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News
분류 경제

IPS 국가경쟁력 2023 랭킹 발표: 국가경쟁력을 높이는 두 가지 전략 랭킹

작성자 정보

  • 작성자 KREW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스위스 두 국제기관 ‘국가경쟁력 2023 랭킹’ 공동 발표



국제경쟁력연구원(The Institute for Policy & Strategy on National Competitiveness, IPS-NC)은 26일(목) 한국 시간 오후 5시 전 세계 60여 개 국가의 국가경쟁력에 관한 2023 랭킹을 발표했다.

한국의 2023년 국가경쟁력은 정부와 기업이 선택하는 국가 전략에 따라 세계 62개 국가/지역 중 차별화 전략으로는 18위, 원가 전략으로는 21위에 랭크됐다.

국가경쟁력 랭킹 의미와 발표 기관

IPS 국가경쟁력 보고서는 한국의 국제경쟁력연구원이 연구를 주관하고, IPS Switzerland(The Institute for Industrial Policy Studies-Switzerland, 스위스산업정책연구원)와 UNITAR(UN Institute for Training and Research, 유엔 훈련연구원)가 공동으로 발표한다. 스위스 제네바 소재 연구소인 IPS-Switzerland와 같은 제네바에 있는 유엔 산하 UNITAR가 2020년부터 연구결과를 공동으로 발표해오고 있다.

스위스에 위치한 IMD(International Institute for Management Development, 국제경영개발대학원)와 WEF(World Economic Forum, 세계경제포럼)는 각각 1989년, 1996년부터 매년 국가경쟁력보고서를 발간해 오고 있지만, 이 두 보고서는 모두 한가지 랭킹만 발표한다. 반면 IPS 보고서는 각국 정부와 기업이 차별화 전략(Differentiation Strategy과 원가 전략(Cost Strategy) 중 어느 전략을 추구하는가에 따라 국가경쟁력이 달라지는 두 가지 랭킹을 발표한다.

IMD는 경쟁력을 ‘경쟁력 있는 비즈니스 환경을 조성하고 유지하는 국가의 능력’으로 정의한다. WEF는 한 국가의 생산성 수준을 결정하는 제도, 정책, 요인의 집합에 집중한다. 반면 IPS는 가용 자원의 전략적 활용을 통해 국가 번영을 향상시키는 핵심 결정 요인에 중점을 둔다. 따라서 IMD 보고서는 투자 기회를 찾는 다국적 기업에게 특히 유용하고, WEF 보고서는 국내 기업에게 유용한 참고 자료가 되며, IPS 보고서는 국가 및 지역의 정책 입안자에게 귀중한 인사이트를 제공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IPS-S와 UNITAR는 연구를 바탕으로 비용 전략과 차별화 전략에 기반한 두 가지 국가 경쟁력 순위를 발표한다. 이는 부존 자원의 수준이 비슷하더라도 국가 간 경쟁력이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두 가지 전략을 각각 국가에 적용했을 때 국가 경쟁력의 중요한 차이점이 부각된다. 예를 들어 올해의 저원가 전략 랭킹을 보면 캐나다, 호주, 아랍에미리트가 1, 2, 3등을 차지하고 뉴질랜드와 싱가포르가 그 뒤를 이었다. 반면 차별화 전략 랭킹에서는 덴마크, 스위스, 싱가포르, 네덜란드, 미국이 1등에서 5등까지 차지했다. 저원가 전략 랭킹과 차별화 전략 랭킹의 내용이 확연하게 다르다. 같은 국가라 하더라도 전략 선택에 따라 경쟁력이 달라진 것이다.

