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News
분류 한국

‘어르신 돌봄도 스마트하게’… 서울시, 로봇‧AI로 어르신 건강‧안전지킨다

작성자 정보

  • 작성자 KREW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 초고령화 시대, 돌봄수요 증가 대응 위해 첨단기술 접목한 스마트돌봄 본격 추진
- 홀몸노인 말벗‧긴급구조 ‘반려로봇’, 요양시설 ‘재활로봇’ 등 AI기반 돌봄로봇 확대
- 풍성한 노후생활 돕는 ‘스마트복지관’‧‘스마트경로당’ 연내 조성, 일상 안전 확보
- 하반기 ‘찾아가는 디지털 체험버스’ 시범운영, 어르신 디지털 역량 향상 지원



반려로봇이 홀로 지내는 어르신의 말벗이 되어주고, 쓰러짐 등 긴급상황이 발생하면 119로 자동 연락해준다. 움직이기 힘든 요양원 어르신 배변처리는 물론 세정까지 자동으로 도와주는 로봇도 있다. 늘 적적했던 어르신에겐 AI로봇이 바둑상대가 되어주고, 대국이 끝나면 바둑알도 싹 정리해준다. 머나먼 미래 이야기가 아니다. 바로 서울시 어르신 스마트 돌봄서비스의 ‘현재’다.



서울시는 초고령 시대를 앞두고 기존 인력 중심 어르신 돌봄서비스를 인공지능(AI)‧로봇‧사물인터넷(IoT) 등 스마트기기로 확대해 돌봄 공백을 메우고 더 꼼꼼하고 폭넓은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라고 6일(수) 밝혔다. 아울러 어르신들의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한 교육과 첨단기술을 활용한 안정적인 여가활동 지원프로그램도 확대운영한다.



□ 홀몸노인 말벗‧긴급구조 ‘반려로봇’, 요양시설 ‘재활로봇’ 등 AI기반 돌봄로봇 보급

# 홀로 사는 김ㅇㅇ할머니(72세)는 요즘 ‘반려로봇’과 대화하는 재미에 푹 빠졌다. 아침에 일어나면 인사하며 날씨를 알려주고, 쓰다듬으면 반응해주는 로봇 덕분이 마음의 위안을 얻고 있다.

우선 돌봄이 절실한 홀로사는 어르신들의 건강과 안전을 지켜주는 ‘반려로봇’과 ‘안전관리기기’를 안정적으로 보급해 몸과 마음이 건강한 노후생활을 보장한다. 지난해 430대 보급에 이어 올해도 거동이 불편하거나 외부 활동을 꺼리는 어르신에 반려로봇 50대를 추가로 지원하고 안전관리기기를 통한 모니터링도 지속한다.

‘반려로봇’은 안부확인, 투약안내 등 양방향 소통이 가능해 정서적 돌봄이 필요한 어르신들의 우울감을 줄이고 사회와 연결하는 통로가 되고 있다.

‘안전관리기기’는 움직임, 온도, 습도 등 6개 정보를 실시간 모니터링해 12시간 이상 움직임이 없는 등 이상신호감지시 생활지원사에게 자동으로 알림이 발송되는 방식이다. 생활지원사가 전화 확인 후 필요시 119 연계 등 긴급 조치한다. 현재 1만3,070가구에 서비스를 제공 중이며 올해도 지속 계획이다.
※ 수집정보 6종 : 움직임, 온도, 습도, 조도, CO₂, tVoC(총휘발성유기화합물)

# 시립 요양원에 근무하는 요양보호사 최ㅇㅇ(54세) 씨는 최근 도입된 ‘배설케어로봇’ 덕분에 업무가 수월해졌다. 자동으로 환자 배변 처리는 물론 세정까지 해주니 냄새 문제도 해결되고, 어르신들도 장시간 기저귀 착용 불편에서 벗어났으며 욕창 걱정도 덜게 됐다.

움직임이 어려운 와상환자의 배변과 세정을 자동으로 처리하는 배설케어 로봇 2대도 서울 시립요양원에서 시범 운영 중이며 안전성과 효과성 검증 후 하반기에 11개 요양원으로 확대한다. 인지·상지 재활을 돕는 로봇은 4개 요양원에서 시범 운영될 예정이며 하반기에 5곳으로 늘릴 계획이다. 이와 함께 착용시 최대 15kg의 근력을 보조해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하는 ‘웨어러블로봇’도 10대가 공급돼 시범 운영에 들어갈 예정이다.

