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News
분류 캐나다

“캐나다 이자율 매번 오르지만은 않을 수도…”

작성자 정보

  • 작성자 부동산밴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캐나다 이자율 매번 오르지만은 않을 수도…”
2022년은 연말까지 기준금리 분기마다 0.25%p 상승 전망
내년에는 ‘제자리 걸음’도…미국도 캐나다와 비슷한 흐름

“투자자들이 벌써부터 경기후퇴 위험성을 얘기하고 있다.” 최근 TD이코노믹스가 경제 보고서를 통해 내놓은 분석이다. 여기에서는 “중앙은행이 실시한 1회 이자율 인상이 막 시작되자마자” 이 같은 논의가 나온다는 평가도 덧붙였다. 한마디로 중앙은행의 인상 사이클이 빠르다는 의미다.

TD이코노믹스는 최근 “중앙은행이 0에서 100까지 인상 사이클이 매우 빠르다”는 제목의 보고서를 내놓았다. 덧붙여 이곳 경제 전문가들이 평가하는 오는 2023년까지 금리 인상에 대한 전망도 펴냈다.

먼저 이자율 전망을 보면, 중앙은행의 기준금리는 2022년 1/4분기 현재 0.5%에서 올해 4분기 1.75%로 오른다. 분기 별로 볼 때, 0.25%p씩 어김없이 인상된다는 분석. 더욱 주목할 부분은 2023년에는 기준금리가 1분기에 다시 0.25%p 늘어난 2%가 되겠지만 이후에는 나머지 3개 분기 동안 제자리 걸음을 한다는 것이다.

캐나다 경제와 가장 밀접한 관련성을 가진, 미국의 기준금리 전망도 비슷한 패턴을 보인다는 관측이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이자율은 0.5%인 가운데 올해 4/4분기는 물론 2023년 1분기까지 캐나다와 같은 수준으로 증가한다. 즉 매 분기마다 0.25%p가 올라 내년 1/4분기 2%가 된다는 것.

이후 2023년 2/4분기에도 한번 더 올라 2.25%가 된다. 그렇지만 연말까지 이 수준은 그대로 유지된다. 현재 가파른 물가 상승을 잡으려는 중앙은행의 성급한 금리 상승이 2년 가까이 진행된 팬데믹을 빠져 나오려는 경제 회복 동력에 찬물을 끼얹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 보고서는 먼저 “호전적인 미국의 연방 정부가 채권 상승률을 2022년 초반부터 1%p 인상하자 시장 참가자들은 숨을 돌리고 있는 상태이다. 이는 지난 2019년 이후 보지 못한 수준이기 때문이다”고 설명했다. 또 높은 인플레이션을 멈추려는 중앙은행의 의도는 이자율을 매우 빠르게 매우 많이 올릴 수 있다는 두려움도 부추기고 있다.

수익상승률의 경사도가 불편한 수준까지 접근하고 있기 때문에 조만간 중앙은행의 정책적 실수에 대한 논의가 가시지 않을 수 있다는 것. 마지막으로 뱅크 오브 캐나다도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가 같은 처지라는 것. 즉 캐나다 중앙은행도 높은 인플레이션과 고가의 주택 가격에 대응하기 위해 이자율을 인상할 필요성이 있는 상태이다.

그렇지만 각종 부채가 이미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중앙은행이 경제 성장을 방해하지 않고 금리정책의 고삐를 조이려면 신중해야 한다는 평가했다.

결과적으로 이 보고서는 “투자자들이 경기후퇴를 얘기하는 것은 이자율이 현재 경제를 매우 제한하는 수준이라는 게 아니다. 연방 준비제도 이상회가 기수를 너무 앞으로 향하고 있다는 것”이라면서 “하지만 투자자들은 중앙은행이 금융시장의 각종 징후에 반응할 것이라는 점을 아는 게 중요하다. 전망은 확정된 것이 아니다. 여전히 비즈니스 사이클에도 변동의 여지가 있다”고 덧붙였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2,801 / 71 Page
RSS
캐나다 전국 소매 매출 상승 ‘희소식’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03.25

캐나다 캐나다 전국 소매 매출 상승 ‘희소식’ 전자 상거래 전년비 14% 감소…팬데믹 영향 줄어드나 전국적으로 소매 매출이 다시 활기를 띠고 있다. 비롯 물가 상승과 에너지 가격을 포함한…

“모기지 할인이자율 현 2%대에서 내년말 4%로”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03.25

커뮤니티 “모기지 할인이자율 현 2%대에서 내년말 4%로” 높은 인플레이션 좀더 유지…프라임 2.7%에서 내년 3.95%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플레이션 지속될수도” 이미 캐나다 …

전국 공시대상 주택 수는 2.4% 증가해
등록자 NEWS
등록일 03.30

한국 전국 공시대상 주택 수는 2.4% 증가해 올해도 전국적으로 공동주택 규모는 작년보다 늘었다. 다만 공시지가는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22년 공시대상 공동주택…

해외여행 복귀 학생 등 ‘마스크 착용’…
등록자 NEWS
등록일 03.30

캐나다 해외여행 복귀 학생 등 ‘마스크 착용’… 4월 1일부터 여행자 ‘입국전 테스트’ 필요없어 BC주 초 중 고등학교가 모두 봄방학을 끝내고 복귀했다. 그런데 비록 팬데믹 관련 규제가 …

운전중 휴대전화 사용 단속 강화 전망…
등록자 NEWS
등록일 03.30

커뮤니티 운전중 휴대전화 사용 단속 강화 전망… ICBC, 운전자 110달러 리베이트 관련 스팸 주의 당부도 운전중 휴대전화 사용의 폐해는 너무나 잘 알려져 있다. 그렇지만 최근 한 조사에…

