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News
분류 캐나다

캐나다 모기지 트렌드

작성자 정보

  • 작성자 부동산밴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캐나다 모기지 트렌드

CMHC, “미보험 모기지 성장률, 보험모기지 앞질러”
2021년 2/4분기 주거용 대출의 75%는 미보험으로
모기지 대출평균 27만불…미지불 모기지 24만불대

캐나다 모기지 트렌드를 알 수 있는 ‘모기지 데이터’가 최근 나왔다. 최신 보고서에서는 미보험 및 모험 가입 모기지 데이터가 비교, 눈길을 끌고 있다.

캐나다 모기지주택공사(CMHC)의 조사에 따르면 최근에는 미보험 모기지 성장세가 보험가입된 모기지 증가율을 앞지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여러 가지 요인 가운데 주택 가격의 빠른 상승세도 여기에 한 몫을 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여기서 짚어볼 부분은 바로 모기지 대출 보험이다. 모기지보험은 다운페이먼트가 구매가격의 20%미만일 때 필요하다. 이로써 구매가격의 최대 95%까지 모기지 대출이 가능한 것. 바이어들에게 합리적 이자율을 보장하는 혜택도 있다. 구체적으로 만약 주택 가격이 50만 달러 미만이라면 최소 다운페이먼트 5%가 필요하다.

집값이 50만 달러 이상이라면 50만 달러의 5%와 나머지 주택 가격의 10%가 필요하게 된다. 그런데 집값이 100만 달러를 넘는다면 모기지대출 보험이 가능하지 않다. 대출기관들은 모기지대출 보험에 보험프리미엄을 지불하기도 한다. 대출 고객들이 페이먼트를 할 수 없어 디폴트를 선언하는 경우를 대비하는 것으로 홈바이어들에게 전가되는 방식이다.

조사 결과를 보면, 시중은행들은 올해 2/4분기에 49만 3000여 건의 모기지, 1677억 달러어치를 발행했다. 그런데 이중 75%는 미보험 모기지였다. 미보험 신규 모기지의 경우에는 규모 측면에서 20%, 가치측면에서는 전년대비 무려 53%나 늘었다. 결과적으로 주거용 모기지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늘어나고 있다.

부동산 구매를 위한 미보험 모기지 발행이 지난 2020년 2분기보다 두 배나 늘어났다. 미보험 모기지 성장률이 여전히 보험가입 모기지 성장률을 앞선다는 것. 이 보고서는 “이 같은 트렌드는 다양한 변화에서 비롯된다. 여기에는 규정변화에 대한 적응도 있다. 즉 100만 달러 이상에 대한 미보험 정책이다. 또 집값이 빠르게 상승하면서 경제 조건과 최근 변화를 포기하는 것도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하이 레이시오(High Ratio) 모기지 보험은 -6.7%, 컨벤셔널 모기지 보험은 -14.7%로 올해 상반기 감소했다.

일반적 모기지 통계를 보면, 평균 대출 금액은 27만 5770여 달러였다. 미지불 모기지의 평균 금액은 24만 720여 달러 수준이다. 미지불 대출 건수는 700만 건에 이른다. 올해 1분기를 기준, 모기지 대출 기관을 보면, 시중은행(Chartered Bank)이 71.2%로 가장 많았고 신용조합이 14.67%, MIE가 8.31% 등의 순이다. 이 같은 비중 차이는 지난 2020년 1분기와 비교할 때도 큰 변화는 없다. 다만 시중은행의 비중이 당시 72.56%에서 올해 71.2%로 조금 줄었다는 것.

덧붙여 올해 1분기를 기준, 시중은행이 연장한 미지불 주거용 모기지(Outstanding Residential Mortgages)의 35%는 보험에 가입됐다. 지난 2012년에는 그 비중이 60%를 넘었었다. 비은행권 대출기관이 보유한 보험가입 모기지 부채도의 비중도 줄었다. 지난 2020년 1분기 41%에서 올해 39%가 됐다.

