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News
분류 캐나다

“캐나다 과거 실패 되풀이 위험”

작성자 정보

  • 작성자 KREW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캐나다 과거 실패 되풀이 위험”
국가의 경기침체 시기마다 등장했던 경기부양 정책. 최근 미국은 부양책을 줄이고 있지만 신흥국가들은 오히려 경기부양책을 새롭게 꺼내고 있는 상황이기도 하다. 그런데 프레이저 연구소(Fraser Institute)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캐나다 연방 정부가 현재와 같은 적자 지출 정책(Deficit-Spending) 정책을 이어갈 경우 지난 1960년대와 1990년대 실수를 되풀이 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하지만 과거와 달리 현재는 노동 참여도가 줄어드는 상황이어서 향후 어떤 영향을 미칠지 우려 되는 상황이다. 또 캐나다는 이미 글로벌 경기 침체를 2008년 한차례 경험했기 때문에 향후 정책 분석에도 이 보고서는 참고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먼저 1965~1995년 사이 캐나다 연방 정부는 반복적으로 적자를 기록했다. 부채가 쌓이면서 1990년대 중반에는 거의 위기에 가까울 정도가 됐다. 그렇지만 1995년 시작된 개혁 이후 캐나다는 2008-2009회계연도 수준 적자로 회복하기도 했다. 덧붙여 지난 2015년에는 예산 균형을 맞추는 수준이 됐지만 새 정부 들어서 추가 지출 및 신규 지출이 추진, 예산은 다시 적자로 돌아섰다. 2018년 장기 국가 개정 및 경제 전망을 보면 연방 정부는 오는 2040년까지 적자를 기록하게 된다. 단 이 기간 동안 경기후퇴가 없다고 가정했다. 주목할 부분은 1960년 중반과 1990년대 중반까지 적자에 기여했던 요소들. 실제 정부 소득이 예산으로 전망했던 수준보다 낮았지만 실제 프로그램 지출 금액은 예산을 웃돌았던 것. 게다가 예상보다 높은 이자율도 오늘날 자리잡고 있는 위험 요소들이었다. 덧붙여, 지난 1960~1090년대 사이에는 인구통계적 구성도 긍정적 역할을 하기도 했다. 즉 노동 시장 참여도가 늘어났던 것. 하지만 오늘날 이들은 현재 경제 성장과 정부 재정의 역풍이 되고 있다. 노동력 참여도가 줄었기 때문이다. 역사적으로 예산 관련 정부 발표를 검토할 때 과거와 오늘날에는 큰 차이가 있다고 이 보고서는 분석했다. 즉 1965~1995년 사이에는 모두 24번의 예산 발표문이 매우 동일하게 지출 통계를 정부의 우선사안으로 꼽고 있다. 정부도 과잉지출과 적자 사이에 관련성을 인지하고 있는 상황이었다. 그렇지만 오늘날 정부는 지출 상승과 적자를 문제점이나 위기로 여기지 않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는 것. <사진=Fraser Institute 제공>마지막으로 이 보고서는 “비슷한 위기 요소와 인구통계적 요소를 종합하고 연방 정부의 현재 위기 요소 인정 실패까지 아우를 때, 현재 정부는 분명하게 지난 1960년대와 1990년대 실수를 되풀이 할 수 있는 위험에 처해 있다”고 설명했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2,801 / 27 Page
RSS
BC, 자동차 보험료도 ‘전국 최대’
등록자 KREW
등록일 08.13

커뮤니티 BC, 자동차 보험료도 ‘전국 최대’연간 1832달러, 앨버타 1316불, ON 1505불BC주는 캐나다에서도 비싼 주택 가격을 보인다. 그런데 주택 가격만 높은 것이 아니다. 운…

“코로나 19 후 아시안 자녀 학교 괴롭힘 우려도…”
등록자 KREW
등록일 06.23

캐나다 “코로나 19 후 아시안 자녀 학교 괴롭힘 우려도…”중국계 캐나다인 61%, 일상생활 루틴도 바꿀 정도요즘 이민자들에게는 코로나 19 외에도 한 가지 고충이 더 있다. 바로 인종차…

“캐나다 과거 실패 되풀이 위험”
등록자 KREW
등록일 08.22

캐나다 “캐나다 과거 실패 되풀이 위험”국가의 경기침체 시기마다 등장했던 경기부양 정책. 최근 미국은 부양책을 줄이고 있지만 신흥국가들은 오히려 경기부양책을 새롭게 꺼내고 있는 상황이기도…

연말 ‘음주’ ‘마리화나’ 운전 우려
등록자 KREW
등록일 12.12

커뮤니티 연말 ‘음주’ ‘마리화나’ 운전 우려1회 흡입 5시간 후에도 ‘음주운전’처럼캐나다에서 레저용 마리화나가 합법화 된 이후 첫 연말 시즌이다. 각종 파티와 모임이 많은 탓에 벌써부터 …

캐나다 입국 외국인 생체정보 확대
등록자 KREW
등록일 12.19

커뮤니티 캐나다 입국 외국인 생체정보 확대캐나다에 입국하는 외국인 생체인식 정보 수집 확대된다.밴쿠버 총영사관은 주한캐나다 대사관이 한국 정부에 알려온 ‘생체인식정보 수집 확대’ 공고를 공…

교통 사망 사고 두 자릿수 감소
등록자 KREW
등록일 12.12

한국 교통 사망 사고 두 자릿수 감소인구가 늘어나면 각종 안전사고가 늘어나기 마련이다. 하지만 한국에서는 최근 교통 사망 사고가 감소세를 보여 주목을 받고 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

