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News
분류 한국

北드론 위협 대응 민·관·군 협력체계 점검…서울시 '3차 안보포럼' 개최

작성자 정보

  • 작성자 KREW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 24일 시청서 서울시장, 수방사령관, 전문가 등 200여 명 참석… ‘메가시티 대드론체계 구축’ 주제
- 2개 세션서 ▴드론 기술 동향 ▴대도시형, 민・관・군 통합 대드론체계 구축방안 등 논의
- 대드론체계 구축 사례 및 제언, 국방혁신 관련 드론・AI발전 방향 등 주제로 전문가 토론
- “민관군 함께 호흡 맞춰 내실있는 대비태세 준비…긴장의 끈 놓지 않고 안보포럼 계속 마련”


<사진: 서울시 제공>

지난해 지방자치단체 최초로 두 차례의 안보 포럼을 연이어 개최하며, 수도 서울의 방호대책을 점검한 서울시가 고도화하는 북한의 드론 위협 대응을 위한 대드론 방어 시스템 구축에서 민・관・군 협력체계를 어떻게 구축할 것인지에 대해 각계 전문가들과 함께 점검하는 자리를 가졌다.

서울시는 24일(월) 오후 2시 서울시청 대회의실에서 「메가시티 대드론체계 구축을 위한 민・관・군 협력 방안」을 주제로 한 ‘서울시 안보포럼’ 세 번째 시리즈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앞서 시는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 급변하는 국제정세 속에서 북한의 핵·미사일 능력과 고출력전자기파(EMP) 위협을 진단하기 위해 지난해 두 차례의 안보 포럼을 열며, 수도방위사령관을 비롯한 군・소방 관계자, 국방·안보 전문가까지 한자리에 모여 핵과 미사일 방호 등을 주제로 대책을 논의한 바 있다.

이번 포럼은 드론의 위협과 세계적 동향, 기술적 수준 등을 공유하고, 메가시티 서울의 대드론 체계 구축을 위한 민・관・군 협력 방안을 논의하고자 마련됐다.

포럼에는 오세훈 서울시장과 이진우 수도방위사령관을 비롯해 서울 통합방위협의회 위원, 안보정책자문단, 대드론 분야 전문가 등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오세훈 서울시장의 환영사를 시작으로 ▴기념촬영 ▴발제・토론 ▴맺음말(서울시장) 순으로 진행됐다.

먼저 오 시장은 환영사를 통해 “북한 드론 공격은 가공할 위력으로 휴전선에서 불과 몇십 km 떨어진 서울 입장에선 심도 있는 대비를 하지 않으면 안될 상황”이라며 “최근 북한 오물풍선 관련 민・관・군이 신속하게 대응한 것처럼 대드론 대비태세도 민・관・군의 효율적인 대비태세가 평시 얼마나 구축됐느냐에 따라 피해 최소화에 이어 반격 준비를 갖출 수 있다는 점에서 이번 포럼이 갖는 의미가 매우 크다”고 말했다.

이어진 포럼에서는 김성우 교수(육군대학), 김기원 교수(대경대학교, 국방로봇학회), 이만희 준장(수도방위사령부 1방공여단장)이 발표자로 나서 ▴최근 전쟁으로 본 드론·대드론체계 ▴대도시형(서울) 대드론체계 구축방안 ▴민・관・군 통합 대드론체계 구축방안 등을 공유했다. 또, 조상근 박사(KAIST 국가미래전략기술정책연구소 교수)를 좌장으로 한 전문가 토론에서는 김광석 비상안전기획관(산업통상자원부), 강경일 대령(국방부군구조혁신담당관), 신희준 교수(경운대학교), 등이 대드론체계 구축을 위한 발전 방향 등을 논의했다.

김성우 교수(육군대학)는 포럼에서 드론으로 대표되는 무인기 시스템과 이에 대응하기 위한 대드론 체계는 미래 전장의 승패를 좌우하는 게임 체인저(Game Changer)로 그 중요성이 더욱 가중될 것이고 특히, 북한은 이번 오물풍선 살포와 같이 다량의 기구들을 드론, 무인기들과 함께 운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며 대드론체계 구축을 위한 민·관·군 협력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김기원 교수(대경대학교, 국방로봇학회)는 최근 드론위협과 대드론체계의 특성을 소개하고 대드론「권역화」구축 방안, AI를 이용한 지능화·효율화대드론체계 운용방안 등 메가시티형 민·관·군 통합 대드론체계 구축 방향을 제시했다.