일반적으로 미보험 모기지의 금액이 보험가입 모기지보다는 높은 편이다. 올해 2분기를 기준, 보험가입 모기지의 75%는 50만 달러 미만이었다. 비보험 모기지의 28.9%는 대출 금액이 50만 1달러~100만 달러 수준이다. 이 금액대 보험가입 모기지의 비중은 14.6%로 적었다.

이 보고서는 “주택 가격이 치솟으면서 주택가치 대비 대출 비율이 새로운 미보험가입 모기지의 경우에 커지고 있다. 그렇다고 보험가입 모기지에게도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니다. 2020-2021회계연도의 경우 시중은행들은 보험가입 모기지를 발행할 때 지난해보다 지분을 많이 가져간 편으로 나타났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2,783 / 60 Page
RSS
BC주 홍수로 2주간 ‘비상사태’ 선언까지…
등록자 NEWS
등록일 11.17

커뮤니티 BC주 홍수로 2주간 ‘비상사태’ 선언까지… 정부, 식량, 의류 등 생필품 가격확정 및 배급 권한도 주 정부가 ‘비상사태(State of Emergency)’를 긴급하게 선언했다.…

캐나다 북부, 준주 가구당 소득 타 주보다 높아
등록자 NEWS
등록일 11.18

캐나다 캐나다 북부, 준주 가구당 소득 타 주보다 높아 10명중 1명 이상이 저소득층…10개 주는 평균 12.1% 캐나다 대다수 주민들은 10개 주에 거주하고 있다. 그것도 캐나다의 남부…

물가 상승률 18년래 최고치…4.7로 더 올라
등록자 NEWS
등록일 11.18

캐나다 물가 상승률 18년래 최고치…4.7%로 더 올라 개스 등 연료가격 48%, 천연가스 18%, 냉동육 14% 등등 물가 상승률이 또 다시 심상치 않은 흐름을 보이고 있다. 전국적으로…

팬데믹 중에서도 ‘코로나 19 사기’ 극성…
등록자 NEWS
등록일 11.18

캐나다 팬데믹 중에서도 ‘코로나 19 사기’ 극성… 방송통신위, 통신사가 비사기성 전화 확인토록 추진 캐나다 사기 피해금액 1억 6300만 달러로 더 늘어나 팬데믹 속에서도 신용사기 스캠…

“홈바이어들, 기존 인벤토리 더 깊게 파고들어”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11.19

부동산 “홈바이어들, 기존 인벤토리 더 깊게 파고들어” 신규 리스팅 전월비 3.2% 증가에도 거래량 전월비 8.6% 급등 홈바이어 판돈 올려…집값 상승세 2.7%로 7개월래 빠른 수준 “…

캐나다 고소득층 소득 “많을수록 더 빨리 늘어…”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11.19

캐나다 캐나다 고소득층 소득 “많을수록 더 빨리 늘어…” 평균 소득 증가율 0.7%...상위 1%는 1.8% 속도 상위 0.1% 그룹은 5.5%...상위 0.01%는 13.9% 상위 1%…

캐나다 주택시장 거래량 “작년 실적 이미 갈아치워”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11.19

캐나다 캐나다 주택시장 거래량 “작년 실적 이미 갈아치워” 신규 리스팅 3.2% 증가에 세일즈는 8.6%나 상승해 시장 매물 역대 최저 수준…”집값 재가속 모드 전환” “현행 월 거래실적…

글로벌 웹툰 시장 팬데믹에도 상승곡선
등록자 NEWS
등록일 11.23

한국 글로벌 웹툰 시장 팬데믹에도 상승곡선 2013년후 꾸준…만화중 웹툰 2022년에 18%로 바야흐로 디지털 경제시대가 활개를 펼치고 있다. 이 가운데 주목 받는 게 바로 웹툰이다. …

폭우 후폭풍…로히드 하이웨이 7 도로체증 커
등록자 NEWS
등록일 11.23

커뮤니티 폭우 후폭풍…로히드 하이웨이 7 도로체증 커 하이웨이 1, 3, 5, 99 등 주요 피해구간 복구 아직은… 주 정부, 개스 배급제 유지…워싱턴 통해 확보노력 BC주에 여행제한과 연…

