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News
분류 캐나다

“모기지 완납 가정 더욱 줄어 들어”

작성자 정보

  • 작성자 KREW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모기지 완납 가정 더욱 줄어 들어”



모기지 빚 1999~2016년 사이 ‘두 배’나 증가해

2016년 고정금리 74%...변동금리 21% 선택 등





일생의 큰 선택인 주택 구매. 캐나다 홈오너 다수는 주택 대출금인 모기지(Mortgage)를 완납, 그 부담에서 벗어나고 싶어할 것이다. 게다가 각종 금융기관 조사에서도 세금환급 등 여윳돈이 생길 때 다수가 ‘모기지 갚기’에 보탠다고 할 정도.

그렇지만 최근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이 같은 모기지 갚기에 대한 열정에도 불구하고 실제 모기지를 완납한 캐나다가 가정은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그 비중이 줄어들고 있다. 통계청이 홈오너십과 모기지 부채 및 캐나다 가정의 모기지 종류(1999~2016년)를 분석했다.

전반적으로 2012~2016년 일시적 하락세가 있었지만 캐나다 가정은 전반적으로 과거 20년보다 더 주택 소유를 원하고 있었다. 하지만 모기지 완납자 비중은 1999년 46%에서 2016년 43%로 줄었다. 즉 좀더 많은 캐나다인 홈오너들이 모기지 부채를 안고 있다는 의미다. 게다가 이 같은 흐름은 모든 연령대에서 보편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비록 주택 가격 상승세는 수많은 홈오너의 부를 증가시켰지만 캐나다인은 또한 모기지 부채 상승을 경험하고 있다. 1999~2016년 사이 모기지 부채는 중간값(Median)을 기준, 거의 두 배나 늘었다. 수치로 보면 9만 1900달러에서 18만 달러 등이다.

먼저, 모기지를 완납한 홈오너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모든 연령대에서 하락곡선을 보이고 있다. 특히 각 가정의 주요 소득원이 되는 35~54세 연령대에서 크게 줄었다. 고령화가 없다면 전반적인 하락세는 더욱 컸을 것으로 관측됐다. 즉 비교적 나이가 든 가정들은 모기지를 완납했을 가능성이 높다. 또 나이 든 그룹들이 현재 캐나다에서 다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고령화 영향이 없었다면 캐나다인 가운데 모기지를 완납한 비중은 1999년 46%에서 2016년 36%로 더욱 줄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 보고서는 “모기지 부채의 전반적 상승은 주택 가격 상승과 이자율 하락으로 유지되고 있다. 이는 또 모기지 완납 가정의 비중이 줄어드는 이유가 되기도 한다”고 설명했다.

주택 가격의 빠른 상승세는 모기지 부채 전반적 규모 상승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캐나다 전반적 현상이다. 특히 중년층과 자녀가 있는 부부로 구성된 가정에서는 부채가 크게 늘었다. 수치로 보면, 모기지 부채 중간 값이 1999년 9만 6800달러에서 2016년 20만 5000달러가 됐다.

사실 1999~2016년을 기준, 모기지 부채는 캐나다인 가정 전체 부채의 84%를 차지한다. 소비자 부채는 나머지 16%에 불과하다. 여기에는 크레딧 카드 빚과 라인 오브 크레딧 등이 포함된다.

이밖에 캐나다 전반적으로 다수는 변동 금리 보다는 고정 금리(Fixed Rate)를 선호했다. 수치로 보면 2016년 74%가 고정 금리를, 21%가 변동 금리를 택했다. 5%는 두 가지를 복합한 형태이다. 모기지 전문인협회(Mortgage Professionals of Canada)에서 발행된 데이터를 보면, 2018년을 기준, 이 비중은 고정 금리가 68%, 변동금리가 27%, 나머지가 5% 등이다.