모든 국가는 적절한 전략을 선택해서 자국의 국가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자원부국은 저원가 전략이 유리하다. 쿠웨이트와 사우디아라비아는 차별화 전략을 쓰면 각각 24등, 27등으로 떨어지지만 저원가 전략을 쓰면 13등, 15등으로 올라간다. 기술강국은 차별화 전략을 선택해야 한다. 덴마크와 스위스는 저원가 전략의 경우 각각 7등, 12등이지만 차별화를 쓰면 1등, 2등으로 상승한다. 한국도 저원가 전략을 쓰면 21위지만, 차별화 전략을 쓰면 18위다. 저원가 전략은 자원이 풍부한 국가에 적합하고, 차별화 전략은 고품질 상품을 생산할 수 있는 선진국에 적합하기 때문이다.

2023년의 완전히 다른 두 가지 순위 결과는 두 가지 유형의 전략 순위의 관련성을 보여준다. 이는 한 국가의 경쟁력이 전략적 선택과 자원 배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국가가 자신의 경쟁력 요소를 이해한다면 이러한 선택과 배분을 바탕으로 순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주목해야 할 글로벌 이슈: 미-중 갈등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2023 IPS 전략 순위는 지정학적 긴장이 전 세계 국가 경쟁력의 지형을 어떻게 재편하고 있는지에 대한 중요한 인사이트를 제공한다. 특히 올해는 미국-중국 갈등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국가 전략 순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단서를 제공할 수 있는 민감한 시기에 보고서가 발표됐다.

글로벌 긴장이 고조된 한 해 동안 미국과 중국은 국가경쟁력 순위에서 서로 다른 길을 걸었다. 미국은 차별화 전략 부문에서 5위로 올라섰고, 비용 전략 순위에서는 8위를 차지했다. 이러한 긍정적인 궤적은 미국이 혁신과 산업 발전에 집중한 것이 주효했으며, 지정학적 이슈들로 인한 부정적인 영향을 일부 완화할 수 있었음을 시사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중국은 원가전략 부문에서는 6위를 유지한 반면, 차별화 순위에서는 19위로 하락하며 큰 폭의 하락세를 보였다. 이러한 하락은 지속적인 지정학적 분쟁으로 인해 글로벌 무대에서 중국의 경쟁 우위가 심각한 타격을 입었음을 보여준다.

흥미로운 점은 체코, 폴란드와 같은 동유럽 국가와 칠레, 멕시코, 브라질 같은 남미 국가들의 원가전략 순위가 상승했다는 사실이다. 분석가들은 다국적 기업들이 채택한 ‘China Plus One’ 다각화 전략이 이들 국가로 투자 방향을 전환시켜 글로벌 시장에서 이들의 원가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었다고 분석한다.

연구 결과에서 주목해야 할 또 다른 이슈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다. 러시아의 경쟁력은 심각한 타격을 입었으며, 이는 원가 순위에서 38위, 차별화 순위에서 60위까지 급락한 것으로도 알 수 있다. 러시아는 수요 조건, 기업가 정신, 비즈니스 환경, 전문가들의 역량 등 국가 경쟁력에 대한 대부분의 지표가 전년 대비 악화됐다.

우크라이나는 분쟁의 진원지임에도 불구하고 다소 선방했다. 원가전략 순위는 54위, 차별화 순위는 52위로 소폭 하락했지만 비교적 안정적인 위치를 유지하며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다. 우크라이나는 러시아와 동일한 4개 지표에서 하락세를 보였지만, 지정학적 위기를 효과적으로 극복하면서 더 큰 회복력을 보여줬다.

국가경쟁력 랭킹 산정 방법

IPS는 4개의 물적 요인과 4개의 인적 요인으로 구분된 8가지 요인을 사용해 국가 경쟁력을 평가한다. 물적 요인에는 요소 조건, 수요 조건, 관련 산업 및 비즈니스 환경이 포함된다. 인적 요인에는 근로자, 정책 입안자 및 관리자, 기업가, 전문가가 포함된다. 한 국가가 원가 전략을 채택할 경우 본질적으로 요소 조건 및 근로자와 같은 원가 중심 요소에 더 많은 가중치가 부여된다. 반대로 차별화 전략을 채택하면 8가지 요인에 대한 가중치가 달라지며, 수요 조건과 전문가에 더 큰 비중을 두게 된다.

