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News
분류 정보

새로운 톨로스 재단 백서에 따르면 더 안전한 니코틴 대안으로 흡연율 격감

작성자 정보

  • 작성자 KREW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톨로스 재단(Tholos Foundation)은 일본에 본부를 둔 퍼시픽 얼라이언스 인스티튜트(Pacific Alliance Institute)와 스웨덴에 본부를 둔 컨설팅 회사인 스칸테크 스트래티지 어드바이저(Scantech Strategy Advisors)와 손잡고 스웨덴과 일본이 어떻게 더 안전한 대체 니코틴 제품을 도입함으로써 흡연율을 성공적으로 감소시켰는지에 대한 정책 논문인 더 안전한 니코틴 작업(Safer Nicotic Works)을 오늘 발표했다.



더 안전한 니코틴 작업에서는 경구용 니코틴과 가열담배가 스웨덴과 일본의 흡연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다. 이 이후에는 베이핑 작업으로서 4개국의 베이핑 체험을 연구했다. 이에 따라 영국, 프랑스, 캐나다, 뉴질랜드와 같이 베이핑을 채택하는 나라들이 세계 평균의 두 배에 달하는 흡연율 감소를 경험했다는 것을 발견했다.

일본에서는 가열담배 제품의 도입으로 남성 흡연율이 처음으로 30% 이하로 크게 낮아져 이전의 침체를 반전시켰다.

흡연율이 5.6%1인 스웨덴은 올해 안에 ‘금연’ 국가가 될 예정이다. 최근 흡연이 감소한 것은 2019년 출시된 니코틴 파우치의 증가 때문이다.

톨로스 재단의 연구에 따르면 양국의 소비자가 더 안전한 대안으로의 전환을 주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책입안자의 주요 역할은 이러한 대안이 접근 가능하고 실행 가능하도록 보장하는 것이었다. 데이터에 따르면 더 안전한 니코틴이 금연에 크게 도움이 된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베이핑, 가열담배, 니코틴 파우치, 스누스 등 더 안전한 니코틴 제품이 등장하면서 흡연율이 급격히 떨어지고 있다.



로렌조 몬타나리(Lorenzo Montanari) 톨로스 재단 부회장은 이번 연구 결과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

더 안전한 니코틴은 말 그대로 전 세계의 생명을 구하는 것이다. 영국, 캐나다, 뉴질랜드, 프랑스와 마찬가지로 스웨덴과 일본의 경험은 사람들이 더 안전한 제품에 접근할 수 있을 때 엄청난 수의 제품을 선택한다는 것을 입증했다. 우리는 이제 해로운 높은 흡연율과 싸우기 위해 필요한 도구들을 갖게 됐고 세계의 정부들은 이제 시민들이 더 나은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스웨덴과 일본이 흡연율을 낮추는 데 성공한 것이 종합적인 담배 규제 정책의 효과를 강조하고 있다. 그들은 공중 보건을 우선시하며 대체 니코틴 제품을 규제해 왔다. 스웨덴과 일본의 경험은 흡연을 줄이고 금연 대안을 장려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국가들에 중요한 교훈을 제공한다. 국가들은 더 안전한 대체 니코틴 제품에 대한 접근을 가능하게 하고 적절한 규제를 시행함으로써 공중 보건 결과를 크게 개선하고 흡연 문제를 해결한다.

보고서에 대한 전체 링크는 https://tholosfoundation.org/wp-content/uploads/2023/10/Tholos-Safer-Nicotine-Works.pdf 에서 확인할 수 있다.

[1] 성인의 담배 및 니코틴 제품 사용 — 스웨덴 공중보건청(Public Health Agency of Sweden)(folkhalsomyndigheten.se)

이 보도자료는 해당 기업에서 원하는 언어로 작성한 원문을 한국어로 번역한 것이다. 그러므로 번역문의 정확한 사실 확인을 위해서는 원문 대조 절차를 거쳐야 한다. 처음 작성된 원문만이 공식적인 효력을 갖는 발표로 인정되며 모든 법적 책임은 원문에 한해 유효하다.

사진/멀티미디어 자료: https://www.businesswire.com/news/home/53758339/en
웹사이트: https://tholosfoundation.org/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2,794 / 125 Page
RSS
캐나다 가계부채 비율 세계 3위
등록자 NEWS
등록일 10.16

경제 스위스, 호주, 캐나다, 한국 순 캐나다의 가계대출 비중이 전 세계에서 3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제금융협회(IIF)가 매분기 발표하는 글로벌 부채 모니터 보고서에 따르면 …

소비자 물가 상승세 둔화… “최악은 지났나”
등록자 NEWS
등록일 11.21

부동산 10월 물가 상승률 3.1%... 6월 이후 최저 캐나다 중앙은행 금리 동결 가능성 커져 캐나다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둔화했다. 캐나다통계청은 21일 월간 동향 보고서를 통해 캐나…

캐나다 법원, 일회용 플라스틱 금지 조치에 제동
등록자 NEWS
등록일 11.18

경제 법원 “일회용 플라스틱 제조·수입 금지는 위헌” 사진 제공:BC Government 캐나다 정부가 일회용 플라스틱 용품의 제조와 수입을 금지하기로 결정한 것에 대해 법원이 제동을 …

캐나다, 기준금리 3회 연속 5%로 동결
등록자 NEWS
등록일 12.06

부동산 “경제 초과 수요에서 벗어났다” 캐나다 중앙은행이 5일 기준 금리를 현행 5%로 동결키로 했다. 중앙은행은 이날 정례 금리 정책 회의를 열고 ‘경제가 더이상 초과 수요 상황이 아니…