물론 가구의 형태에 따라 금리 선택도 차이가 있다. 일반적으로 대출금 상환기간이 장기간인 경우에는 고정 금리를 더 선호했다. 장기 금리 선택한 사람들은 그만큼 안정성을 원하기 때문이다. 가계 예산을 유지해나가는 가정들도 고정금리를 선호했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2,801 / 128 Page
RSS
캐나다 2020년 주택시장 ‘키워드’
등록자 KREW
등록일 02.14

캐나다 캐나다 2020년 주택시장 ‘키워드’ (크게) 늘어난 거래량, 빠듯한 공급량에 뜨거워질 가격 등 TD 이코노믹스, “올해 집값 2016년 후 가장 빠르게” 올해 2020년 주택시장…

백신 미접종 의료인 3천명 ‘무급 휴가’로…
등록자 NEWS
등록일 11.02

커뮤니티 백신 미접종 의료인 3천명 ‘무급 휴가’로… 병원마다 수술실 운영 축소…내륙에 1018명 최다로 공무원 백신 미접종 무급휴가 데드라인 11월 22일 백신 접종을 거부한 의료 인력에…

광역 밴쿠버 시장 단독주택 거래 ‘반짝’
등록자 KREW
등록일 08.09

커뮤니티 광역 밴쿠버 시장단독주택 거래 ‘반짝’“조용한 7월은 없었다”…거래 전년비 23% 증가리스팅 1만 4200여 유닛…전년대비 17.3% 늘어광역 밴쿠버 부동산이 눈에 띄는 성장세를 …

캐나다 국적자 한국 방문하려면…
등록자 KREW
등록일 07.14

커뮤니티 캐나다 국적자 한국 방문하려면…병원 진단서는 비자 신청일 48시간 이내코로나 19 사태로 전세계적으로 항공기 여행에 제약이 따르고 있다. 최근 한국~캐나다 항공기 운행이 재개됐지만…

밴쿠버, 불법 단기 임대 ‘폭탄 벌금’
등록자 KREW
등록일 03.21

부동산 밴쿠버, 불법 단기 임대 ‘폭탄 벌금’비승인 단기 임대 820곳 적발…최대 2만불시, “2018년 라이선스 70%만 갱신한 상태”그동안 불법 단기 임대에 경고 메시지를 보냈던 밴쿠…

“모기지 완납 가정 더욱 줄어 들어”
등록자 KREW
등록일 08.16

캐나다 “모기지 완납 가정 더욱 줄어 들어” 모기지 빚 1999~2016년 사이 ‘두 배’나 증가해 2016년 고정금리 74%...변동금리 21% 선택 등 일생의 큰 선택인 주택 구매. …

“홈바이어와 셀러 5월에 시장 복귀…”
등록자 KREW
등록일 06.04

캐나다 “홈바이어와 셀러 5월에 시장 복귀…”밴쿠버 전월비 30%, 토론토도 53% 증가해캘거리, 전월대비 거래량 무려 70% 반등“아직까지 북적거리는 봄 시장과는 거리가 멀다. 하지만 …

캐나다 주택 가격은 “올해 꾸준한 상승세…”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03.19

캐나다 캐나다 주택 가격은 “올해 꾸준한 상승세…” 2022년 가까워지면 ‘둔화’…낮은 인벤토리 등 요인 “지난 8월 이후 전국 단독주택 가격 10만불 올라” 밴쿠버는 14만 3천 달러,…

BC, 매니토바 경제 코로나 19 회복 ‘빨라’
등록자 KREW
등록일 06.10

캐나다 BC, 매니토바 경제 코로나 19 회복 ‘빨라’“현재 역대 최저 후퇴기 수준…연말에 회복”전국 각 주 경제가 올해 말에는 코로나 19(COVID-19) 영향에서 상당히 회복할 것으…

“BC주, 1000불 지원금 신청 잊지 마세요”
등록자 NEWS
등록일 12.08

커뮤니티 “BC주, 1000불 지원금 신청 잊지 마세요” 370만명…가구소득 12만 5천불, 개인 6만 2500불 1~3월중 소득 지원, 장애 지원 대상자에 월 150불씩 집권당 정부가 최…

