형’ 시장으로 회복하기까지 한동안 약세를 보이게 된다.

한편 전국 주택 가격 평균은 광역 밴쿠버와 광역 토론토를 제외할 때 이전보다 11만 1000달러가 떨어진 39만 7000달러로 집계됐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목록
Total 975 / 46 Page
RSS
재정 스트레스는 ‘자산 대비 부채’로부터…
등록자 KREW
등록일 07.03

캐나다 재정 스트레스는 ‘자산 대비 부채’로부터…소득 하위 20% 그룹, 편부모 가정 ‘스트레스’ 커빚이 많으면 자연히 스트레스가 높을 것으로 생각하기 마련이다. 그러나 마냥 관련성이 큰…

전국 주택시장 거래, 집값 ‘동반 상승’
등록자 KREW
등록일 06.28

캐나다 전국 주택시장 거래, 집값 ‘동반 상승’ HPI 주택 가격지수는 5개월 연속(전월비) 하락 전국 거래량 2018년 1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 전국적으로 주택 거래가 늘었다. 그동안…

전국 주택시장 거래, 집값 ‘동반 상승’
등록자 KREW
등록일 06.28

캐나다 전국 주택시장 거래, 집값 ‘동반 상승’ HPI 주택 가격지수는 5개월 연속(전월비) 하락 전국 거래량 2018년 1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 전국적으로 주택 거래가 늘었다. 그동안…

이민자, 캐나다인 소득격차 대도시에서 더 커져
등록자 KREW
등록일 06.28

캐나다 이민자, 캐나다인 소득격차 대도시에서 더 커져 이민자 소득, BC 전반 -8% 적고, 밴쿠버에서는 -18%나 경력 인증, 언어 능력 비슷해도 소득은 평균 -9% 적어 육체노동 종사…

밴쿠버 신규 콘도 시장 ‘강세’
등록자 KREW
등록일 06.27

캐나다 밴쿠버 신규 콘도 시장 ‘강세’3개 분기 연속 상승…올해도 2.5% 등콘도 시장에서 여전히 밴쿠버는 전국적 영향력을 휘두르고 있다. 가격을 놓고 볼 때 토론토와 빅토리아의 느린 속…

밴쿠버 신규 콘도 시장 ‘강세’
등록자 KREW
등록일 06.27

캐나다 밴쿠버 신규 콘도 시장 ‘강세’3개 분기 연속 상승…올해도 2.5% 등콘도 시장에서 여전히 밴쿠버는 전국적 영향력을 휘두르고 있다. 가격을 놓고 볼 때 토론토와 빅토리아의 느린 속…

오는 2036년 이민자 인구 절반 ‘아시안’
등록자 KREW
등록일 06.26

캐나다 오는 2036년 이민자 인구 절반 ‘아시안’이민자중 유럽계 비중 31%에서 15~17%로 줄어밴쿠버와 토론토 등 대도시에 비기독교인 늘어캐나다 인구 전망은 향후 이민자 비중이 확실…

전국 캐나다 가정 “부채 줄이기 노력”
등록자 KREW
등록일 06.20

캐나다 전국 캐나다 가정 “부채 줄이기 노력”가계소득 1달러당 1.78달러 빚…부채 속도 줄어전국 캐나다 가정의 ‘가계 경제 정상화’ 노력이 효력을 발휘하고 있다. RBC이코노믹스가 최근…

이민자 부부, 캐나다인보다 덜 헤어져
등록자 KREW
등록일 06.20

캐나다 이민자 부부, 캐나다인보다 덜 헤어져55세 이상 캐나다인 15% 별거 또는 이혼캐나다에서도 황혼 이혼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그렇지만 이민자들 커플은 캐나다인들보다 좀더 끈끈한 관…

정부, 트랜스 마운티 파이프라인 ‘승인’
등록자 KREW
등록일 06.19

캐나다 정부, 트랜스 마운티 파이프라인 ‘승인’다양한 사회적 갈등을 초래했던 트랜스 마운틴 파이프라인 확장공사. 드디어 정부가 ‘확장’ 결정을 최종 발표했다.그동안 트랜스 마운틴 파이프라…

