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News
분류 한국

서울시, 임신확률 높은 20대 건강한 난자동결 지원 늘린다… 지원대상도 2배 확대

작성자 정보

  • 작성자 KREW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 20~49세 난자동결 시술비 지원 전년 300명에서 650명으로 2배↑, 1인당 최대 200만원
- 30~40대비해 난소 기능수치(AMH) 높아 지원 대상에서 제외되던 20대위해 수치 기준 완화
- 항암 치료자 등 난소 기능 저하 유발질환진단받은 20대는 수치에 상관없이 모두 지원
- ‘서울시몽땅정보만능키’에서 온라인신청, 지난해 9월 이후 시술 20대 소급 지원 가능

#1. 항암치료를 받는 20대 김모씨는 결혼 후 건강한 임신을 위해 난자를 미리 동결해 놓고자 지원을 신청했지만, 난소기능수치(AMH)를 초과해 대상에서 제외됐다. 항암 치료를 받게 되면 난소기능이 저하된다는 걱정이 컸지만, 난자동결 시술비 부담과 항암치료를 더 이상 미루지 못해 결국 난자동결을 포기했다.

#2. 20대 이모씨는 조기폐경의 유전적 질환이 의심되어 AMH를 검사한 결과 2.2ng/mL가 나와 20대 평균 AMH 3.5ng/mL보다 훨씬 낮았으나, 난자동결 시술 지원기준 AMH 1.5ng/mL을 초과해 지원에서 제외됐다. 사회 초년생인 이씨는 시술은 하고 싶으나 시술비 부담이 커 엄두를 못내고 있다.

□ 20~49세 난자동결시술비 지원 전년 300명에서 650명으로 2배 ↑, 1인당 최대 200만원

난소기능수치(AMH)가 30~40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아 난소동결 지원 대상에서 번번이 제외됐던 20대 여성에 대한 수치 기준을 완화하고 암질환 등 ‘난소기능 저하유발 질환’이 있는 20대는 수치와 상관없이 원할 경우 모두 난자동결을 지원한다.

사회 초년생이 대부분인 20대가 지불하기엔 부담스러운 고액의 난자동결 시술 비용을 지원해 임신·출산 의지가 있는 가임력이 높은 20대가 시기를 놓치지 않고 건강한 임신을 준비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초저출생 사회에 해법을 제시한다는 계획이다.

서울시는 20~49세 여성이 난자동결을 희망할 경우 시술비의 50%, 1인당 최대 200만 원을 지원하는 ‘난자동결시술비용 지원사업’을 확대‧강화한다고 밝혔다. 20대 대상 수치 완화 외에도 대상 인원도 지난해 300명에서 올해 650명으로 대폭 확대했다.

‘난자동결 시술’은 건강한 난자를 채취해 초저온 상태에서 보관, 필요할때 해동해 사용하는 방법으로 가임력 보존을 위한 중요한 수단으로 평가받고 있다. 하지만 국민건강보험 급여항목에 해당하지 않아 비용 비싸고 일정 기간 매일 같은 시간 스스로 배에 주사해야 한다.

난자동결 시술비용사업은 20대는 난소기능수치(AMH)가 1.5ng/mL 이하, 30~40대는 수치에 상관없이 비용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지난해 9월부터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20대의 경우 난소기능수치(AMH)가 상대적으로 높아 지난 4개월간 시술비 수혜자 총 219명 중 20대는 18명(8.2%)에 불과했다.

특히 항암치료나 난소기능이 저하될 위험이 있는 질환을 진단받은 경우에도 현재의 수치가 기준보다 높아 지원받지 못하는 사례도 있었다.
※ ‘23.9.1.~12.31. 난자동결 지원 인원 : 총219명(30대 152명 ,40대 49명, 20대 18명)

서울시는 20대 대상으로 ①지원 기준인 난소기능검사(AMH) 기준수치를 1.5ng/mL 이하에서 3.5ng/mL로 완화 ②난소기능 저하 유발질환을 진단받은 사람은 수치와 상관없이 난자동결 지원을 보장하는 것이 변경해 지원 대상을 폭넓게 확대한다는 것이 올해 추진 내용의 핵심이라고 밝혔다.

