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News
분류 경제

“15%는 너무 적다?” 팁 문화 피로감 늘어

작성자 정보

  • 작성자 NEWS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비용에 포함시켜 청구하거나 상한 올리는 꼼수 빈번

인건비 상승분을 팁을 통해 소비자에게 전가하려는 업주가 늘면서 불만이 커지고 있다. 계산서에 팁을 포함시키거나 상한을 대폭 늘리는 꼼수도 늘고 있다는 지적이다.

16일 CTV는 최근 팁을 강요 받거나 큰 부담으로 느끼는 소비자가 늘고 있다고 보도했다.

방송에 따르면 토론토에 거주하는 케이틀린 그린씨는 최근 인터넷을 통해 아기 분유를 주문하면서 황당한 경험을 했다. 온라인 주문임에도 불구하고 팁을 요구 받은 것. 그는 방송에서 “주문 과정에서 팁을 요구하는 과정이 있었으며 ’팀을 지지해달라’라는 명분이었다”며 매번 팁을 요구하는 화면을 마주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팁을 강제로 요구하거나 그 상한을 늘리면서 소비자가 느끼는 팁에 대한 피로가 높아지고 있다. 펜데믹을 통해 최악의 상황을 겪고 있는 요식업계를 돕자는 취지로 팁을 자발적으로 더 내는 소비자가 늘었지만, 동시에 이를 악용하고 강요하는 업주도 늘고 있다. 인터넷 물품 구매 등 일반적으로 팁을 요구하지 않았던 업계에서도 팁을 당당하게 요구하는 사례도 보고되고 있다.

팁 상한을 늘려 소비자가 그 이하의 팁을 내지 못하도록 강요하는 경우도 있다. 계산을 할때 결제기에는 보통 15%, 18%, 20% 등 중에 팁을 선택할 수 있도록 표시돼어 있다. 최근에는 선택할 수 있는 팁을 많게는  30%까지 상한을 올린 곳도 생겨나고 있다.

그린 씨는 방송에서 “(팁)15%는 이제 무례한 느낌을 주는 것 같다”며 “서비스 질은 예전과 그대로거나 더 안좋아 졌는데, 상품 가격도 올라가고 팁에 대한 상한도 올라가면서 소비에 대한 부담만 커졌다”고 말했다.

이렇게 팁에 대한 강요가 이어지는 요인에는 높아진 물가와 인건비가 한 몫했다는 분석이다. 올라간 물가와 인건비를 상쇄하기 위해 소비자에게 팁을 강요하는 사례가 늘었다는 것이다.

이에 팁 문화를 없애야 한다는 주장도 일고 있다. 캐나다 정책 대안 센터 연구원인 헤이븐 교수는 “최저 임금과 최저 생활비의 괴리가 너무 크기 때문에 나타난 현상”이라며 “근로자에게 정당한 임금을 지급하고 팁 문화를 없애야 한다”며 주장했다.

헤이븐 교수는 “팁이 업주에게 돌아가는지 직원에게 돌아가는지 알수 있는 방법이나 팁에 대한 권리를 주장할 법적 근거는 없다”며 “투명성이라곤 찾아볼 수 없는 문화”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팁을 없애고 임금을 올리면 산업과 서비스 종사자 그리고 소비자 모두에게 득이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목록
Total 166 / 8 Page
RSS
캐나다 달러 가치, 2년 만에 최저점
등록자 NEWS
등록일 09.18

경제 캐나다 달러 1달러=미국 75.27센트 캐나다 달러(루니) 가치가 2년 만에 최저점까지 떨어졌다고 CBC등이 17일 전했다. 방송에 따르면 16일 루니는 미화 75.27센트에 거래…

“올해 말까지 외식 비용 7.8% 오른다”
등록자 NEWS
등록일 09.17

경제 식재료비 가격 상승과 인력난에 타격 외식 물가 상승률이 치솟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외식 가격에 영향을 주는 식재료비와 인건비가 모두 오른 탓이다. 여기에 외식 수요가 …

“15%는 너무 적다?” 팁 문화 피로감 늘어
등록자 NEWS
등록일 09.16

경제 비용에 포함시켜 청구하거나 상한 올리는 꼼수 빈번 인건비 상승분을 팁을 통해 소비자에게 전가하려는 업주가 늘면서 불만이 커지고 있다. 계산서에 팁을 포함시키거나 상한을 대폭 늘리는…

조기 은퇴 바람 불고 있는 캐나다
등록자 NEWS
등록일 09.12

경제 55-64세 은퇴자 수 역대 최고치 갱신 미국에서 팬데믹을 계기로 시작된 자발적인 ‘대퇴직(Great Resignation)’ 바람이 분데 이어 캐나다에서는 ‘대은퇴(Great R…

캐나다 2분기 가계부채 비율 큰 폭 상승
등록자 NEWS
등록일 09.12

경제 가처분 소득 1달러당 부채 1.82달러 캐나다의 가구당 부채 비율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캐나다 통계청은 12일 올해 2분기 각 가구의 가처분 소득 대비 평균 부채 비율이…