캐나다에서도 ‘오미크론’ 변종 바이러스 확인
등록자 NEWS
등록일 11.30

캐나다 캐나다에서도 ‘오미크론’ 변종 바이러스 확인 BC주, 5~11세 어린이 백신 접종 조만간 본격화 BC주에서 어린이 백신 접종이 본격 시작된 가운데 전세계적으로 새로운 코로나 19 …

캐나다 올해 팬데믹에 인구 성장도 멈춰…
등록자 KREW
등록일 12.24

캐나다 캐나다 올해 팬데믹에 인구 성장도 멈춰… 분기 별 인구 성장률 0%...1946년 이후 최저 BC인구 가장 큰 감소…전국 6개주, 2개 준주 글로벌 팬데믹이 캐나다에 끼친 파장은 …

올해 BC집값 ‘상승’ 마무리…팬데믹 속 1.8
등록자 KREW
등록일 07.02

캐나다 올해 BC집값 ‘상승’ 마무리…팬데믹 속 1.8%집값 2021년에 5.6% 더 올라…거래 올해 -21%로BC노동자 평균 주급, 2021년까지 상승세 이어“BC 주택 거래는 2021…

세인트 폴 병원 착공...2027년 오픈
등록자 NEWS
등록일 03.09

부동산 신규 세인트 폴 병원 본격 착공 시작 오는 2027년 오픈 전망…기존 병원 그대로 운영중 밴쿠버 주민들의 기대를 한 몸에 받고 있는 신규 세인트 폴 종합병원(St. Paul’s H…

BC 주택거래 둔화 속 “대부분 시장 균형 유지”
등록자 KREW
등록일 12.21

부동산 BC 주택거래 둔화 속 “대부분 시장 균형 유지” 월간 집값 1.9% 하락에도 누적집값 상승 액티브 리스팅 규모 전년대비 31% 증가 “주택 거래가 여전히 둔한 상태다.” 부동산협…

BC주택시장 “올해 모멘텀 내년도…”
등록자 KREW
등록일 11.08

캐나다 BC주택시장 “올해 모멘텀 내년도…” 2020년 주택거래 두 자릿수 상승…연 8만 5500건 “수요 정상화, 인벤토리 누적에 시장 흐름 바뀌어” a 올해 BC주택시장은 확실히 작년…

프레이저 밸리, 집값 거래량 ‘동반 상승’세
등록자 KREW
등록일 09.04

커뮤니티 프레이저 밸리, 집값 거래량 ‘동반 상승’세 신규 물량 전년비 40.4% 늘어…전체 리스팅은 줄어 프레이저 밸리 시장이 기록적 한 달을 보냈다. 기록적 거래량은 지난 2005년 8…

“BC주 코로나 감염 경로 다양해져”
등록자 KREW
등록일 08.04

커뮤니티 “BC주 코로나 감염 경로 다양해져”사적 모임, 소규모 여행, 직장 노출, 군중 모임8월 첫 롱위크엔드 연휴 기간 146명 확진돼뜨거운 여름 휴가철 8월의 첫 휴일을 지나면서 코로…

“특급 강세 캐나다 주택시장 위험 없지는 않다”
등록자 NEWS
등록일 03.04

캐나다 “특급 강세 캐나다 주택시장 위험 없지는 않다” 집장만 여건, 캐나다 전국 포함, 밴쿠버, 토론토 ‘적색’ 이민자 유입 적어 향후 주택 수요 영향…실업률도 이슈 캐나다 주택 시장이…

빈집, 투기세…‘놀라움 연속’
등록자 KREW
등록일 05.23

부동산 빈집, 투기세…‘놀라움 연속’외국인, 기러기 가족 등 80% 이상“BC 주민 99%는 빈집세와 투기세를 내지 않게 된다.” 최근 BC주 정부가 면제 신청서 접수 결과를 토대로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