① 20대 난자동력 지원 난소기능검사(AMH) 수치 상향
    - (기존) 난소기능검사(AMH) 1.5ng/mL 이하 → 3.5ng/mL
② 20내 난소기능 저하 유발 질환 진단자 모두 지원
    - (기존) 난소기능검사(AMH) 1.5ng/mL 이하 → 상관없이 모두 지원
③ 난자동결 시술비 지원 인원 수 확대
    - ‘23년 300명 → ’24년 650명

이 지원사업은 서울시가 ‘손해보험 사회공헌협의회’와 지난해 협약을 체결 후 추진하고 있다. 손해보험협회는 ’23년~’26년까지 총 30억의 난자동결 시술비를 지원할 계획이다.

□ '서울시 몽땅정보만능키’에서 온라인 신청, 지난해 9월이후 시술 20대 소급 지원 가능

난자동결시술비용 지원 대상은 서울에서 6개월 이상 거주(주민등록상)한 20~49세 여성이며 사업시작 시점인 ’23년 9월 1일 이후 시술한 경우도 전문가들의 서류확인 등의 절차를 거친 후 대상으로 인정받으면 완화된 기준으로 소급 지원 받을 수 있다.

지원신청은 서울시 몽땅정보만능키( https://umppa.seoul.go.kr/ )에서 온라인으로 하면 된다. 자세한 내용은 서울여성가족재단(02-3280-2049) 에서 전화 상담 가능하다.

※ 자세한 정보 확인방법
- 몽땅정보만능기(https://umppa.seoul.go.kr/)→ 탄생응원→ 난자동결 시술비용 지원
  (사업내용, 이용대상, 이용방법, 운영시간 등)
- 문의처: 서울여성가족재단 (02-3280-2049), 서울시 스마트건강과(02-2133-7577)

서울시는 난자동결 지원 확대를 통해 건강한 임신과 출산을 위해 난자 동결을 준비하는 시민의 경제적 부담을 줄여 저출생 문제 해결의 키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태희 서울시 시민건강국장은 “심각한 저출산 상황에서 아이를 간절히 바라는 시민에 대해서는 서울시가 동행하며 전폭 지원하겠다.”며 “난자동결 지원은 건강한 난자동결로 임신 성공률을 높이고 건강한 출산으로 이어져 산모의 건강권 보장에도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 난자동결 시술이란?
ㅇ 여성의 건강한 난자를 채취하여 초저온 상태에서 보관하여 생명 활동을 일시적으로 중단시킨 후 필요할 때 해동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 난자동결 시술이 필요한 대상
Ÿ 임신·출산이 늦어질 것으로 예상되어 현재 가임력을 보존하고 싶은 여성
Ÿ 난소기능 저하로 인한 수술 및 약물치료가 예상되는 여성
Ÿ 자궁내막증을 앓고 있는 여성
Ÿ 결혼은 했으나, 임신·출산 계획이 아직 없는 기혼 여성

□ 난자동결 시술 과정
난자동결 시술은 국민건강보험 급여항목에 해당하지 않아 높은 비용이 소요되며, 일정기간 매일 같은 시간 스스로 배에 주사를 놓아야 하고 부작용까지 있는 등 시간, 비용, 부작용 면에서 본인의 확고한 의지 및 노력 필요


❶ 사전검사(혈액 검사*, 초음파 검사) : 부인과 질환 및 난자 채취 가능 여부 확인
※ 혈액검사: AMH 수치, 배란확인, 혈액형검사, 백혈구수, 적혈구수 등 동결 전
❷ 과배란유도 : 생리 시작 2~3일부터 과배란 주사를 1~2주간 매일 투여
❸ 난자 채취 : 난자가 성숙되면, 여러 개의 난자를 채취, 부족시 2차·3차 진행
- (34세미만) 13개, (35~37세) 19개, (38세이상) 22개 이상
※ 한 명의 아이당 권장되는 수 이며, 사람마다 상이 함
❹, ❺ 난자 냉동 및 보관 : 냉동 보존제를 활용한 신속한 냉동, 액체 질소에 저장