캐나다 3분기 경제 ‘역성장’… 금리 인상 여파
등록자 NEWS
등록일 11.30

경제 “개인·기업 지출에 부담” 금리 기조에 영향줄까 2023년 7~9월 3분기 캐나다 국내총생산(GDP) 전년 대비 1.1% 감소했다. 캐나다 연방 통계청은 24일 발표한 경제 보고서…

주택난에 이민 유치 목표 속도조절 나선 정부
등록자 NEWS
등록일 11.02

이민 2026년 영주권 발급 50만명으로 동결 캐나다 정부가 2026년 이민 목표를 전년과 동일하게 유지하기로 했다. 정부가 이민 목표를 동결하는 것은 2017년 이후 처음이다. 주택난…

부동산 큰손 “편리한 콘도보다는 화려한 대저택”
등록자 NEWS
등록일 02.09

부동산 고급 주택 시장 구매 성향 변화 지난해 밴쿠버 주택시장은 높은 대출 금리와 인플레이션 등의 이유로 어려움을 겪었지만 이른바 '큰손'들이 고액 거래는 꾸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10월 연간 주택 착공률 전달비 소폭 증가
등록자 NEWS
등록일 11.19

부동산 토론토·몬트리올 급감 속 밴쿠버 35% 증가하며 상쇄 캐나다의 주택착공이 소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가운데서도 밴쿠버의 주택 착공률이 눈에 띄게 늘었다. 캐나다 모기지 주택…

주택 거래 ‘깜짝 상승’.. “부동산 둔화 전망은 여전”
등록자 NEWS
등록일 12.05

부동산 전년 대비 4.7% 증가, 전월보다는 둔화 모기지 금리가 급등하면서 부동산 시장 둔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가운데 주택 판매량이 11월 예상 밖의 상승세를 기록했다. 그러나 매물 …

캐나다 9월 일자리 6만4천개 증가… 실업률은 제자리
등록자 NEWS
등록일 10.06

경제 전문가 예상치 2배 이상 … 고금리에 임금 인상률 인플레이션 상회 지난달 캐나다의 일자리가 6만4,000개 증가했다고 캐나다 통계청이 6일 밝혔다. 그러나 인구가 증가하고, 더 많…

캐나다 전국 임대료 6개월 연속 상승
등록자 NEWS
등록일 11.14

부동산 밴쿠버 등 일부 대도시 임대료 상승폭 둔화 캐나다 임대료 상승세가 예사롭지 않다. 수요는 늘어나는데 월세로 나온 물량은 줄면서 계속 가격이 오르고 있다. 12일 온라인 임대 정보 …

밴쿠버, 주택 가격 117만 달러로 한 해 마무리
등록자 NEWS
등록일 01.04

부동산 12월 주택 판매 3.2% 상승 메트로 밴쿠버의 주택 가격이 117만 달러를 기록하며 한 해를 마무리했다. 앤드류 리스 광역 밴쿠버부동산협회 경제 및 데이터 분석가는 3일 “대부분…

버나비 인구 증가율 주내 2위… 1위는?
등록자 NEWS
등록일 01.30

부동산 BC주 인구 증가율 50년 만에 최고… 임대료 상승 불가피 BC주에서 다른 주로 이주하는 인구가 다른 주에서 BC주로 유입되는 인구를 10년 만에 앞질렀다. 그러나 이민 인구가 늘…

신규 주택 “생활 공간 온도 26도 넘지 않아야”
등록자 NEWS
등록일 12.07

부동산 BC주정부, 기후 변화 대응 주택 건축법 개정안 발표 앞으로 BC주에 건설되는 신규 다가구 주택은 생활 공간의 온도가 26도가 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에어컨 등 여름철 냉…

주택 매수 심리 회복에 부동산 시장 강세
등록자 NEWS
등록일 02.05

부동산 1월 벤치마크 기준 단독 주택 가격 194만2400달러 메트로 밴쿠버 부동산 시장의 회복세가 두드러지고 있다. 광역 밴쿠버 부동산협회가 지난 2일 발표한 월례 보고서에 따르면 1월…

BC주, 생에 첫 주택 구매자 2020년에 크게 늘었다
등록자 NEWS
등록일 12.10

부동산 “높아진 금리에 모기지 대출 갱신 때 경제성 악화 가능성” BC주의 생애 첫 주택 구매자 주택 가격 상승에도 불구하고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캐나다 통계청이 8일 발표한 보고서에…

캐나다 부동산협회 “올해 시장 반등… 시기는”
등록자 NEWS
등록일 01.16

부동산 2023년 보다 10.4% 증가… 가격은 2.3% 상승할 듯 캐나다 부동산 협회(CREA)가 올해 기준 금리가 하락하면서 시장이 반등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15일 밝혔다. 협회는 그…

BC주정부 주택 정책에 여론 ‘냉담’
등록자 NEWS
등록일 12.19

부동산 주택 정책에 긍정 여론 12% 불과… 주택 경제성 부정적 최근 BC주정부가 주택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추진하고 있는 일련의 정책에 여론의 시선이 싸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론조사 …

새로운 톨로스 재단 백서에 따르면 더 안전한 니코틴 대안으로 흡연율 격감
등록자 KREW
등록일 11.09

정보 톨로스 재단(Tholos Foundation)은 일본에 본부를 둔 퍼시픽 얼라이언스 인스티튜트(Pacific Alliance Institute)와 스웨덴에 본부를 둔 컨설팅 회사인…

부모의 주택 소유, 자녀 세대 내집 마련에 영향
등록자 NEWS
등록일 11.25

부동산 자가 소유 비율 2배 이상 높아 부모가 집을 소유하면 자녀세대도 내 집 장만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캐나다 통계청은 부모의 자가가 자녀의 경제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