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News
분류 경제

중앙은행 기준 금리 인하, 소비자에 영향은?

작성자 정보

  • 작성자 NEWS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시중은행 우대금리 즉각 인하… 대출 상환비용 차는 적어



캐나다 중앙은행이 지난 5일 기준금리를 기존 5%에서 4.75%로 0.25%포인트 인하했다. 4년 만에 첫 인하인 만큼 경기가 개선될 것이라는 기대가 나오고 있다. 이번 금리 인하가 소비자들에게는 어떤 영향을 줄까.

◇소비자와 우대금리에 어떤 의미일까.
기준 금리는 은행의 차입 비용에 영향을 미치며, 이는 시중은행이 대출 금리를 낮출 수는 있지만 강제로 낮출 수는 없음을 의미한다.

시중은행들은 일반적으로 중앙은행의 인상에 맞춰 우대금리를 매우 빠르게 대응한다. 이날 RBC는 우대 금리를 7.2%에서 6.95%로 즉각 인하했다. TD, BMO 등도 이날 0.25bp 인하를 발표했다.

1990년대 중반부터 2008년까지 기준금리와 우대금리의 차는 평균 약 1.5%였다 그러나 2015년 1.75%까지 올랐고, 이후 금리를 가산하면 약 2%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내 모기지에는 어떤 의미가 있나
시중은행이 우대금리를 인하하면 변동금리 모기지 대출을 받은 대출자들이 금리 인상의 직격탄을 받았던 것처럼 즉각적인 영향을 받는다.

고정 금리는 시장에서 이미 금리 인하 상당 부분을 반영했기 때문에 추가로 이율이 내려가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중앙은행의 기준 금리도 고정 금리에 영향을 미치지만, 전반적으로 채권 시장 상황에 따라 결정된다.

◇모기지 상환 비용 절감 효과는
0.25 퍼센트 포인트 인하는 월별 모기지 상환에 큰 변화를 가져오지 않는다. 60만 달러 모기지 대출, 25년 상환, 6% 이자율을 가졌다고 가정했을 때, 이율이 5.75%라면 한 달에 약 88달러를 절약할 수 있다.

◇신용한도와 신용카드에 미치는 영향은
신용 한도는 일반적으로 은행 우대 금리에 묶여 있으므로 은행이 우대 금리를 낮추면 차용인은 약간의 비용 절감 효과를 볼 수 있다.

신용 카드 이율은 고정된 측면이 많기 때문에 소비자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없다고 봐야 한다.

◇저축예금 이율과 투자 보장 증서에 미치는 영향은
저축 계좌와 GIC는 금리가 상승함에 따라 더 높은 수익률을 보이며, 금리가 하락하면 그 반대가 될 수 된다.

GIC 금리는 금리 인하를 예상하여 이미 하향 추세를 보이기 시작했으며, 소규모 금융 기관은 고객을 유치하기 위해 더 높은 금리를 유지하고 있기도 하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목록
Total 166 / 9 Page
RSS
BC주 최저임금, 주말부터 17.4달러
등록자 NEWS
등록일 05.30

경제 물가 상승률 반영… “매년 인상 기대” BC주의 최저임금이 이번 주말 오른다. 1일부터 BC주내 최저임금이 시간당 16달러75센트에서 17달러40달러로 3.9% 인상된다. BC주정…

중앙은행, 기준금리 4년 만에 첫 인하
등록자 NEWS
등록일 06.05

경제 5%에서 4.75%로 0.25%P 인하… “인플레이션 완하에 추가 인하전망” 캐나다 중앙은행이 4년 만에 처음 금리 인하를 단행했다. 현 인플레이션 수준이 지속한다면 추가 금리 인…

비자, 100억 번째 토큰 발행하며 전 세계 전자상거래 400억달러 증가 창출
등록자 KREW
등록일 06.06

경제 토큰화 결제는 작년 6억5000만달러의 사기 피해를 방지함 최근 공개된 비자 데이터 토큰은 소비자의 데이터 제어력을 늘려주고 원활한 AI 기반 쇼핑 경험을 제공함 비자(Visa)는…

중앙은행 기준 금리 인하, 소비자에 영향은?
등록자 NEWS
등록일 06.07

경제 시중은행 우대금리 즉각 인하… 대출 상환비용 차는 적어 캐나다 중앙은행이 지난 5일 기준금리를 기존 5%에서 4.75%로 0.25%포인트 인하했다. 4년 만에 첫 인하인 만큼 경기…

캐나다 5월 실업률 6.2%로 올랐다
등록자 NEWS
등록일 06.13

경제 내달 추가 금리 인하 가능성 여전 캐나다의 일자리가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인구 증가로 인해 실업률이 되레 올랐다. 7일 캐나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캐나다의 일자리는 2만700…

캐나다 5월 소비자 물가 2.9% 상승
등록자 NEWS
등록일 06.25

경제 관광, 여행 등 포함 서비스 비용 상승이 주도 5월 캐나다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2.9%를 기록했다. 전달 2.7%와 비교해 0.2% 포인트 상승했다. 캐나다 통계청은 25일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