“배달 비용은 어느 정도가 적당할까”
등록자 NEWS
등록일 03.31

한국 “배달 비용은 어느 정도가 적당할까” 음식 배달산업계에서 빼놓을 수 없는 분야가 요즘은 바로 배달이다. 그런데 소비자들은 배달 비용을 어느 정도 줘야 할지에 대해 매번 의문을 가지…

버나비 경찰, 밀수담배 10만 달러 상당 압수
등록자 NEWS
등록일 03.31

커뮤니티 버나비 경찰, 밀수담배 10만 달러 상당 압수 써리의 주거지에서 적발…무기류와 탄약류 등도 오랜 기간 동안 흡연 감소를 위해 노력해온 BC. 그렇지만 여전히 흡연자들은 있기 마련이…

전기차 인센티브 더욱 확대 전망…충전소도
등록자 NEWS
등록일 03.31

캐나다 전기차 인센티브 더욱 확대 전망…충전소도 연방 정부, 2030년 배출가스 감축 공식 플랜 발표 정부가 드디어 탄소 감축 계획을 발표했다. 장기 플랜이 발표될 때마다 소비자들 외에 …

BC주 ‘연 5일 유급 병가제도’ 손 본다…
등록자 NEWS
등록일 04.01

커뮤니티 BC주 ‘연 5일 유급 병가제도’ 손 본다… 혼란이 된 ‘고용연도’를 ‘달력 연도’로 수정 표준화 단체협약으로 제외된 그룹도 포함토록 규정 손질 주 정부가 올해부터 시작되면서 일부…

BC주 ‘주택 구매자 보호기간’ 연내 제정 추진
등록자 NEWS
등록일 04.01

커뮤니티 BC주 ‘주택 구매자 보호기간’ 연내 제정 추진 BC부동산협회 설문조사, “냉각 기간 지지율 단지 35%...” BC주 정부가 부동산 소비자 보호를 위한 법률 제정에 속도를 내고 …

“신규 주택 착공 흐름 앞으로 줄어들수도…”
등록자 NEWS
등록일 04.01

부동산 “신규 주택 착공 흐름 앞으로 줄어들수도…” TD이코노믹스, “6개월 흐름 신규 건축 하락속도 반영” 캐나다 신규 주택 착공이 ‘숨 고르기’에 들어간 듯하다. 전반적으로 지난 2월…

“캐나다 이자율 매번 오르지만은 않을 수도…”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04.01

캐나다 “캐나다 이자율 매번 오르지만은 않을 수도…” 2022년은 연말까지 기준금리 분기마다 0.25%p 상승 전망 내년에는 ‘제자리 걸음’도…미국도 캐나다와 비슷한 흐름 “투자자들이 벌…

캐나다 노동시장 BC주 일자리 빠른 회복세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04.01

캐나다 캐나다 노동시장 BC주 일자리 빠른 회복세 전국 평균 급여 전년비 2.5% 급등…일자리 규모 비슷 주택시장 관련된 건축업계 일자리 꾸준한 상승곡선 전국적으로 노동자들의 임금이 크게…

캐나다 주택장만 여건 “우려되는 수준으로…”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04.01

부동산 캐나다 주택장만 여건 “우려되는 수준으로…” RBC이코노믹스, “31년래 최악의 수준까지”…49.4% 팬데믹 2년 동안 전국 집값 33.2% 급등…밴쿠버 28.4% “올해 캐나다 …

미분양 증가 속 주택 거래도 늘어나…
등록자 NEWS
등록일 04.06

한국 미분양 증가 속 주택 거래도 늘어나… 전국적으로 미분양도 늘어나고 기존 주택 거래도 증가하는 한 달을 보낸 것으로 평가됐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2월말 기준 전국의 미분양 주택이 …

노인, 저소득층 월 20불에 고속 인터넷 사용…
등록자 NEWS
등록일 04.06

캐나다 노인, 저소득층 월 20불에 고속 인터넷 사용… 정부, 2026년까지 인터넷 접근성 98%...2030년 100% 목표 전세계적으로도 비싸다고 알려져 있는 캐나다의 통신비용. 최근…

‘백신 카드’ 폐지…4차 부스터 샷 시행
등록자 NEWS
등록일 04.06

커뮤니티 ‘백신 카드’ 폐지…4차 부스터 샷 시행 백신 접종률 90%이상…이미 절반 이상 감염됐을 수도 주 정부가 ‘백신 카드’ 의무화를 해제하기로 했다. 게다가 매일 일상처럼 발표해오던 …

팬데믹 속, 교통 통행량 12%나 줄어
등록자 NEWS
등록일 04.07

한국 팬데믹 속, 교통 통행량 12%나 줄어 역시 코로나 19 팬데믹 속에서는 대도시마다 교통 통행량이 눈에 띄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2020년 대도시권의 광역…

‘스텔스 오미크론’ 등장에 팬데믹 재진입 우려도
등록자 NEWS
등록일 04.07

커뮤니티 ‘스텔스 오미크론’ 등장에 팬데믹 재진입 우려도 ‘암 투병’ 존 호건 수상 코로나 19 확진 판정…증상 경미 BC주 존 호건 수상이 최근 코로나 19 확진 판정을 받았다. 증상은 …

캐나다 다수 “팬데믹 지나갔다”면서도…
등록자 NEWS
등록일 04.07

캐나다 캐나다 다수 “팬데믹 지나갔다”면서도… 절반 정도는 “코로나 19 관련 규제 해제에 우려” 표명 정부의 각종 규제 해제는 주민들에게 팬데믹이 거의 끝나가고 있음을 시사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