도곡함춘산부인과의원 : 강남구 논현로 142 동현빌딩 2~6층
차의과학대학교 강남차병원 : 강남구 논현로 566 강남차병원
청담마리산부인과의원 : 강남구 삼성로 712
윤호병원 : 강남구 압구정로 304 윤호병원
연세대학교의과대학 강남세브란스병원 : 강남구 언주로 211 강남세브란스병원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2,786 / 7 Page
RSS
BC주, 세입자 보호 강화한다
등록자 NEWS
등록일 04.03

부동산 불공정 거래 임대인 처벌 강화키로 BC주정부가 세입자 보호를 강화한다. 데이비드 이비 BC주수상은 주거용 임대차법(Residential Tenancy Act)을 개정해 세입자 보호…

“캐나다 경기 침체 피해 하반기부터는 성장”
등록자 NEWS
등록일 04.02

경제 경제 회복, 인플레이션과 금리에 달렸다 캐나다가 높은 금리로 인한 지속적인 하향 압력에도 불구하고 경기 침체를 피할 것으로 보인다는 전망이 나왔다. 컨설팅 업체 딜로이트 캐나다(D…

Seoul Outdoor Library to Come Back This Year, the Best City …
등록자 KREW
등록일 04.01

한국 - The Seoul Outdoor Library was visited by 1.7 million people, serving as the best attraction spot i…

부동산 시장, 급격한 성장보다는 점진적 회복
등록자 NEWS
등록일 04.01

부동산 눈에 띄는 금리 인하까지 급격한 매매 상승에 부정적 캐나다 부동산 시장의 활동이 증가하고 있는 조짐을 보이고 있지만, 금리가 확고히 하락할 때까지 회복은 점진적일 것이라는 전망이 …

젊은 캐나다인, 계획보다 첫 주택 앞당겨 구매
등록자 NEWS
등록일 03.31

부동산 급등하는 집값에 미리 구매 성향 젊은 캐나다인을 중심으로 생애 첫 주택을 계획보다 앞당겨 구매하는 성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파르게 오르는 집 값에 구매를 서두르는 것이 이득…

캐나다, 1월 GDP 0.6% 성장… 경제계 예상 웃돌아
등록자 NEWS
등록일 03.30

부동산 중앙은행 조기 금리 인하 가능성은 낮아져 캐나다의 1월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경제계의 예상을 웃돌았다. 28일 캐나다 통계청에 따르면 1월 캐나다의 실질 국내총생산이 전년보다…

“임대인, 임차인에 최근 임대료 정보 공개하라”
등록자 NEWS
등록일 03.29

부동산 캐나다 정부, 임차인 권리장전 4월 발표 캐나다 정부가 임차인 권리 보호에 나선다. 저스틴 트뤼도 캐나다 연방 총리는 세입자 권리 강화를 위한 ‘캐나다 임차인 권리장전(Canadi…

캐나다 인구 증가율… 66년만에 최고
등록자 NEWS
등록일 03.28

캐나다 1년 전보다 127만명 증가 해외 인구 유입에 힘입어 지난해 캐나다 인구가 66년 만에 최고 증가율을 갱신했다. 27일 캐나다 통계청에 따르면 2023년 캐나다 인구는 총 3.2%…

심리상담도 AI시대… 정신건강 키오스크 ‘위로미 V2’ 서비스 확장
등록자 KREW
등록일 03.27

정보 AI 정신건강 솔루션 전문기업 닥터송이 정신건강 키오스크 ‘위로미 V2’를 선보이며 서비스를 확장한다. 세계적으로 불고 있는 AI 열풍과 함께 정신건강 AI 키오스크가 주목받고 있…