국제경쟁력연구원 소개

국제경쟁력연구원(IPSNC)은 2006년 기획재정부 산하 조직으로 설립된 후 산업정책연구원이 2000년 시작한 IPS국가경쟁력 랭킹 연구프로젝트를 이어받아 진행하고 있다. 이와 별도로 세계 주요 대학들의 혁신성을 평가하는 세계혁신대학(The WORLD UNIVERSITY RANKINGS for INNOVATION, WURI) 랭킹을 2020년부터 발표하고 있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2,764 / 10 Page
RSS
“BC주 2030년까지 주택 70만 채 필요하다”
등록자 NEWS
등록일 02.15

부동산 지난 10년 평균과 비교해 2.5배 많은 주택 건설 필요 BC주의 주택난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현재보다 2.5배 많은 신규 주택 건설이 필요하다는 전망이 나왔다. 14일 열린 주택 …

캐나다 중앙은행, 금리 5%로 동결
등록자 NEWS
등록일 01.24

경제 전문가들 “금리 인하 시기는 2분기가 될 것” 예상 캐나다 중앙은행은 24일 열린 통화정책회의에서 금리를 5.0%로 동결했다. 지난해 7월 금리를 5.0%로 인상한 뒤 4번 째 동…

서울시, 새벽근로자 위한 '자율주행 새벽동행버스' 출범…첨단교통으로 민생 밝힌다
등록자 KREW
등록일 01.22

한국 - ’24년 하반기 새벽 근로자 맞춤형 자율차 운행 예정, 가장 필요한 곳에 교통 정책 노하우 적용 - ’23년서울동행버스→심야자율버스까지혁신정책성과…’24년은서민·약자와동행하는서…

니어브레인, CES 2024 참가… 뇌혈류 예측·뇌수술 실습 플랫폼 선보여
등록자 KREW
등록일 12.07

정보 인공지능(AI) 기반 디지털 트윈 플랫폼 기업 니어브레인(대표 이태린)은 2024년 1월 9일(화)부터 12일(금)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최되는 ‘국제 전자제품 박람회(CES…

BC주 최저임금, 6월부터 17.4달러로 인상
등록자 NEWS
등록일 02.27

비즈니스 물가 상승률 반영… “매년 인상 기대” BC주의 최저임금이 6월부터 오른다. BC주정부는 26일 주내 최저임금을 시간당 16달러75센트에서 17달러40달러로 3.9% 인상한다고 밝…

“학생 주거 부담 최소화” 대학 기숙사 건설에 저금리 혜택
등록자 NEWS
등록일 01.31

부동산 연방 정부 총 400억 달러 지원 임대료가 역대 최고로 치솟고 있는 가운데 연방 정부가 학생들의 거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총 400억 달러를 지원할 계획이다. 29일 연방정부는 …

간편하게 주문하는 AI 음성인식 키오스크 ‘닥터오더’ 출시
등록자 KREW
등록일 01.11

비즈니스 인공지능(AI) 전문 기업 닥터송은 말로 간편하게 주문하는 음성인식과 자연어처리 인공지능 기술을 탑재한 키오스크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새롭게 출시하는 인공지능 음성인식 키오스크 ‘…

“주택 가격 내년에 2022년 수준 회복, 이듬해엔 최고 기록”
등록자 NEWS
등록일 04.05

부동산 공급과 수요의 불균형 문제 여전히 지속될 것 캐나다 주택 가격이 지속적으로 회복하면서 내년 중으로 고점을 찍었던 2022년 수준까지 오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캐나다 모기지 주…

'행복하세요?' 질문에 캐나다인 70% "네"
등록자 NEWS
등록일 12.31

캐나다 7년 전 조사 때보다 9% 포인트 감소 캐나다인의 행복 수준이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론조사 기간 앵거스 리드는 지난 12월 15일부터 19일까지 캐나다 성인 1,516명…