BC주, 홍수 피난 가정에 2000달러 등 제공
등록자 NEWS
등록일 11.23

커뮤니티 BC주, 홍수 피난 가정에 2000달러 등 제공 재난 금융지원 프로그램 별도…홈오너, 스몰 비즈니스 등 주 정부가 최근 폭우와 홍수 피해를 당한 주민들 지원에 나서기로 했다. 이 …

한옥의 아름다움을 잘 표현한 건물은…
등록자 NEWS
등록일 11.24

한국 한옥의 아름다움을 잘 표현한 건물은… 전세계적으로 한옥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이 가운데 해마다 한옥의 아름다움을 빛낼 건물들이 선정되고 있다. 올해의 한옥대상으로는 하동한옥…

가상화폐, 로맨틱 사기 행각 ‘활발’ 주의
등록자 NEWS
등록일 11.24

커뮤니티 가상화폐, 로맨틱 사기 행각 ‘활발’ 주의 리치먼드 RCMP, 최근 10일간 5건…올해 71건 조사 “소셜미디어, 데이트 앱 이용, 친구로 위장 투자유도” 각종 사기행각에는 사실 …

BC, 어린이 511세 백신 접종 추진 박차
등록자 NEWS
등록일 11.24

커뮤니티 BC, 어린이 5~11세 백신 접종 추진 박차 연방 정부, 290만 회 접종분을 이미 주문해 캐나다 보건당국의 어린이용 코로나 19 백신 사용이 승인되면서 학부모들의 움직임도 바빠…

밴쿠버, 전국 주요 도시중 유일하게 착공 늘어
등록자 NEWS
등록일 11.24

캐나다 밴쿠버, 전국 주요 도시중 유일하게 착공 늘어 모기지주택공사, “전월비 다세대주택 증가가 그 원인” 캐나다 전국적으로 신규 주택 착공이 하락곡선을 이어가고 있다. 전국 10개 주 …

캐나다인 해외여행 급등세…팬데믹 전보다 ‘미미’
등록자 NEWS
등록일 11.25

캐나다 캐나다인 해외여행 급등세…팬데믹 전보다 ‘미미’ 해외 여행자도 급등…미국인 국내 여행자 전년비 4배나 백신 접종 확대로 팬데믹 상황이 조금씩 진정세를 보이는 가운데 해외여행을 떠나…

BC주, 전국 첫 ‘유급병가 휴가 5일’ 법제화
등록자 NEWS
등록일 11.25

커뮤니티 BC주, 전국 첫 ‘유급병가 휴가 5일’ 법제화 내년 1월부터…BC고용기준법 대상, 파트타임 포함도 BC주에서도 노동자들의 유급 병가 휴가가 법적으로 보장될 전망이다. 노조에 가입…

“스몰 기업, 전망 밝지만 팬데믹 후 새 도전 과제도…”
등록자 NEWS
등록일 11.25

캐나다 “스몰 기업, 전망 밝지만 팬데믹 후 새 도전 과제도…” 20명 미만 사업장 일자리, 팬데믹 이전 수준 벌써 웃돌아 스몰기업들이 팬데믹 규제가 조금씩 완화되면서 숨통이 트이는 듯하…

최신 이민자 홈오너 비중 ‘뚝’…전국은 73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11.26

캐나다 최신 이민자 홈오너 비중 ‘뚝’…전국은 73% 중국계 85%, 남아시아계 74%...흑인 인구는 48% 등 노인 렌트 거주민들 감당할 수 없는 주거비 비중 커 캐나다 주택 시장 분…

캐나다 물가 상승세 “2022년초까지 이어져…”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11.26

캐나다 캐나다 물가 상승세 “2022년초까지 이어져…” “현재 캐나다 물가 팬데믹 이전 수준을 넘은 상태” RBC이코노믹스, “치솟은 주거비용 제외하더라도” 캐나다의 가파른 물가 상승세는…

캐나다 모기지 트렌드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11.26

캐나다 캐나다 모기지 트렌드 CMHC, “미보험 모기지 성장률, 보험모기지 앞질러” 2021년 2/4분기 주거용 대출의 75%는 미보험으로 모기지 대출평균 27만불…미지불 모기지 24만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