이번에 공급되는 로봇들은 요양서비스 품질은 물론 목욕·체위변경·배설케어 등 강도 높은 요양시설 종사자의 업무환경 개선에도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풍성한 노후생활 돕는 ‘스마트복지관’‧‘스마트경로당’ 연내 조성, 일상 안전 확보

디지털 기술 활용해 어르신들의 풍성한 여가활동을 돕는 ‘스마트복지관’도 개관한다. 시는 노원‧도봉구에 있는 노인복지관 2곳을 5월, 7월에 각각 ‘뉴 스마트 시니어 플레이스(New Smart Senior Place)’, ‘스마트 헬시 라운지(Smart Healthy Lounge)’로 재단장한다.

이외에도 시내 노인복지관에 AI기반 스마트팜과 터치스크린으로 날씨, 유의 사항 등을 알려주는 스마트미러 등을 설치해 일상을 지원할 예정이다.

‘스마트복지관’은 어르신들이 디지털 기기를 활용해 다양한 학습이 가능한 ▴스마트배움터 ▴스마트놀이터 ▴스마트건강터 등으로 구성된다. 각 공간에는 두뇌향상 콘텐츠를 탑재한 돌봄로봇, 전자칠판과 태블릿 PC를 이용한 디지털드로잉(그림그리기), 다양한 인지능력 향상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스마트테이블 등이 설치된다.

경로당도 스마트해진다. 시는 올해 11개 자치구 105개 경로당을 ‘스마트 경로당’으로 바꿀 계획이다. 관리인이 없는 경로당 특성을 안전에 취약할 수 있으므로 센서를 활용한 전기‧가스‧수도 사용 제어, 화재나 누전 경보기 작동, 출입 감지 등의 기능을 탑재한 ‘스마트홈 시스템’을 보급한다. 어르신 대상 디지털 교육, 화상플랫폼 연결 등을 지원하는 인력인 ‘스마트 동행단’도 확대 운영한다.

□ 하반기 찾아가는 디지털 체험버스 시범운영, 어르신 디지털 역량 향상 지원

이외에도 세대 간 디지털 격차가 사회문제로 대두됨에 따라, 시는 서울디지털재단과 함께 ‘찾아가는 디지털 체험버스’ 운영도 준비 중이다. 올 하반기 어르신들이 자주 방문하는 시설 등 주요 밀집지역 50곳을 순회할 계획.

‘디지털 체험버스’는 돌봄 로봇, 웨어러블 기기, AI 움직임 분석기 등 어르신 생활에 접목 가능한 다양한 기기를 탑재한 이동형 체험장으로, 기기 체험은 물론 인터넷뱅킹, 길찾기 등 스마트폰 기초 교육도 함께 진행된다.

정상훈 서울시 복지정책실장은 “초고령 시대, 돌봄 영역의 스마트 기술 도입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라며 “어르신들의 안전과 건강유지는 물론 풍요로운 여가생활을 지원해 건강한 노후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다양한 스마트기기를 접목한 지원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Elderly Care Becomes Smart in Seoul by Using Robots and AI Technology to Keep Seniors Healthy and Safe

- Seoul is going all out to transition to smart care, utilizing cutting-edge technology to meet the high and diverse demands of care service in the super-aged society.
- AI-based care robots will be used such as companion robot dogs and rehabilitation robots.
- Smart welfare centers and smart senior centers are underway to improve the well-being of senior citizens.
- In the latter half of this year, a “digital experience bus”, designed to help the elderly with their digital needs, will operate.

A robot dog keeps company with an elderly person who lives alone and calls 911 if an emergency occurs. A robot takes care of elderly patients in the nursing home, assisting with their defecation and cleaning. An AI robot plays Go with bored elderly patients. This is not a story from the far distant future. It is present in the smart care services of Seoul.

On March 6,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nnounced plans for elderly care services. In response to the super-aged society era,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SMG) will incorporate cutting-edge technology such as AI, robots, and IoT devices into its elderly care services, which are mainly dependent on manual labor. Not only that, the SMG will provide education programs for elderly people to bridge the digital gap and offer leisure activity programs utilizing the latest technology.

<Companion Robots Catered to Living-Alone Elderly People, And Ai-Based Care and Rehabilitation Robots In Nursing Homes>

First of all, the SMG will distribute “companion robot dogs” and “safety management devices” to elderly citizens living alone to ensure their mental and physical health. Last year, the city government provided 430 robot dogs. It will distribute an additional 50 robot dogs this year for those who have mobility problems or are reluctant to move outdoors. Safety management devices will also be distributed to monitor the elderly’s health issues.

