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News
분류 한국

'서울윈터페스타 2023' 서울, 뉴욕‧시드니 잇는 카운트다운 명소로

작성자 정보

  • 작성자 KREW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 서울시, ’23.12.15.~’24.1.21. ‘빛’ 모티브 <서울윈타 2023>, 도심 7곳 동시 진행
- 광화문‧청계천‧송현광장 미디어파사드, 빛 조형물 일제 점등으로 15일(금) 막 올려
- 31일(일) 보신각~세종대로 카운트다운‧제야의종 타종… DDP‧광화문 삼원 생중계
- 대규모 인플루언서 행사 ‘서울콘’ 연계, 30억 구독자와 카운트다운‧축제 함께 즐겨
- 시 “서울 매력 끌어올리는 최고 이벤트, 겨울축제 즐기러 세계인이 찾는 서울 될 것”

Seoul Light Gwanghwa
<사진 : 서울라이트 광화문>

올겨울 서울 도심이 뉴욕 타임스퀘어, 시드니 오페라하우스와 어깨를 나란히 하는 연말 카운트다운 명소이자 빛 축제 관광지로 거듭난다. 서울시가 겨울철 도심 곳곳에서 열리던 연말연시 행사를 한데 모아 ‘초대형 도심 겨울축제’를 진행하기로 한 것이다.

서울시는 12월 15일(금)~'24년 1월 21일(일) 38일간 서울 대표 매력 포인트 7곳을 잇는 <서울윈타(서울윈터페스타) 2023>를 개최 한다고 밝혔다. 이번 축제의 모티브는 ‘빛’으로 DDP~보신각~세종대로~광화문광장~열린송현녹지광장~청계천~서울광장에서 미디어 파사드․프로젝션 맵핑 등 화려한 빛의 전시를 만나볼 수 있다.

한편, 이번 <서울윈타 2023>에서는 11월 말 발표 예정인 ‘2024 올해의 서울색’을 빛으로 전환하여 7곳 행사장 이외에도 남산타워 등 서울의 주요 랜드마크에서 표출할 예정이다.

시는 그동안 서울 곳곳에서 개별 주제와 일정 등에 따라 분산적으로 진행하던 겨울행사를 한데 묶은 ‘초대형 축제’를 개최하여 도심 전체에 활기를 불어넣고 나아가 <서울윈타>를 ‘글로벌 문화발신지’ 서울의 위상에 걸맞은 대표적인 축제 브랜드로 발전시킨다는 계획이다.

특히 ‘춥고 텅 빈’ 서울 도심의 겨울 이미지를 벗고 연말연시를 즐기기위해 세계인이 찾아오는 ‘겨울 축제의 도시’로 거듭나는데 도움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세상에 없던 빛, 서울을 물들인다’를 주제로 열리는 이번 축제는 도심 내 7곳에서 ▴미디어파사드 ▴프로젝션 맵핑 ▴고보 조명 등 빛․조명 기술을 활용한 10가지 축제와 행사로 다양한 볼거리, 즐길거리를 선보일 예정이다. 이번 축제는 올해 4월 순천만 국제정원박람회 개막식을 지휘했던 한경아 총감독이 연출한다.

The Sun at Dawn
<사진 : 자정의 태양>
*프로젝션 맵핑(Projection Mapping): 프로젝터를 활용해 대상물 표면에 빛으로 이뤄진 영상을 투사하여 물체를 실제처럼 입체적으로 보이게 해주는 기술 *고보 조명(Gobo Light): 원하는 장소에 도형, 기호 등의 형태로 빛을 투사하는 조명

특히 한 해의 마지막 날, 보신각에서 진행되는 ‘제야의 종’ 타종행사를 재미는 물론 송구영신의 의미를 되새길 수 있도록 역동적으로 연출해 시민과 내외국인 관광객 모두 함께 즐기는 ‘글로벌 이벤트’로 만든다는 계획이다. 보신각 외 더 넓은 장소에서 여유롭게 즐길 수 있도록 삼원 생중계(보신각‧광화문광장‧DDP)도 진행한다.

매년 12월 31일 1백만 명에 이르는 세계인이 한자리에 모여 카운트다운을 함께하는 뉴욕 타임스퀘어, 시드니 오페라하우스처럼 서울 도심에도 세계적인 카운트다운 명소를 만든다는 구상이다.

<광화문‧청계천‧송현광장 미디어파사드, 빛 조형물 일제 점등으로 15일(금) 막 올려>

<서울윈타 2023>은 다음 달 15일(금) 18시 ▴서울라이트 광화(광화문광장) ▴서울빛초롱축제(광화문광장·청계천·서울광장) ▴송현동 솔빛축제(열린송현녹지광장) 일제 점등을 시작으로 본격 막이 오른다.

