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News
분류 캐나다

전국 수상들 코로나19 대응 점수 “대체로 하락”

작성자 정보

  • 작성자 NEWS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전국 수상들 코로나19 대응 점수 “대체로 하락”
노바 스코샤, 서스캐처원, 앨버타 등 지지도는 올라


팬데믹에 대응하는 전국 각 주 수상에 대한 인지도에 변화가 생겼다. 그동안 높은 호응도를 보였던 BC주 존 호건 수상이 3위로 밀리고 온타리오의 더그 포드 수상은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전반적으로 지지도가 이전보다 낮아진 곳이 많아 지역 주민들의 각종 규제에 대한 참을성 한계를 보여주고 있다.
앵거스 라이드(angusreid.org)에 따르면 팬데믹에 대처하는 각 주 수상에 대한 지지도에서 노바 스코샤의 휴스턴 수상은 이전보다 2%p가 올랐을 뿐만 아니라 57%로 전체 1위를 차지했다. 이전보다 지지도가 오른 곳으로는 앨버타의 제이슨 케니 수상도 있다. 비록 4%p가 오른 26%를 기록했지만 여전히 전국에서는 매니토바 다음으로 하위권을 달리고 있다.
비록 퀘벡의 레갈트 수상은 지지율이 비록 1%p 하락했지만 55%로 2위를 차지했다. 전국적으로 신규 확진자 발생 규모가 큰 온타리오의 더그 포드 수상의 30%(-6%p)와 비교되는 부분이다. 퀘벡은 온타리와 마찬가지로 신규 확진자 급증으로 팬데믹 상황이 악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BC주 존 호건 수상의 지지도는 이전보다 2%p 떨어진 54%로 3위를 기록했다. 그렇지만 그의 지지도는 지난 5월에는 한 때 71%를, 이후에도 꾸준하게 69%~63%로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그렇지만 10월 56%를 기록하면서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이 보고서는 “주 정부의 백신정책이나 테스트에 대한 긍정적 반응에도 불구하고 서스캐처원 주민들은 스코트 모 수상에 대해서 비관적 입장을 보이고 있다. 5명 가운데 2명 미만(37%)이 코로나 19를 잘 관리하고 있다는 반응을 보였다”고 평가했다. 매니토바의 헤더 스티판슨 수상은 전국에서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다. 21%를 기록, 전국 10개 주에서 최하위를 기록했다. <사진= angusreid.org 제공>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2,801 / 76 Page
RSS
“BC주민, 휴대폰 스팸 전화 더 늘어난 듯”
등록자 NEWS
등록일 01.27

커뮤니티 “BC주민, 휴대폰 스팸 전화 더 늘어난 듯” 주민 절반 이상…2019년 9월 조사보다 15%p 더 늘어 연방 정부의 ‘전화 스팸’ 대응조치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다. 그런데 오…

캐나다 팬데믹 저축액 다수 부유층이 보유
등록자 NEWS
등록일 01.27

부동산 캐나다 팬데믹 저축액 다수 부유층이 보유 전국 가정 389억불 저축…평균 2462불, 상위권 1만 4천불 팬데믹 기간중 캐나다 금융계에서 가장 큰 변화라면 저축 증가이다. 특히 고…

투기세 및 빈집세 어디에서 제일 많이 냈나…
등록자 NEWS
등록일 01.26

부동산 투기세 및 빈집세 어디에서 제일 많이 냈나… 밴쿠버, 리치먼드, 버나비, 코퀴틀람, 웨밴 등의 순 BC주에서는 투기세와 빈집세가 순차적으로 시행됐다. 과열되는 주택시장을 진정시키기…

‘묻지마 폭행’ 하루 평균 4건 이상씩 발생
등록자 NEWS
등록일 01.26

커뮤니티 ‘묻지마 폭행’ 하루 평균 4건 이상씩 발생 커피숍서 25세 남성 칼 찔려…20대 여성 폭행당해 ‘묻지마 폭행’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한인들도 일상생활 속에서도 한번쯤 …

항공기 이용자 ‘반짝 반등’ 한 해로 ‘희망’
등록자 NEWS
등록일 01.26

한국 항공기 이용자 ‘반짝 반등’ 한 해로 ‘희망’ 항공여행 고객들이 꿈틀거린 한 해였다. 팬데믹이 시작된 2020년 곤두박질한 항공업계가 2021년에는 다시 반등할 수 있다는 기대감을…

코로나 19 속 평균 수명 ‘반 년’ 이상 줄어
등록자 NEWS
등록일 01.25

캐나다 코로나 19 속 평균 수명 ‘반 년’ 이상 줄어 평균 81.7세…남성 0.7년 줄어, 여성 0.4년 감소 최근 BC주 정부는 ‘백신카드’ 제도를 올 여름까지 연장하기로 했다. 그만…