Especially for elderly, bedridden patients, two robots that handle defecation and cleaning are currently being piloted at city-run nursing homes. After evaluating the robots’ effectiveness and safety during the test period, the defecation care robots will be expanded to 11 city-run nursing homes in the latter half of this year. In addition, robots to facilitate cognitive rehabilitation and motor rehabilitation will be tested in four nursing homes, with plans to expand to five nursing homes in the latter half of this year.

<Smart Welfare Centers and Smart Senior Centers for Enriched Retirement Life>

Two “Smart Welfare Centers” will be opened to support the leisure and cultural life of the elderly by using smart technology. The SMG is going to renovate two existing welfare centers, one in Nowon-gu and the other in Dobong-gu, in May and July, respectively, and reopen them under new names, “New Smart Senior Place” and “Smart Healthy Lounge”.

In these smart welfare centers, there will be care robots offering brain development content, electronic whiteboards (interactive smart boards), tablet PCs for digital drawing activities, and smart tables for cognitive improvement programs.

Senior centers will also become smart. The SMG plans to renovate the existing 105 senior centers in 11 districts (gu) into “smart senior centers.” Senior centers typically do not have in-house managers or janitorial staff, which could pose a safety risk. Addressing this issue, the new smart senior centers will be equipped with a “smart home system”, which automatically controls electricity, gas, and water, and also monitors entrances.

<A Digital Experience Bus for The Elderly’s Digital Capabilities>

Last but not least, the SMG is planning to operate an “on-demand digital experience bus” in cooperation with the Seoul Digital Foundation to tackle the digital divide among generations that has emerged as a social issue lately. Starting late this year, the bus will visit 50 neighborhoods populated with the elderly to assist them with their digital capabilities.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2,794 / 136 Page
RSS
BC주 최저임금, 주말부터 17.4달러
등록자 NEWS
등록일 05.30

경제 물가 상승률 반영… “매년 인상 기대” BC주의 최저임금이 이번 주말 오른다. 1일부터 BC주내 최저임금이 시간당 16달러75센트에서 17달러40달러로 3.9% 인상된다. BC주정…

캐나다인 절반 가까이 이민자 수 줄여야
등록자 NEWS
등록일 06.14

부동산 응답자 44%, 이민자 캐나다에 ‘부정적’ 영향 이민자 증가에 대한 부정적 여론이 확산되고 있다. 11일 여론조사 기관 Research Co.에 따르면 이민이 캐나다에 미치는 영향…

캐나다 인구 증가율… 66년만에 최고
등록자 NEWS
등록일 03.28

캐나다 1년 전보다 127만명 증가 해외 인구 유입에 힘입어 지난해 캐나다 인구가 66년 만에 최고 증가율을 갱신했다. 27일 캐나다 통계청에 따르면 2023년 캐나다 인구는 총 3.2%…

“캐나다 경기 침체 피해 하반기부터는 성장”
등록자 NEWS
등록일 04.02

경제 경제 회복, 인플레이션과 금리에 달렸다 캐나다가 높은 금리로 인한 지속적인 하향 압력에도 불구하고 경기 침체를 피할 것으로 보인다는 전망이 나왔다. 컨설팅 업체 딜로이트 캐나다(D…

BC주, 메트로 밴쿠버 지역에 저가 임대 주택 추가 건설
등록자 NEWS
등록일 05.25

부동산 지자체·비영리기관 협력해 2000채 지원 BC주정부 제공 BC주정부가 메트로 밴쿠버에 저가 임대 주택이 추가 건설한다. 데이비드 이비 BC주수상은 이날 주정부, 메트로 밴쿠버 지자…

임차인 5명 중 4명 “퇴거 당하면 같은 지역에 머물 곳 없다”
등록자 NEWS
등록일 05.10

부동산 주민 65% 정부의 주택 정책 “효과 미비” BC주 임차인 5명 중 4명은 당장 퇴거를 당하면 같은 지역에 임대를 할 여유가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여론조사 기관 Research …

BC 페리, 여름철 운항 취소 감소 위한 다양한 대책 시행
등록자 KREW
등록일 05.16

캐나다 선박 수리 조기 완료 및 추가 운항으로 서비스 개선 기대 BC 페리는 이번 여름 예상되는 승객 증가에 대비해 37척의 모든 선박이 운항될 수 있도록 다양한 조치를 취하고 있다고 발…

K-복지 표준 제시할 '서울 안심소득' 전국 확대 위한 토대 마련 착수
등록자 KREW
등록일 03.06

한국 - 서울시, 현행 복지제도 재구조화해 ‘복지정책 차세대 표준’ 제시할 개편안 연내 마련 - 1차년도 평가 결과, 높은 탈수급률‧삶의질 개선 확인...기존 제도 넘어설 대안 연구 -…