(광화문, DDP) 서울을 대표하는 미디어아트 전시로 자리매김한 ‘서울라이트’는 광화문과 DDP에서 진행된다. 100년 만에 복원된 광화문월대~광화문광장으로 이어지는 800m 길이 초대형 미디어파사드를 연출, 시각뿐 아니라 역사적으로도 신선한 감동을 선사할 예정이다.

12월 21일(목)부터는 DDP 외벽을 캔버스로 활용해 자연과 기술의 질서를 찾아내는 ‘디지털 아틀란티스’를 초현실적이면서도 환상적으로 표현한 ‘서울라이트 DDP 겨울’도 만나볼 수 있다.

(열린송현녹지광장) 110년 만에 시민의 품으로 돌아온 열린송현녹지광장에서는 ‘송현동 솔빛축제’가 열린다. 소나무 숲 베일에 가려져 있던 미지의 공간에 ‘자연의 빛’을 투영, 어둠 속에서 더 극명하게 드러나는 빛과 그림자로 초자연의 경이로움을 표현해낸다.

(광화문광장‧청계천‧서울광장) 올해로 15번째를 맞는 대표적인 도심 빛 축제 ‘서울빛초롱축제’도 광화문광장, 청계천, 서울광장 일대에서 38일간 열린다. ‘화이트 나이트 인 서울(White Night in Seoul)’을 테마로 한 대형 조형물을 중심으로 화려한 볼거리를 제공한다.

특히 360도 입체 구 형태로 프로젝션 맵핑이 가능한 ‘시공의 달’과 2024년 ‘용의 해’를 맞아 신비로운 구름 사이에서 깨어나는 용을 형상화한 조형물 등이 눈길을 끌 예정이다.

한편 매년 겨울 명소로 큰 사랑을 받는 ‘크리스마스 마켓’은 광화문광장(12.15.(금)~’24.1.21.(일))과 DDP(12.21.(목)~12.31.(일)) 두 곳에서 열리고, ‘서울광장 스케이트장’은 12월 22일(금)부터 내년 2월 11일(일)까지 52일 간 운영된다.

<31일(일) 보신각~세종대로 카운트다운, 제야의종 타종… DDP‧광화문 삼원 생중계>

12월 31일(일) 23시부터는 보신각~세종대로 구간에서 <서울윈타2023>의 하이라이트인 ‘카운트다운’과 ‘제야의 종’ 타종 행사가 열린다. 도심 어디서나 송구영신의 순간을 함께할 수 있도록 보신각․세종대로는 물론 DDP, 광화문광장에서 삼원 생중계된다.

올해는 코로나19 이후 4년 만에 시민이 참여하는 ‘제야의 종’ 타종행사로 진행된다. 공개 추천으로 선정된 시민 대표, 글로벌 인플루언서(영향력자) 등 18명이 함께 새해를 알리는 33번의 타종을 하는 동시에 세종대로 한가운데 지름 12m 규모의 ‘자정의 태양’이 떠오르면서 2024년의 여명을 장식하는 장관을 연출한다.

시는 지난 ’05년부터 제야의 종 타종행사 참여 시민을 공개 추천으로 선정해 왔으나 코로나19 팬데믹으로 ’19~’22년에는 일시 중단됐다. 추천은 12월 8일(금)까지 누리집(2023bell.co.kr)에서 가능하다.

<대규모 인플루언서 행사 ‘서울콘’ 연계, 30억 구독자와 함께 카운트다운‧겨울축제>

이외에도 <서울윈타 2023>이 ‘세계인이 함께 즐기는 겨울 축제’로 자리매김하도록 12월 30일(토)~’24년 1월 1일(월) DDP 일대에서 열리는 <2023 서울콘(SeoulCon)>과 연계, 글로벌 인플루언서를 통해 축제의 진가를 전 세계에 알린다.

‘서울콘(서울경제진흥원 주최)’은 일상․뷰티․패션 등 글로벌 인플루언서가 한자리에 모여 스트릿 패션마켓, 팬미팅 등을 진행하는 행사로 올해는 50여 개국 3천여 팀의 인플루언서가 서울을 찾는다.

서울콘 참여 인플루언서들은 행사 기간 도심을 누비며 개인 채널을 통해 축제를 생중계하고 콘텐츠 제작해 <서울윈타 2023>을 널리 알린다. 12월 31일(일)에는 보신각, 광화문광장, DDP에 모여 30억명에 이르는 구독자들과 서울의 카운트다운 행사를 함께할 예정이다.