이만희 준장(수도방위사령부 1방공여단장)은 북한 드론 위협 추세와 드론대응 방공작전 개념을 소개하면서 軍전력만으로는 모든 국가중요시설을 방호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軍과 통합된 민·관의 다중방어체계 구축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지정토론자로 나선 김광석 비상안전기획관(산업통상자원부)은 2014년 북한 무인기활동 식별 이후 정부 차원에서 진행해왔던 대드론체계 운영의 성과를 소개하고 지자체 대드론체계 구축·운영을 위한 지침보완, 드론 정보공유 및 관제방법, 실증사업 필요성 등 서울시 대드론체계 구축을 위한 선행 요건을 제언했다.

이어, 강경일 대령(국방부 군구조혁신담당관)은 군 차원, 국방혁신을 통해 드론의 파급력을 파악하고 문제들을 구체적으로 대응하고자 과제·과업화해 분야별로 추진 중임을 설명하고, 대드론체계 구축에 있어서 서울시가 우선적으로 대비하되 유사시 ‘위기대응 회복탄력성’ 역량도 강화하는 방안도 검토할 것을 제언했다.

마지막으로, 신희준 교수(경운대학교)는 내륙 최대규모의 산업단지와 국가중요시설이 위치하고 있는 경북 구미지역 민·관·군 통합 대드론체계 구축현황을 소개하며 각 지자체별로 지역 특성을 고려한 민·관·군의 통합된 노력이 중요하다고 제언했다.

이날 포럼을 경청한 오 시장은 “최근 안보・외교 국면에 계속해서 변화하는 상황에서 이번 토론은 미래를 준비하는 데 상당히 유용한 시간이 될거 같다”며, “천만 서울시민이 안심할 수 있도록 계속해서 민관군이 함께 이 호흡을 맞춰가며 내실 있게 (효율적인 대비태세를)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앞으로도 서울시는 긴장의 끈을 놓지 않고 이런 (안보 포럼) 자리를 계속 마련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Seoul Held 3rd Security Forum to Examine Cooperation System Among Civil, Government, and Military in Response to Drone Threats by North Korea

- On June 24, the Mayor of Seoul, the Commanding General of Capital Defense Command, and experts will gather at Seoul City Hall to discuss “the establishment of a megacity anti-drone system.”
- In two separate sessions, 1) the latest trends in drone technology and 2) a comprehensive anti-drone system involving the private, and public sectors and military for a megacity was discussed.
- Panel discussions will be held on various topics including examples of anti-drone system establishment and suggestions, and directions of drone and AI technologies in line with military innovation.

On June 24,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SMG) held the third iteration of Seoul City Security Forum with the theme of “Civil, Government and Military Cooperation Plan for Establishing a Mega-city Anti-drone System” at Seoul City Hall at 2 p.m. Previously, the SMG had held two security forums last year to examine the capital city’s defense responses, which made Seoul the first local government to do so in the nation.

- The city government had discussed countermeasures to (EMP threats and North Korea’s nuclear and missile capabilities in the two previous forums last year.

This year’s forum was attended by Mayor Oh Se-hoon, Chair of the Seoul Metropolitan Council Kim Hyun-ki, Commanding General of Capital Defense Command Lee Jin-woo, Seoul United Defense Council members, members of the Advisory Panel of Security Policy, and anti-drone experts, totaling around 200 participants.

In his opening remarks, Mayor Oh stated, “Drone threats posed by North Korea are formidable. Seoul, only a few dozen kilometers away from the Military Demarcation Line, must be fully prepared.” He added, “Recently, the balloons carrying garbage sent from North Korea were swiftly responded to by the civil, government, and military organizations. As it is shown in this instance, having an effective countermeasure system in place and maintaining readiness at any time as to drone threats will be crucial to minimize damage and prepare counterattacks, which gives more meaning to host this year’s forum.”

During the forum, Professor Kim Seong-woo from Army University, Professor Kim Ki-won from Daekyeung University and Military Robots Society, and Brigadier General Lee Man-hee of Capital Defense Command delivered presentations. They touched upon the drone and anti-drone systems in light of recent wars, ideas to establish the anti-drone system for a mega-city, and plans for establishing a comprehensive anti-drone system involving the civil, government sectors, and military.

Following these presentations, a panel discussion on development directions for establishing an anti-drone system was held chaired by Professor Cho Sang-guen from KAIST. Panels included Director General for Emergency Planning and Safety Kim Gwang-seok of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Colonel Kang Kyung-il of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and Professor Shin Hee-jun from Kyungwoon University.

- Professor Kim Seong-woo from Army University said that unmanned aerial systems and counter-drone systems are a game changer for future wars. He continued that it is possible that a multitude of objects can be carried together with drones and other unmanned aerial vehicles, as it is seen by the recent balloon incident, thus it is crucial to establish a comprehensive anti-drone system in cooperation with the civil sector, the government, and military.