캐나다 소비자 물가, 3.4%로 상승
등록자 NEWS
등록일 01.17

경제 휘발유 가격 주거비 등 인플레이션 상승 주도 캐나다의 소비자 물가지수가 소폭 상승했다. 16일 캐나다 통계청이 발표한 월례 물가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12월 캐나다의 연간 소비자 …

'손목닥터9988' 시즌2, 더 많은 시민 쉽게 참여할 수 있도록 개편
등록자 KREW
등록일 03.11

한국 - 19세 이상 시민 누구나 스마트폰 앱만으로 참여가능…3월부터 연중 수시 모집 - 어르신 참여 확대 위해 연령상한(75세) 폐지, 걸음 포인트도 5천보로 완화 - 출산모, 고립청…

BC주 보육 서비스, 점점 더 찾기 어려워져
등록자 KREW
등록일 12.06

일반뉴스 보육 이용률 감소 및 부모들의 찾기 어려움 증가 캐나다의 통계에 따르면, BC주와 캐나다 전역에서 부모들이 코로나19 팬데믹 이전보다 올해 보육 서비스를 덜 이용하고 있다. BC주…

임대료 대비 모기지 상환이 비싼 도시는?
등록자 NEWS
등록일 02.17

부동산 밴쿠버 평균 모기지 상환 5353달러… 임대료는 3180달러 최근 캐나다 주요 도시의 모기지 대출 상환과 임대료 간의 가격 차이를 보여주는 보고서가 발표되어 눈길을 끌고 있다. 6…

BC주부동산협회 “주택시장 열기 하반기 뜨거워진다”
등록자 NEWS
등록일 04.26

부동산 기준 금리 인하로 구매 심리 개선 영향 하반기 주택시장이 회복할 것으로 예측된다. 중앙은행의 기준 금리 인하가 예상되면서 수요자들의 심리가 개선되고 있고, 앞으로도 이 기조가 유지…

밴쿠버서 100만 달러로 살 수 있는 집은…?
등록자 NEWS
등록일 02.28

부동산 전국 평균보다 면적면에서 573스퀘어피트 작아 밴쿠버에서 100만 달러면 어느 정도의 주택을 구매할 수 있을까. 부동산 중개업체 로얄 르페이지(Royal LePage)가 24일 발…

캐나다, 주택난에 결국 유학생 수 제한
등록자 NEWS
등록일 01.23

이민 “올해 신규 유학생 35% 줄인다” 정부가 주택난 심화 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유학생 수를 제한하기로 했다. 캐나다 이민부는 22일 유학생에게 발급하는 비자 수를 제한하고, 일부…

임대 아파트 공실률 1988년 이래 최저
등록자 NEWS
등록일 02.01

부동산 밴쿠버 0.9% 전국서도 ‘최악’ 공급이 수요를 따라잡지 못하는 현상이 지속되면서 캐나다의 임대료가 치솟고 임대 아파트 공실률은 역대 최저를 기록했다. 31일 캐나다 모기지 주택공…

캐나다 실업률 5.8%로 상승
등록자 NEWS
등록일 12.03

경제 일자리 증가 속 구직자 증가 11월 캐나다의 일자리가 2만5,000개 늘었다고 캐나다 통계청이 1일 밝혔다. 일자리가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구직자도 함께 늘면서 실업률은 5.8%까…

로열은행, HSBC 캐나다 135억 달러에 매입키로
등록자 NEWS
등록일 12.25

경제 130개 지점 4200직원 규모 캐나다 정부가 로열은행(RBC)의 HSBC(Hongkong and Shanghai Banking Corporation) 캐나다 법인 인수를 승인했다…

“집 지어도 남는 게…” 건설사 올해도 힘들다
등록자 NEWS
등록일 01.27

부동산 밴쿠버 건축 비용 가장 높은 도시 건설사에게 올해도 힘든 해가 될 것이란 전망이다. 건축 자재 비용과 운송 비용의 상승세가 한 풀 꺾였지만, 인건비 가 오르면서 수익폭이 크게 감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