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News
분류 캐나다

지속적 물가상승…식생활 질적 저하 우려

작성자 정보

  • 작성자 NEWS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지속적 물가상승…식생활 질적 저하 우려
캐나다인 절반, 저렴한 브랜드 교체…35% 육류 줄여


지속된 소비자 물가 인상이 쇼핑 패턴마저 바꿔나가고 있다. 물가 상승률에 큰 변화가 없을 경우 서민들의 식생활이 질적 측면에서 크게 후퇴할 수도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앵거스 라이드(angusreid.org) 최근 조사에 따르면 물가가 오르면서 캐나다인 5명 가운데 4명이 식품 구매 방식에 변화를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캐나다인 일반 가정의 예산에 크게 변화를 줄만큼 지속적 물가 인상의 타격이 큰 탓이다.
가장 주목할 부분은 5명 가운데 3명(62%)이 외식을 덜 한다는 점. ¼은 주류 섭취를 줄였다. 물론 식료품점에서 구매하는 상품에도 변화가 생기고 있다. 예를 들어 주민 거의 절반인 46%는 이전보다 저렴한 브랜드로 바꾸고 있다. 35%는 육류 구매를 줄이고 5명중 1명은 신선 채소와 과일마저 구매를 줄이고 있다. 이밖에 무료로 식품을 나눠주는 푸드 뱅크(food bank)를 이용한다는 응답자도 4%나 된다.
이 보고서는 “인플레이션이 유일한 요소는 아니다. 캐나다의 공급 관리 또한 식품 가격을 밀어 올리고 있다. 예를 들어 낙농가의 경우에는 우유와 버터 가격 변화가 2월 1일부터 시작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캐나다인 다수인 68%는 이 같은 공급 관리 방식을 지지하고 있다. 그리고 40%는 비록 식품 가격이 오르더라도 공급 관리 체계는 그대로 유지돼야 한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도표=앵거스 라이드 제공>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목록
Total 974 / 11 Page
RSS
캐나다 인플레이션 주요 동력은 어디…
등록자 NEWS
등록일 02.02

캐나다 캐나다 인플레이션 주요 동력은 어디… 뜨거운 주택시장에 의한 주거비, 자동차, 원가 비용 요즘 캐나다 인플레이션이 서민 가정에 큰 부담을 주고 있다. 이 가운데 RBC이코노믹스는 …

“이자율 상승에 가정마다 빚 갚으려 예산 위축”
등록자 NEWS
등록일 04.21

캐나다 “이자율 상승에 가정마다 빚 갚으려 예산 위축” 변동금리 고객, 미지급 모지기 고객의 거의 30% 차지해 “고정금리 고객도 올해 갱신이라면 0.75%p 오를 수도” 캐나다 중앙은행…

연방 예산이 공급망을 고칠 것이라 공약하지만 전문가들은 충분치 않다고 평가
등록자 michael
등록일 04.15

캐나다 연방정부는 공급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5억 달러 이상을 지출할 계획이지만, 전문가들은 이것이 오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포괄적인 전략에는 크게 못 미칠 것이라고 주장했다. 지난 …

캐나다인 ‘구매력’ 하락…물가 4.8 상승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01.21

캐나다 캐나다인 ‘구매력’ 하락…물가 4.8% 상승 같은 기간 임금 상승률 2.6%보다 훨씬 높은 물가 압박 개스값 제외해도 4% 올라…한 달 전 4.7%보다 더 위로 우려 섞인 예상대로…

캐나다 변두리 지역 비즈니스 도전 과제는
등록자 NEWS
등록일 06.24

캐나다 직원 채용, 공급망 확보, 에너지 가격 부담 사업체 5곳중 2곳 “3개월내 가격 인상을” 해외로 진출한 이민자들의 도전정신. 성공하려면 변두리 지역 정착과 사업 도전도 마다하지 않…

加 팬데믹 기간중 임금 상승에 ‘분열 현상’
등록자 KREW
등록일 06.10

캐나다 숙박/식품 분야, 인플레이션 CPI보다 후퇴하는 모습 전문직, 과학/기술 서비스 분야는 인플레이션 초과 “전년대비 임금 상승률로는 전체 양상을 알 수 없다” 캐나다 임금은 팬데믹 …

전기차 인센티브 더욱 확대 전망…충전소도
등록자 NEWS
등록일 03.31

캐나다 전기차 인센티브 더욱 확대 전망…충전소도 연방 정부, 2030년 배출가스 감축 공식 플랜 발표 정부가 드디어 탄소 감축 계획을 발표했다. 장기 플랜이 발표될 때마다 소비자들 외에 …