- Professor Kim Ki-won from Daekyeung University, a member of the Military Robots Society, explained the characteristics of recent drone threats and anti-drone systems and suggested plans for establishing anti-drone “zones” and operation methods for intelligent and efficient anti-drone systems utilizing AI.

- Brigadier General Lee Man-hee from Capital Defense Command emphasized the efforts to establish multi-layered defense systems through the cooperation of the military, civil sector, and the government, as there are limitations in relying solely on the military forces to protect all critical national facilities.

- Director General for Emergency Planning and Safety Kim Gwang-seok of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as a designated discussant, introduced the achievements in government-level anti-drone system operations, shared information as to establishing and operating anti-drone systems at local government levels and control methods, and emphasized the need to carry out demonstration projects in this regard.

- Next, Colonel Kang Kyung-il of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recommended that the SMG consider measures to increase “resilience of crisis response” while Seoul takes the lead in drone-related emergency situations.

- Lastly, Professor Shin Hee-jun from Kyungwon University introduced the current status of an anti-drone system involving the government, civil sector, and military established in Gumi, North Gyeongsang Province, which is home to the largest industrial complex in the nation and critical national facilities. He stressed that it is important to consider regional characteristics when it comes to establishing anti-drone systems.

Mayor Oh paid close attention to each presenter and discussion and stated that “today’s discussions will be quite useful to prepare future, particularly in the face of ever-changing security and diplomatic landscapes.” “To assure ten million Seoul citizens, we will work for an effective defense system and readiness in close cooperation with the government, the civil society, and the military. Seoul will remain vigilant and keep organizing such forums in the future,” he emphasized.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2,802 / 140 Page
RSS
로저스 아레나 주변에서 홈 게임과 원정 게임 시 식당 지출 급증
등록자 KREW
등록일 05.11

일반뉴스 로저스 아레나 주변에서 홈 게임과 원정 게임 시 식당 지출 급증 밴쿠버 캐넉스 팬들이 스탠리컵 플레이오프 동안 그들의 열정을 활기찬 응원과 지출로 증명하고 있다. 결제 처리 회사인…

“한강에서 수영하고, 자전거 타고 달린다”… 이틀간 쉬엄 쉬엄 한강 즐겨요
등록자 KREW
등록일 05.12

한국 - 6.1.~2. 서울 대표 여름축제 ‘제1회 쉬엄쉬엄 한강 3종 축제’ 뚝섬한강공원 일대서 개최 - (쉬엄쉬엄한강3종경기) 1만명이나만의속도와방식으로이틀간수영-자전거-달리기완주 …

밴쿠버, 화창한 날씨로 전환 예고
등록자 KREW
등록일 04.12

일반뉴스 금요일부터 화창한 일주일 시작, 벚꽃 구경하기 좋은 기회 최근 몇 일간 지속된 밴쿠버의 흐리고 비 오는 날씨가 마침내 개이면서, 이번 주 금요일부터 도시에 큰 기상 변화가 찾아옵니…

서울시, 전국 최초 '자녀 출산 무주택가구'에 주거비 지원
등록자 KREW
등록일 05.01

한국 - 출생아 1명당 월 30만 원(서울-수도권월주거비차액)씩 2년간 총 720만 원 - 지난해 서울→경기‧인천 전출인구 61%인 20만 명 ‘가족’과 ‘주택’ 때문에 이주 - 사회보…

3D 프린트 주택 가능? 트뤼도 총리, 주택 건설 혁신을 위한 6억 달러 투자 발표
등록자 KREW
등록일 04.08

부동산 주택 건설 비용 절감과 시간 단축을 위한 혁신적 기술에 초점 맞춘 대규모 투자 발표 주택 건설 비용을 낮추고 건설 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목표로, 저스틴 트뤼도 총리가 연이어 세 번…

월드코인 재단, 오픈소스 ‘완벽 암호’ SMPC 시스템 출시로 생체 데이터 보안 보호 강화 지원
등록자 KREW
등록일 05.16

비즈니스 월드코인 재단은 다자간 보안 컴퓨팅을 통해 데이터 보안을 강화하고 오래된 홍채 코드를 삭제함 월드코인 재단(Worldcoin Foundation)이 오늘 새로운 다자간 보안 컴퓨팅…

BC주 부동산 시장 여름 앞두고 ‘균형’
등록자 NEWS
등록일 06.16

부동산 거래량은 감소했지만 매물량 늘어 BC주 부동산협회(BCREA)는 13일 발간한 보고서를 통해 5월 BC주의 부동산 시장이 균형을 기록했다고 평가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5월 BC주의…