“핸드폰 내려 놓고 운전하세요…”
등록자 KREW
등록일 04.10

커뮤니티 “핸드폰 내려 놓고 운전하세요…”“경찰의 집중 단속 효과인가 아니면 점점 운전자들 경각심이 줄어드는 것일까?” 최근 실시된 밴쿠버 경찰청(VPD)의 운전중 휴대전화 단속 결과가 공…

주택 투자 ‘반등’…가계 지출도 늘어
등록자 NEWS
등록일 12.02

캐나다 주택 투자 ‘반등’…가계 지출도 늘어 올 3분기 GDP 8.9%로 ‘급등’…경제 재오픈 캐나다 경제가 최근 3개월 동안 반짝 성장, 주목을 받고 있다. 팬데믹으로 잠겼던 경제가 전…

생애 첫 주택구매자도 ‘코로나 19’ 영향
등록자
등록일 10.01

캐나다 대도시에서 도시 외곽…콘도보다 타운홈, 단독 팬데믹 사태는 주택 시장을 바라보는 생애 첫 주택 구매자에게 영향을 주고 있다고 BMO가 최근 조사를 토대로 평가했다. 그렇지만 여전히…

복수 국적 허용 연령 65→55세 하향 추진
등록자 NEWS
등록일 10.16

한국 김석기 국회의원 발의… 인구 절벽 막기 위한 조치 사진제공=국무총리비서실 한국 정부의 복수 국적 허용 연령이 현행 65세에서 55세로 하향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인구 절벽을 막기 …

재정 스트레스는 ‘자산 대비 부채’로부터…
등록자 KREW
등록일 07.03

캐나다 재정 스트레스는 ‘자산 대비 부채’로부터…소득 하위 20% 그룹, 편부모 가정 ‘스트레스’ 커빚이 많으면 자연히 스트레스가 높을 것으로 생각하기 마련이다. 그러나 마냥 관련성이 큰…

‘스트레스 테스트’ 금리 낮아져
등록자 KREW
등록일 07.25

캐나다 ‘스트레스 테스트’ 금리 낮아져뱅크오브캐나다, 5.34%->5.19%로“이전보다 1.4% 비싼 주택 가능해”집 장만에 나선 홈바이어에게 희소식이다. 비록 캐나다 중앙은행가 최…

캐나다 실질 성장률 올해 마이너스 가능성…
등록자 KREW
등록일 06.26

캐나다 캐나다 실질 성장률 올해 마이너스 가능성…(크게) 올해 GDP는 -6.1%%에서 2021년 5.2%로 BC 주택거래 올해 -15.6%에서 내년 22% 등 코로나 팬데믹 상황이 지속…

주택 착공 실적, 인허가 ‘동반 감소’
등록자 KREW
등록일 04.08

캐나다 주택 착공 실적, 인허가 ‘동반 감소’전국적으로 주택 인허가와 착공에도 변화가 생기기 시작하고 있다. 지난해 이맘때와 비교할 때 나란히 감소한 것.국토교통부에 따르면 2월 주택 인…

밴쿠버 총영사관, 한국전 참전용사 초청
등록자 NEWS
등록일 06.29

커뮤니티 밴쿠버 총영사관, 한국전 참전용사 초청 기념행사 및 인터뷰 등 총영사관 온라인에 공개 코로나 19 팬데믹과 때이른 여름 폭염에서도 한국전쟁에 대한 기억은 소중하게 기억됐다. 주 밴…

“신규 공급 없으면 단독주택 1.4개월내 소진”
등록자 NEWS
등록일 11.05

커뮤니티 프레이저 밸리 시장 “신규 공급 없으면 단독주택 1.4개월내 소진” “거래규모가 예외적 수준을 보이고 있다.” 프레이저 밸리 부동산협회가 한 달을 평가, 요약한 내용이다. 거래량과…

캐나다인 밤잠 설치는 ‘고민거리’
등록자 KREW
등록일 07.04

캐나다 캐나다인 밤잠 설치는 ‘고민거리’글로벌 이슈도 아닌 ‘생활비 걱정’이 현실캐나다인이 밤잠을 설치는 걱정거리는 무엇일까? 글로벌 정치나 인권, 환경과 같은 거시적 이슈가 아니었다. …

이민자, 캐나다인 소득격차 대도시에서 더 커져
등록자 KREW
등록일 06.28

캐나다 이민자, 캐나다인 소득격차 대도시에서 더 커져 이민자 소득, BC 전반 -8% 적고, 밴쿠버에서는 -18%나 경력 인증, 언어 능력 비슷해도 소득은 평균 -9% 적어 육체노동 종사…

BC 평균 수명 ‘하락세’
등록자 KREW
등록일 01.30

캐나다 BC 평균 수명 ‘하락세’남성 3년 연속 하락 곡선…79.9세캐나다 여성 84.1세, 남성 79.9세캐나다 평균 수명은 해마다 조금씩 늘어나고 있다. 그런데 남성의 경우에는 3년 …

새 ICBC 정책 “정말 혜택인가”
등록자 KREW
등록일 09.05

커뮤니티 새 ICBC 정책 “정말 혜택인가”스쿨존 효력발생, 30km/h 엄수새로운 학기가 시작되는 9월. ICBC의 보험료 정책 변경과 함께 스쿨존 엄수 등 운전자들이 신경을 바짝 써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