<서울윈타 2023> 관련 자세한 내용은 누리집(www.winta.c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시는 11월 22일(수)부터 유튜브․SNS 등에서 축제의 기대감을 높여줄 홍보영상을 순차적으로 공개할 예정이다.

한경아 서울윈타 2023 총감독은 “서울 곳곳에서 개별적으로 열리던 겨울 행사를 하나의 주제로 엮은 초대형 도심 겨울축제 <서울윈타 2023>은 서울의 매력을 끌어올리고 세계인의 발길을 모으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한 해를 마무리하고 새해를 맞이하는 시점에 서울에서 선보이는 세상에 없었던 새로운 ‘빛’을 만나보시기 바란다”고 말했다.

최경주 서울시 문화본부장은 “<서울윈타>는 서울이 ‘글로벌 문화발신지’ 서울의 위상에 걸맞은 ‘세계적인 축제 도시’로 거듭나는 신호탄이 될 것”이라며 “초대형 메가축제를 모두가 안전하고 즐겁게 즐기실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Seoul Winter Festa 2023” to B e H eld to Welcome New Year, Placing Seoul Next to New York and Sydney for New Year’s Celebrations

- Seven central parts of Seoul will be decorated with light displays from December 15, 2023, to January 21, 2024, to celebrate New Year’s Eve.
- On December 15, 2023, the Seoul Winter Festa 2023 kicks off by turning on the light of the media façade running along the Gwanghwamun area, Cheonggyecheon Stream, and Songhyun Square.
- On the last day of 2023 (Sunday), countdown and bell-ringing ceremonies will be held at midnight in Bosingak Pavilion, on Sejong-daero Avenue. The ceremonies at the Pavilion will be streamed live at the Gwanghwamun and Dongdaemun Digital Plaza (DDP).
- The Seoul Winter Festa will be jointly held with “2023 SeoulCon”, a fashion and beauty festival, inviting global influencers to enjoy the New Year’s celebrations with their 3 billion subscribers and viewers around the world.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nnounced to hold Seoul Winter Festa 2023 for 38 days from December 15, 2023, to January 21, 2024. The festival will highlight major charming spots of the city with colorful lights of media façade, from Dongdaemun Digital Plaza, Bosingak Pavilion, Sejong-daero, Gwanghwamun Square, Songhyun Square, Cheonggyecheon Stream to Seoul Plaza.

- The color of Seoul for 2024 will be announced in late November, and the color will be used to illuminate not only the seven spots of the festival but also landmarks across Seoul, including Namsan Seoul Tower.

With the theme “Colors new, light up Seoul”, the festival this year will be composed of 10 festivities and side events at seven places across the city, utilizing light technologies such as media façade displays, projection mapping, and gobo lights to mesmerize people.

The city government is preparing structure artwork to make the bell-ringing ceremony on the last day of 2023 at Bosingak Pavilion an unforgettable global event for both local people and international tourists to enjoy. The ceremony will be streamed live at Gwanghwamun Square and Dongdaemun Digital Plaza through screens, which will help people watch celebrations in more spacious places.

<On December 15, 2023, the Seoul Winter Festa 2023 Kicks off by Turning on the Light of the Media Façade Running along the Gwanghwamun Area, Cheonggyecheon Stream, and Songhyun Square.>.>

The light installations and media façade streaming through Gwanghwamun Square (separately titled Seoul Light Gwanghwa), Cheonggyecheon Stream areas (Seoul Lantern Festival), and Songhyun Square (Sol bit Festival) will mark the beginning of Seoul Winter Fes ta 2023, at 6 p.m. on December 15, Friday.

The “Seoul Light Gwanghwa” event will be held in two places: Gwanghwamun Square and Dongdaemun Digital Plaza, featuring an 800 meter long g igantic media façade.

The Sol-bit Festival at Songhyun Square will she d rays of light and create shadows on the once closed land veiled by thick layers of pine trees to express the wonder of “nature”.

The iconic light festival in Korea, “Seoul Lantern Festival”, returns with the theme “white night in Seoul”, marking its 1 5 th anniversary. The festival will last for 38 days, featuring large structures and installations with colorful lights.

Christmas Market, which has been loved by people as an annual winter attraction in Seoul, will be held in two places: at Gwanghwamun Square from December 15 to January 21, 2024, and at Dongdaemun Digital Plaza from December 21 to December 31. The skating rink at Seoul Plaza will open for 52 days from December 22 to February 11, 2024.