지속적 물가상승…식생활 질적 저하 우려
등록자 NEWS
등록일 02.24

캐나다 지속적 물가상승…식생활 질적 저하 우려 캐나다인 절반, 저렴한 브랜드 교체…35% 육류 줄여 지속된 소비자 물가 인상이 쇼핑 패턴마저 바꿔나가고 있다. 물가 상승률에 큰 변화가 없…

캐나다 ‘빠른 부채 증가’에도 성장은 뒤쳐져
등록자 NEWS
등록일 06.22

캐나다 캐나다 ‘빠른 부채 증가’에도 성장은 뒤쳐져 GDP 대비 부채 비율 2019년 87%에서 2021년 112%로 전세계 대다수 국가들은 팬데믹 기간중 국가 부채가 늘어났다. 그런데 …

배달앱 수수료 20% 제한 영구화 법안 통과
등록자 NEWS
등록일 12.30

캐나다 음식배달 중개 플랫폼 스킵더디시, 도어대시, 우버이츠 등이 식당에 청구하는 수수료를 제한하는 법안이 30일 의회를 통과, 새해부터 적용된다. 펜데믹 이전 배달 기업들은 주문한 음식…

캐나다 올해 경제 성장 “이상 없을까”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03.11

캐나다 캐나다 올해 경제 성장 “이상 없을까” 작년 연말 실질 성장률 0%...올해 전망에 ‘찬물’ 붓나 이전 6개월 연속 성장세 멈춰…1월 예비조사 0.2%로 캐나다 경제는 오미크론 변…

캐나다 변종 바이러스 확산에 스몰 기업들 ‘단기 확신’ 타격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01.07

캐나다 캐나다 변종 바이러스 확산에 스몰 기업들 ‘단기 확신’ 타격 “최근 3개월간 두드러진 하락…소매상점 분야 커” 기업, 가격인상 의지 커져…11월 4.3%에서 4.6%로 최근의 변종…

ICBC “110달러 반환금, 이달 말까지 처리”
등록자 NEWS
등록일 07.25

캐나다 현재까지 86만 명 처리 완료… 아직 246만 명 남아 BC주 보험공사(ICBC)가 오는 7월 말까지 보험 반환금을 운전자들에게 지급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앞서 BC주정부와 보험공…

캐나다 동부 개인소득, 타주와 격차 더 커져
등록자 NEWS
등록일 06.10

캐나다 “타주와 개인소득 1만 1천불 차이…90년대로 후퇴” 캐나다 경제는 서부가 전국을 이끄는 ‘서고동저’ 현상을 보여왔다. 팬데믹 중 이 같은 패턴에 조금 변화가 보이기도 했지만 여전…

캐나다인 “RRSP 더 많이”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03.04

캐나다 캐나다인 “RRSP 더 많이” BMO 평가, 기여금액 6822달러로 47%나 증가 전국, 평균 보유금액 14만불…BC주민 16만불 캐나다 팬데믹의 가장 큰 특징이라면 급증한 가계 …

해외여행 복귀 학생 등 ‘마스크 착용’…
등록자 NEWS
등록일 03.30

캐나다 해외여행 복귀 학생 등 ‘마스크 착용’… 4월 1일부터 여행자 ‘입국전 테스트’ 필요없어 BC주 초 중 고등학교가 모두 봄방학을 끝내고 복귀했다. 그런데 비록 팬데믹 관련 규제가 …

캐나다인 긍정 평가 국가는 UK, 독일, 이탈리아 순
등록자 NEWS
등록일 01.11

캐나다 캐나다인 긍정 평가 국가는 UK, 독일, 이탈리아 순 한국 55%, 미국 50%, 멕시코 45%...중국, 이란 북한은 낮아 세월이 흐를수록 호감도에는 변화가 생기기 마련이다. 국…

좀더 많은 캐나다 기업들 ‘가격 인상’ 고려해
등록자 NEWS
등록일 03.03

캐나다 좀더 많은 캐나다 기업들 ‘가격 인상’ 고려해 숙박/식품업계 56.7%, 제조업 55.7%, 도매 52.8%, 소매 51.7% 등 최근 캐나다 기업들은 다채로운 당면과제를 안고 있…

신규 이민자, 일자리도 팬데믹 이전수준 회복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01.14

캐나다 신규 이민자, 일자리도 팬데믹 이전수준 회복 전국 일자리 0.3% 증가…풀타임, 핵심연령에서 상승곡선 캐나다 노동시장이 회복되고 있다. 특히 다행스러운 점은 알짜배기 회복을 보여주…

연방 정부 ‘적자 재정’ 계속…BC주 50억불 지원
등록자 NEWS
등록일 12.15

캐나다 연방 정부 ‘적자 재정’ 계속…BC주 50억불 지원 코로나 19 팬데믹 지원, 취약 주민, 비즈니스, 차일드케어 지원 연방 정부가 한동안 적자 재정을 이어갈 전망이다. 다행스러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