주택 구매 희망자 72% “금리 인하 기다리고 있다”
등록자 NEWS
등록일 05.01

부동산 내년 혹은 내년 이후로 주택 구매 계획 주택 구매를 희망하는 캐나다인 대다수가 금리 인하를 기다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낮은 대출 금리를 위해서 주택 구매를 내년이나 그 이후로…

유학생 부적합 주택 거주율 증가
등록자 NEWS
등록일 05.27

부동산 거주비용 증가로 침실 공유 등 찾아 거주 비용이 증가하면서 유학생들이 ‘부적합(unsuitable)’한 거주지를 선택하는 경우가 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캐나다 통계청은 지난 …

임차인 절반 인상 “위치보다는 가격”
등록자 NEWS
등록일 03.25

부동산 BC주, 온토라오주서 앨버타주 이주 늘어 BC주 임차인 대다수가 주택 임대에 가장 중요한 요소로 위치보다는 가격을 꼽았다. BC주에서 앨버타주로 이주가 많아진 이유가 여기에 있다는…

“가족의 재정 지원이나 부업 없이는 집 못사”
등록자 NEWS
등록일 04.27

부동산 소득만으로 주택 구매 불가능하다는 인식 확산 ‘내 집 마련’을 준비하고 있는 캐나다인 4명 중 1명은 2년 내 주택을 구매할 계획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다수가 주택 구매를 …

캐나다, 유학생 근로시간 주 24시간으로 제한
등록자 NEWS
등록일 04.30

이민 펜데믹 이후 제한 풀었다가 2년만에 다시 규제 펜데믹으로 잠시 완화됐던 유학생의 근로시간이 다시 제한된다. 캐나다 정부는 오는 9월부터 캐나다 유학생 근로시간을 주 24시간으로 제…

韓 구글과 손잡고 인공지능(AI) 초기‧예비 창업자 6천명 교육…AI 활용력 배운다
등록자 KREW
등록일 03.07

한국 - 시, 인공지능(AI) 분야 차세대 스타트업 리더 육성…6개 세션 모두 1천 명↑신청해 - 3.5(화) 오리엔테이션에 오세훈 시장, 김경훈 구글 코리아 사장 참석…인공지능 미래 …

캐나다, 1월 GDP 0.6% 성장… 경제계 예상 웃돌아
등록자 NEWS
등록일 03.30

부동산 중앙은행 조기 금리 인하 가능성은 낮아져 캐나다의 1월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경제계의 예상을 웃돌았다. 28일 캐나다 통계청에 따르면 1월 캐나다의 실질 국내총생산이 전년보다…

리치몬드에서 열리는 나이트 마켓, 2024 시즌 개막 예정
등록자 KREW
등록일 04.25

정보 이번 주, 리치몬드의 대표적인 행사 중 하나인 리치몬드 나이트 마켓이 2024년 시즌을 맞이하여 개장한다. 북미 최대 규모를 자랑하는 이 나이트 마켓은 4월 26일부터 10월 14…

프레이저 밸리, 매매는 ‘주춤’ 거래는 ‘활발’
등록자 NEWS
등록일 04.09

부동산 “여전히 금리 인하 기다리는 잠재적 구매자 많아” 프레이저 밸리의 매물이 크게 늘면서 3월 중에서는 5년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이에 따라 구매자들의 선택권이 많아졌다. 4일…

캐나다 소비자물가 2.7%... 금리 인하 가능성↑
등록자 NEWS
등록일 05.22

경제 “내달 금리 인하 가능성 절반 이상으로” 캐나다 소비자물가가 다시 완화되면서 6월 금리 인하 가능성이 커졌다. 21일 캐나다 통계청에 따르면 캐나다의 4월 소비자물가는 전년대비 2…

“프레이저 밸리 주택 매물, 5년래 최고치”
등록자 NEWS
등록일 06.09

부동산 주택 매매량 전년보다 소폭 상승, 전달보다는 감소 프레이저 밸리 지역의 주택 매물이 2019년 9월 이후 최고 수준까지 증가했다. 주택 구매자와 판매자에게 보다 균형 잡힌 시장 조…

‘어르신 돌봄도 스마트하게’… 서울시, 로봇‧AI로 어르신 건강‧안전지킨다
등록자 KREW
등록일 03.15

한국 - 초고령화 시대, 돌봄수요 증가 대응 위해 첨단기술 접목한 스마트돌봄 본격 추진 - 홀몸노인 말벗‧긴급구조 ‘반려로봇’, 요양시설 ‘재활로봇’ 등 AI기반 돌봄로봇 확대 - 풍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