BC 입원환자 1000명…액티브 케이스 ‘감소’
등록자 NEWS
등록일 01.25

커뮤니티 BC 입원환자 1000명…액티브 케이스 ‘감소’ 글로벌 팬데믹이 ‘엔데믹’으로 변한다지만 여전히 BC주 환자 수는 상승곡선을 보이고 있다. 이 가운데 최근 입원 환자가 1000명에…

전국 토지 거래 줄어도 값은 또 올라
등록자 NEWS
등록일 01.25

한국 전국 토지 거래 줄어도 값은 또 올라 올해도 전국적으로 토지 거래는 줄었지만 가격은 늘어난 한 해였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2021년 4분기 전국 지가는 1.03% 상승하여 3분기…

캐나다 주택시장 “2022년에도 뜨거울 것”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01.21

캐나다 캐나다 주택시장 “2022년에도 뜨거울 것” 연간 66만채 거래, 전년비 20%...10년 평균 30% 많아 역사적으로 낮은 인벤토리…3곳중 2곳 셀러스 마켓 전국 물량 1.6개월…

캐나다 이민자 “재산 창출 자산 덜 소유해”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01.21

캐나다 캐나다 이민자 “재산 창출 자산 덜 소유해” 외견상 소수민족, 투자이익도 적어…한국계 3위 아랍계와 서아시아계가 1, 2위…일본계 4위 기록 전세계적으로 빈부격차는 더 이상 남의 …

캐나다인 ‘구매력’ 하락…물가 4.8 상승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01.21

캐나다 캐나다인 ‘구매력’ 하락…물가 4.8% 상승 같은 기간 임금 상승률 2.6%보다 훨씬 높은 물가 압박 개스값 제외해도 4% 올라…한 달 전 4.7%보다 더 위로 우려 섞인 예상대로…

신규 부동산 물량의 다수 투자자들이 사들여
등록자 NEWS
등록일 01.20

부동산 신규 부동산 물량의 다수 투자자들이 사들여 베터 드웰링, 토론토 39%, 밴쿠버 44%...ON 3채중 1채 최근 시장은 ‘인벤토리 부족’에 허덕이고 있다. 자연히 다양한 개발업체…

“주택 착공, 단기간엔 팬데믹 전보다 높아…”
등록자 NEWS
등록일 01.20

부동산 “주택 착공, 단기간엔 팬데믹 전보다 높아…” 전국적으로 신규 주택 착공이 최근 조금 줄어든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렇지만 여전히 강함을 유지하고 있고 단기적으로는 팬데믹 이전 …

캐나다 대도시보다 전원지역 주민 큰 증가
등록자 NEWS
등록일 01.20

부동산 캐나다 대도시보다 전원지역 주민 큰 증가 BC주와 밴쿠버14세 이하가 65세 이상보다 적어 전국적으로 인구 성장률은 둔해졌지만 꾸준하게 늘었다. 그런데 캐나다 대도시 주민들보다는 …

밴쿠버 렌트비 ‘급등’…서민가정 큰 ‘부담’
등록자 NEWS
등록일 01.19

캐나다 밴쿠버 렌트비 ‘급등’…서민가정 큰 ‘부담’ 렌탈스 집계, 전국 4회 연속 상승…연 상승률 3.8% 밴쿠버, 토론토 전국 1, 2위 수준…9~13% 범위 올라 부동산 가격이 오르면…

전국 수상들 코로나19 대응 점수 “대체로 하락”
등록자 NEWS
등록일 01.19

캐나다 전국 수상들 코로나19 대응 점수 “대체로 하락” 노바 스코샤, 서스캐처원, 앨버타 등 지지도는 올라 팬데믹에 대응하는 전국 각 주 수상에 대한 인지도에 변화가 생겼다. 그동안 높…

대도시 주민의 만성질환 높은 비중은…
등록자 NEWS
등록일 01.19

한국 대도시 주민의 만성질환 높은 비중은… 20대 하루 1외 이상 외식하는 비중 가장 많아 식생활은 질병과 큰 상관관계를 보여준다. 최근 서울연구원이 서울시민의 만성질환 실태를 분석한 …

BC주 체육관 개방해도 규제조치 연장해
등록자 NEWS
등록일 01.18

커뮤니티 BC주 체육관 개방해도 규제조치 연장해 누적 확진자 30만 넘고…병원 입원환자 1000명 육박 입원 환자들이 지속적으로 늘어나면서 주 정부가 규제를 다시 연장하기로 했다. 다만 체…

BC주, 관광업계 구호기금 접수 시작
등록자 NEWS
등록일 01.18

커뮤니티 BC주, 관광업계 구호기금 접수 시작 호텔과 상업용 레크리에이션 사업체 등 대상 BC주의 팬데믹 관련 규제 조치가 한동안 연장될 전망이다. 최근 주 정부는 호텔과 상업용 레크리에이…

한국행 캐나다, 미국 승객 확진자 최근 급증
등록자 NEWS
등록일 01.18

한국 한국행 캐나다, 미국 승객 확진자 최근 급증 해외유입 누적집계로 아시아 다음으로 미주지역 한국으로 입국하는 해외 코로나19 확진자가 최근 미주지역에서 빠르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