BC주 홈오너의 84, ‘1인 1주택’
등록자 KREW
등록일 06.14

캐나다 BC주 홈오너의 84%, ‘1인 1주택’ “캐나다의 최신 이민자 중 홈오너 비중 적어” BC, 온타리오 주 홈오너 3.8%, ‘3채 이상 소유’ BC 비거주민 집값, 주민들 주택보…

캐나다 ‘유학생’ 인구증가 ‘핵심’ 동력
등록자 KREW
등록일 06.13

캐나다 캐나다 ‘유학생’ 인구증가 ‘핵심’ 동력2018년 연 인구 증가 1.4%...10년래 최대뚜렷한 인구 증가는 선진국일수록 드문 일이 되고 있다. 특히 캐나다의 경우 선진 7개 국가…

캐나다 이민자 주택난 ‘심각’
등록자 KREW
등록일 06.05

캐나다 캐나다 이민자 주택난 ‘심각’전국 ‘주택 필요계층’의 20%가 외모상 소수민족대도시 집중 거주…캐나다인에서는 11.2% 불과소수민족, 캐나다인보다 연소득 4700달러 적어캐나다 이…

캐나다 이민자 주택난 ‘심각’
등록자 KREW
등록일 06.05

캐나다 캐나다 이민자 주택난 ‘심각’전국 ‘주택 필요계층’의 20%가 외모상 소수민족대도시 집중 거주…캐나다인에서는 11.2% 불과소수민족, 캐나다인보다 연소득 4700달러 적어캐나다 이…

캐나다 노인들도 집장만 걱정 시대
등록자 KREW
등록일 05.31

캐나다 캐나다 노인들도 집장만 걱정 시대 주거지 필요 핵심 계층 5년새 21% 늘어 BC주 노인 더 취약…5년새 16.8% 증가해 주거지가 필요한 핵심 계층(Household in Cor…

캐나다 60여년간 1인당 연소득 2.2 올라
등록자 KREW
등록일 05.30

캐나다 캐나다 60여년간1인당 연소득 2.2% 올라BC주, 온타리오 각 1.9%로 가장 낮아앨버타 2.7%, 서스캐처원 3% 등 높아천연자원이 풍부한 캐나다. 노동자 임금을 볼 때도 오일…

전국 65세 이상, 모기지 연체 ‘상승세’
등록자 KREW
등록일 05.24

캐나다 전국 65세 이상, 모기지 연체 ‘상승세’ 캐나다 가구당 부채 역대 최고 정점 찍어… “모기지 활동 둔화 속 부채 수준 높아 우려” 55세 이상 중노년 소비자 부채 계속 상승 역대…

외딴 지역으로 ‘은퇴’하겠다면…
등록자 KREW
등록일 05.23

캐나다 외딴 지역으로 ‘은퇴’하겠다면…“방지할 수 있는 시기 상조 사망 경향도”누구나 도시를 벗어난 삶을 생각해본다. 평생을 도시에서 살아온 주민이라면 외딴 시골에서 보내는 은퇴를 계획할…

외딴 지역으로 ‘은퇴’하겠다면…
등록자 KREW
등록일 05.23

캐나다 외딴 지역으로 ‘은퇴’하겠다면…“방지할 수 있는 시기 상조 사망 경향도”누구나 도시를 벗어난 삶을 생각해본다. 평생을 도시에서 살아온 주민이라면 외딴 시골에서 보내는 은퇴를 계획할…

캐나다 경제 지형 ‘반전 변화’
등록자 KREW
등록일 05.17

캐나다 캐나다 경제 지형 ‘반전 변화’ 실질 성장률 ‘동고서저’…BC, AB 3, 4위로 PEI, 퀘벡 성장률 각각 2.6%와 2.5%로 선두 캐나다 경제 지형에 변화가 생겼다. 경제 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