<On the Last Day of 2023 (Sunday), Countdown and Bell-Ringing Ceremonies Will Be Held at Midnight in Bosingak Pavilion, on Sejong-Daero Avenue. The Ceremonies at the Pavilion Will Be Streamed Live at the Gwanghwamun and Dongdaemun Digital Plaza (DDP).

At 11 p.m. on December 31, Sunday, the countdown event and bell ringing ceremony will be held at Bosingak Pavilion and its vicinities including Sejong daero , and live streamed at Dongdaemun Digital Plaza and Gwanghwamun Square.

This year’s bell ringing ceremony will involve representatives from the public for the first time in four years after the COVID 19 pandemic. Civil representatives who were selected through an open recommendation process, international influencers, and others, a total of 18, will ring the bell 33 times. A 12 meter long in diameter su n shaped structure, “the sun at dawn” will appear in the middle of the avenue at the same time to celebrate the beginning of the year 2024.

<The Seoul Winter Festa Will Be Jointly Held with “2023 Seoulcon ”, a Fashion and Beauty Festival, Inviting Global Influencers to Enjoy the New Year’s Celebrations with Their 3 Billion Subscribers and Viewers around the World.>

Aside from the events mentioned above , the 2023 SeoulCon at Dongdaemun Digital Plaza will beheld concurrently from December 30 to January 1 to promote the Seoul Winter Festa 2023 globally.

- The 2023 S ecoulCon, organized by Seoul Business Agency, is a festival for beauty, fashion, and lifestyle and will hold fashion markets, fan meetups, and othe r events. The SeoulCon will bring together more than 3,000 teams of influencers from more than 50 countries.

Information on Seoul Winter Festa 2023 is available on the official website (www. winta.co.kr ).

The Seoul M etropolitan Government will roll out a series of promotional videos on social media platforms including YouTube to add an air of excitement.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2,786 / 16 Page
RSS
캐나다 3분기 경제 ‘역성장’… 금리 인상 여파
등록자 NEWS
등록일 11.30

경제 “개인·기업 지출에 부담” 금리 기조에 영향줄까 2023년 7~9월 3분기 캐나다 국내총생산(GDP) 전년 대비 1.1% 감소했다. 캐나다 연방 통계청은 24일 발표한 경제 보고서…

내년도 경제 전망과 바뀌는 세금 제도 알아보는 시간 세미나 개최
등록자 KREW
등록일 11.30

커뮤니티 브라운백세미나포럼, SFU에서 첫 행사 개최 예정 SFU의 김동우 교수와 서승희 회계사, 강사로 참여 불확실한 국제 정세 속에서 2024년을 어떻게 준비해야 할지 고민하는 이들을 …

올해 가장 기억에 남을 시간: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 20주년 기념 엘프, 클래식 홀리데이 장식, 축제의 …
등록자 KREW
등록일 11.30

정보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ESB)이 오늘 홀리데이 축제의 세부 사항을 발표했다. 연말까지 이어지는 이번 축하 행사에는 계절별 홀리데이 장식, 산타클로스의 방문, 팝업 및 특별 타워 …

캐나다인 75% “이민 증가, 주택 문제 악화”
등록자 NEWS
등록일 11.30

부동산 응답자 절반 “정부 신규 이민자 유치 목표 줄여야” 캐나다인 대다수가 최근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이민 확대 정책이 주택 문제를 악화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했다. 여론조사 기관 레제가…

'서울윈터페스타 2023' 서울, 뉴욕‧시드니 잇는 카운트다운 명소로
등록자 KREW
등록일 11.29

한국 - 서울시, ’23.12.15.~’24.1.21. ‘빛’ 모티브 , 도심 7곳 동시 진행 - 광화문‧청계천‧송현광장 미디어파사드, 빛 조형물 일제 점등으로 15일(금) 막 올려 -…

“메트로 밴쿠버 주택 가격, 내년에도 상승 유지”
등록자 NEWS
등록일 11.28

부동산 2024년 중반까지 금리 인하 가능성 메트로 밴쿠버의 주택 가격이 내년에도 상승을 이어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와 눈길을 끈다. 글로벌 부동산 기업 리맥스는 28일 발표한 보고서를 통…

캐나다인 기대 수명 3년 연속 감소
등록자 NEWS
등록일 11.28

캐나다 암·심장질환 41.8%로 가장 많아 캐나다인의 기대 수명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기간 40년 만에 첫 감소를 시작으로 3년 연속 감소세다. 캐나다 통계쳥은 28일 연…