메트로 밴쿠버 평균 객실요금 317달러… 전년비 40% 올랐다
등록자 NEWS
등록일 06.24

부동산 5월 캐나다 도시 가운데 점유율 최고 메트로 밴쿠버 호텔 업계가 특수를 누리고 있다. 통상 호텔업계가 하반기 더 좋은 성적을 거두는 경향이 있지만, 조금 이른 시점부터 훈풍이 불고…

캐나다 인구 4100만 명, 역대 최고
등록자 NEWS
등록일 06.20

부동산 주요 원인은 이민… 1분기 12만1758명 캐나다의 인구 증가세가 매섭다. 19일 캐나다 통계청이 발표한 인구 통계에 따르면 캐나다 1분기 인구가 0.6% 증가, 4,100만 명을…

캐나다 개정된 자본소득세 25일 발효
등록자 NEWS
등록일 06.27

부동산 “성공에 대한 처벌”이라며 비난 여론 여전 특정 자본을 처분할 때 발생하는 양도 소득에 부과되던 ‘자본소득세(Capital Gains Tax)’가 올랐다. 여기서 말하는 특정 자본…

첫 주택 구매 시 가족으로 받는 지원 평균 10만 달러
등록자 NEWS
등록일 06.28

부동산 BC주는 평균 20만 달러 돌파 캐나다에서 생애 첫 주택 구매자가 다운페이먼트를 위해 가족으로부터 지원 받는 금액이 평균 10만 달러를 넘어섰다. 캐나다 임페리얼 상업은행(CIBC…

주택 거래량 감소 불구 신규 주택 건설은 증가
등록자 NEWS
등록일 06.22

부동산 “금리 인하로 거래량은 반등 가능성” 5월 신규 주택 건설이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17일 캐나다 모기지 주택공사(CHMC)가 발표한 월례보고서에 따르면 5월 신규 주택 건설이 …

BC주, 캐나다인이 가장 선호하는 이주 지역
등록자 NEWS
등록일 06.26

캐나다 BC주민 선호 이주 지역은 ‘앨버타주' 높은 주거 비용에도 불구하고 캐나다인이 가장 선호하는 이주 지역은 BC주인 것으로 조사됐다. 여론조사 기관 Research Co가 19일 발…

BC주 임차인 4명 중 1명은 소득 절반 이상 임대료로 지출
등록자 NEWS
등록일 06.21

부동산 임차인 26%는 다음 계약 이내 주택 구매 고려 BC주 임차인 4명 중 1명은 소득의 절반 이상을 임대료로 지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부동산 업체 로열 르페이지가 임차…

'내 집 마련' 부모님 도움 없이는 '불가능'
등록자 NEWS
등록일 06.23

부동산 부모 부동산 소유 여부가 자녀 주택 소유 가능성에 크게 영향 높은 주택 가격으로 부모 도움 없이 돈을 모아 주택을 사기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고 캐나다 공영방송 CBC가 16일 보…

빠르게 성장하는 써리, 비즈니스 문제 직면
등록자 KREW
등록일 06.25

커뮤니티 BC주의 두 번째로 큰 도시인 써리, 인구 증가와 높은 재산세로 인한 문제 해결에 직면 인구 증가와 높은 재산세가 BC주 두 번째로 큰 도시인 써리에 고통을 주고 있다. 써리 경찰…

캐나다 데이 행사로 메트로 밴쿠버 전역 교통 혼잡 예상
등록자 KREW
등록일 06.26

일반뉴스 7월 1일 퍼레이드, 콘서트, 불꽃놀이로 인한 도로 폐쇄 및 교통 통제 안내 캐나다 데이 행사로 인해 이번 주말 메트로 밴쿠버 전역의 교통에 영향을 미칠 예정입니다. 7월 1일 메…

캐나다 5월 소비자 물가 2.9% 상승
등록자 NEWS
등록일 06.25

경제 관광, 여행 등 포함 서비스 비용 상승이 주도 5월 캐나다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2.9%를 기록했다. 전달 2.7%와 비교해 0.2% 포인트 상승했다. 캐나다 통계청은 25일 발표…

北드론 위협 대응 민·관·군 협력체계 점검…서울시 '3차 안보포럼' 개최
등록자 KREW
등록일 06.26

한국 - 24일 시청서 서울시장, 수방사령관, 전문가 등 200여 명 참석… ‘메가시티 대드론체계 구축’ 주제 - 2개 세션서 ▴드론 기술 동향 ▴대도시형, 민・관・군 통합 대드론체계 …

트랜스링크, 저소득층 할인 요금으로 연간 7천만 달러 비용 예상
등록자 KREW
등록일 06.26

일반뉴스 저소득층 대중교통 할인 요금 프로그램, 메트로 밴쿠버에서 시행되나? 트랜스링크는 저소득층을 위한 대중교통 할인 요금 프로그램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를 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