일자리 4만 개 증발… 실업률 5.4%로 상승
등록자 NEWS
등록일 09.09

경제 교육, 건설 부문 감소 두드러져 지난 8월 캐나다의 취업자 수는 1년 전과 비교해 4만 명이 줄었고, 실업률은 5.4%까지 반등했다. 캐나다 통계청이 9일 내놓은 월간 고용동향 보…

캐나다 중앙은행, 기준금리 3.25%로 인상
등록자 NEWS
등록일 09.07

경제 “물가 잡기 위해 금리 더 올릴 것” 캐나다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75bp(0.75 포인트) 인상했다. 7일 중앙은행은 정책회의를 통해 기준금리 목표치를 2.5%에서 3.25%로 …

밴쿠버 시민 1인당 빚 2만2700달러 떠안고 산다
등록자 NEWS
등록일 09.06

경제 작년보다 4% 상승… 전국서 5번째로 높아 모기지 대출을 제외하고 밴쿠버 시민 1인당 평균 2만2,700달러 이상 빚을 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용평가 기관 이퀴팩스 캐나다가…

캐나다인 절반, 대출금리 상승에 ‘무방비’
등록자 NEWS
등록일 09.06

경제 캐나다인 절반 이상이 급격히 오르고 있는 대출 금리에 무방비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3일 IG 웰스 매니지먼트(Wealth Management)가 지난 7월 28일부터 8월 8일…

모기지 대출 금리 갱신… “기다리지 말고 금리 선점해야”
등록자 NEWS
등록일 09.03

경제 “재정 환경 검토하고 모기지 포함한 채무 줄여 나가야” 기준금리 인상으로 대출 금리가 뛰면서 모기지 대출 갱신을 앞둔 집 소유주의 한숨이 커져가고 있다. 전문가들은 대출 갱신일까지…

10만 달러 이상 차량에 사치세… 1일부터 적용
등록자 NEWS
등록일 09.03

경제 고급차, 항공기, 요트에 부과 “환경에도 도움될 것” 고급 차량, 전용기, 요트 등을 구매할 때 적용되는 ‘사치세’(Luxury Tax)가 1일부터 적용됐다. 캐나다 연방정부는 작…

삼성전자 ‘더 스마트한 일상과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비전 공유
등록자 KREW
등록일 09.01

경제 삼성전자가 독일 베를린에서 열리는 유럽 최대 가전 전시회 IFA 2022 개막에 앞서 1일(현지 시각) 프레스 콘퍼런스를 개최하고, ‘더욱 스마트한 일상과 지속 가능한 미래(A S…

캐나다 4분기 연속 성장… 연율 3.3% ‘양호’
등록자 NEWS
등록일 08.31

경제 내주 캐나다 중앙은행 금리 인상에 힘 실릴 듯 캐나다의 6월 국내 총생산량(GDP)이 전월 대비 0.1%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31일 캐나다 통계청에 따르면 캐나다 2분기 GD…

BC주, 2021/2022연도 13억 달러 흑자
등록자 NEWS
등록일 08.30

경제 "경제 재가동으로 인한 세수 증가" BC주가 우려와 달리 흑자 운영을 실현했다. 지난 2021/2022연도 주정부가 쓰고 남은 돈이 13억 달러를 기록했다. 시중에 만연한 비관론과…

초고물가에 먹거리 비용 절감 공유하는 캐나다인들
등록자 NEWS
등록일 08.27

경제 7월 소비자 물가 7.6%... 식품은 10% 껑충 인스타 인플루언서의 비용 절약 방법 모색 최근 물가가 천정부지로 오르면서 고충을 토로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식비, …

역대 최악의 캐나다 인력난… ‘인플레’ 부채질
등록자 NEWS
등록일 08.25

경제 숙박 및 외식업 구인난이 가장 심각 캐나다의 구인 건수가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구인난이 임금 상승을 부추겨 긴축 압력이 더 커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캐나다 통계청은 25일…

영어와 불어 구사자의 소득 격차는?
등록자 NEWS
등록일 08.23

경제 모두 구사하는 경우 소득 최대 40% 높아 캐나다의 공식 언어인 영어와 불어를 동시에 구사하는 사람이 영어 혹은 불어 하나만 구사하는 사람과 비교해 소득이 10~40% 높은 것으로…

캐나다 소비자들 고물가에 지갑 닫는다
등록자 NEWS
등록일 08.22

경제 캐나다 소비자들이 가파르게 치솟는 물가 부담에 지갑을 닫기 시작했다. 캐나다 은행의 긴축이 지속될 것으로 관측되는 가운데, 경제 성장 동력인 소비가 위축되면서 경기 침체 우려도 한…

달러·원 환율, 장중 1034원 돌파…근 10년래 최고
등록자 NEWS
등록일 08.22

경제 “원화 가치 하락에 따른 상승” 캐나다 달러당 원화 환율이 22일 장중 1,030원선을 돌파했다. 이날 기준 서울 외환시장에서 캐나다달러·원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6.18원(0.6…

“술집인데 팔 술이 없다?”
등록자 NEWS
등록일 08.18

경제 주류전매공사 파업에 사업주들 시무룩 BC주류전매공사(BC Liquor Distribution Branch, BCLDB) 파업이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수 일째 이어지는 가운데 파업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