“단기 임대 칼 댄다”… 세제 혜택 축소
등록자 NEWS
등록일 11.26

부동산 단기 임대 주택 억제 및 장기 임대 장려 목적 캐나다가 에어비앤비나 VRBO 등과 같은 공유 숙박 규제에 나선다. 주택난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장기 임대 주택 공급을 확대하기 …

“캐나다, 내년 주택 가격 10%까지 하락할 것”
등록자 NEWS
등록일 11.25

부동산 TD 경제 보고서 전망, 예상 하락폭 2배 늘려 지속적인 대출 금리 부담과 매물 증가로 시장에 가격 하락 압박이 가해지면서 캐나다 주택 가격이 예상보다 크게 하락할 가능성이 제기됐…

부모의 주택 소유, 자녀 세대 내집 마련에 영향
등록자 NEWS
등록일 11.25

부동산 자가 소유 비율 2배 이상 높아 부모가 집을 소유하면 자녀세대도 내 집 장만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캐나다 통계청은 부모의 자가가 자녀의 경제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

밴쿠버, 예산안에 내년 재산세 7.6% 인상 포함
등록자 NEWS
등록일 11.23

부동산 137만 달러 주택 소유자 기준 연 170달러 인상 밴쿠버의 재산세가 내년에도 큰 폭으로 오를 가능성이 제기됐다. 23일 밴쿠버 시는 2024년 예산안 초안에 재산세 7.6% 인상…

BC주, ‘빈집세’ 적용 대상 도시 확대
등록자 NEWS
등록일 11.22

부동산 2024년 회계연도부터 13개 도시 추가... 총 59개 도시 카트린 콘로이 BC주 재무부 장관 / BC Government BC주정부가 부동산 투기를 억제하고 임대 활성화를 위해…

BC주의 주택 위기 해결을 위해 정부의 적극적인 역할 강조
등록자 KREW
등록일 11.22

부동산 민간 부문에만 의존하지 않고 주택 문제 해결을 위한 정부의 책임 촉구 캐나다의 현재 주택 위기 상황에 대해 "정부가 주택 건설 사업에서 손을 떼면서" 시작됐다고 BC주 데이비드 이…

소비자 물가 상승세 둔화… “최악은 지났나”
등록자 NEWS
등록일 11.21

부동산 10월 물가 상승률 3.1%... 6월 이후 최저 캐나다 중앙은행 금리 동결 가능성 커져 캐나다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둔화했다. 캐나다통계청은 21일 월간 동향 보고서를 통해 캐나…

캐나다 연말 쇼핑 대박칠까
등록자 NEWS
등록일 11.20

부동산 전문가들 “연말 지출 작년보다 11% 줄을 것” 캐나다의 연말 대목인 블랙프라이데이를 앞두고 소비자들의 씀씀이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인플레이션 둔화 조짐에도 높…

캐나다 부동산 경기 ‘급랭’… “동면 상태 진입”
등록자 NEWS
등록일 11.19

부동산 신규 매물 7개월 만에 첫 감소 캐나다 주택 판매가 지난달 급속도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높은 금리와 인플레이션이 주택 시장 회복에 제동을 걸었다는 평가다. 16일 캐나다 부동…

10월 연간 주택 착공률 전달비 소폭 증가
등록자 NEWS
등록일 11.19

부동산 토론토·몬트리올 급감 속 밴쿠버 35% 증가하며 상쇄 캐나다의 주택착공이 소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가운데서도 밴쿠버의 주택 착공률이 눈에 띄게 늘었다. 캐나다 모기지 주택…

캐나다 법원, 일회용 플라스틱 금지 조치에 제동
등록자 NEWS
등록일 11.18

경제 법원 “일회용 플라스틱 제조·수입 금지는 위헌” 사진 제공:BC Government 캐나다 정부가 일회용 플라스틱 용품의 제조와 수입을 금지하기로 결정한 것에 대해 법원이 제동을 …

건축허가 속도 높이기 위해 주택 표준 디자인 도입?
등록자 NEWS
등록일 11.18

부동산 10개 디자인 공개 예정 “주택 허가 속도 높이고 건설 비용 절약” 목표 이미지 제공:BC Government BC주정부가 새로운 주택을 신속하게 공급하기 위해 표준화된 주택 디자…

캐나다, 아메리카 대륙의 인도주의적 노력 강화
등록자 KREW
등록일 11.17

이민 - 콜롬비아, 아이티, 베네수엘라 국적 외국인을 위한 새로운 인도주의적 이민 경로 개시 캐나다가 국제적으로 이주민 수가 기록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취약한 개인들을 지원하기 위해 적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