‘아시아 50 베스트 레스토랑’ 시상식 및 부대행사 성료… 국제무대서 한식의 가치 알려
등록자 KREW
등록일 03.27

한국 행사장 내 한식 홍보부스 운영으로 참석자 대상 한식 인지도·호감도 높여 세 차례의 한식 워크숍 통해 한식의 우수성 및 가치 성공적으로 소개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 이하 농식품…

현대자동차그룹, 3년 연속 세계 올해의 자동차 석권
등록자 KREW
등록일 03.27

한국 기아 EV9이 세계 최고 권위의 자동차 상인 ‘세계 올해의 자동차(World Car of the Year, WCOTY)’에 선정되는 영예를 안았다. 현대차그룹은 27일(현지 시각)…

"저출생 해결의 열쇠는 기업" 서울시, '아이 키우기 좋은 기업' 확산 나선다
등록자 KREW
등록일 03.27

한국 - '26년 국내기업 ESG 정보공시 의무화 맞춰 ESG 경영에 ‘저출생 극복 노력’ 포함 추진 - 과학적‧객관적 평가 툴 ‘인구대응 K-ESG 지표’ 활용해 양육친화 우수기업 발…

연방 정부, 임차인 신용 점수 개선 및 보호 조치 발표
등록자 KREW
등록일 03.27

부동산 임대 기록 활용으로 임차인의 주택 구입 기회 확대 및 임차인 보호 기금과 권리장전 도입 연방 정부가 임대 기록을 신용 점수에 반영할 수 있는 새로운 계획을 발표하면서, 임대료를 성…

에어비앤비 “단기 임대는 정부 입장에서 주요한 세수원”
등록자 NEWS
등록일 03.27

부동산 "BC주서만 발생한 세금 9300만달러" 주장 숙박공유업체 에어비앤비가 지난해 BC주에서 발생한 세금 규모를 공개했다. 26일 에어비앤비는 블로그를 통해 2023년 BC주에서는 지…

금리 인하 가능성 ‘압도적’… 자금 대이동 초읽기
등록자 NEWS
등록일 03.26

부동산 ‘솔솔’ 부는 부동산 시장 반등설 금리 인하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자금 이동의 새로운 '트리거'가 될 전망이다. BC주부동산협회(BCREA)는 모기지 대출을 통해 주택을 이미 구매했…

임차인 절반 인상 “위치보다는 가격”
등록자 NEWS
등록일 03.25

부동산 BC주, 온토라오주서 앨버타주 이주 늘어 BC주 임차인 대다수가 주택 임대에 가장 중요한 요소로 위치보다는 가격을 꼽았다. BC주에서 앨버타주로 이주가 많아진 이유가 여기에 있다는…

2월 밴쿠버 호텔 객실료 가장 비싸고 가장 붐볐다
등록자 NEWS
등록일 03.24

부동산 메트로 밴쿠버 1년 새 호텔 객실료 6% 상승 호텔 객실료가 1년 새 크게 올랐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21일 부동산 전문 분석기관인 코스타(CoStar)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밴쿠버, 상업용 부동산 투자처 선호도 1위
등록자 NEWS
등록일 03.23

부동산 거래량 감소에도 여전히 인기 밴쿠버 상업용 부동산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이 여전히 뜨거운 것으로 나타났다. 리서치 회사인 알털스 그룹의 21일 보고서에 따르면 밴쿠버는 캐나다에서 …

외국인 근로자·유학생 등 일시체류자 유입 억제
등록자 NEWS
등록일 03.22

이민 정부, 인구 5%로 제한 방침 캐나다 정부가 외국인 일시 체류자 수를 제한할 방침이다. 마크 밀러 이민부 장관은 21일 외국인 일시 체류자의 규모를 앞으로 3년 동안 인구의 5%로…

아마존 OTT 기대작 서울에서 찍는다…주연배우・제작자 '다니엘 대 킴' 서울 명예시민 위촉
등록자 KREW
등록일 03.21

한국 -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 작품 서울 유치…한강,여의도,동대문 등에서 촬영 - ’07년 시작한 ‘서울로케이션 지원’ 중 최대 규모 시리즈물, 전 세계에 서울매력 확산 - 역대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