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News
분류 캐나다

밴쿠버, 전국 주요 도시중 유일하게 착공 늘어

작성자 정보

  • 작성자 NEWS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밴쿠버, 전국 주요 도시중 유일하게 착공 늘어
모기지주택공사, “전월비 다세대주택 증가가 그 원인”



캐나다 전국적으로 신규 주택 착공이 하락곡선을 이어가고 있다. 전국 10개 주 가운데 5곳에서 하락세다.
캐나다 모기지주택공사(CMHC)에 따르면 최신(10월) 데이터를 기준, 월 착공량은 연간 실적으로 볼 때 26만 4264유닛 수준이다. 지난 9월 27만 661유닛 수준보다 줄었다. 그렇지만 이는 6개월간의 평균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는 분석이다. 밥 두간 수석 경제학자는 “주택 착공의 6개월간 흐름은 9월에서 10월 사이 줄었다. 전체 착공 규모가 2021년 초반보다는 후퇴한 것이다”면서 “도시에서 착공 실적을 연간 수정 데이터로 보면(SAAR), 단독주택 분야의 약 상승세가 다세대 주택 하락세를 꺾지는 못했다. 결과적으로 전반적인 하락세를 낳은 것. 월간 트렌드를 볼 때, 캐나다 주택 착공은 역사적 시점에서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밴쿠버, 토론토, 몬트리올 가운데 밴쿠버는 전체 10월 주택 착공(SAAR)에서 유일하게 성장세를 보였다. 한 달 전과 비교할 때 다세대 주택 분야가 늘어난 탓이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 TD이코노믹스는 “캐나다의 주택 착공은 전월대비 5.3% 줄었지만 여전히 건강한 수준의 23만 6000여 채 수준이다. 다만 6개월간 평균은 6400여 유닛이 줄어든 26만 4300여 유닛이다”고 평가했다. 도시 지역에서는 다세대 주택 착공이 전월대비 5.3% 줄어든 15만 6800유닛으로 나타났다. 반면 도시 단독주택 착공은 전월비 1%p 늘어난 5만 8000여 유닛이다. 지역 별로 볼 때, 하락세는 전국 10개 주 절반에서 나타나고 있다. 온타리오에서 착공은 최강의 상태였던 9월보다 1만 7000여 유닛이 줄었다. 퀘벡에서는 3500여 유닛이 감소한 5만 8600여 유닛을, 매니토바는 4400여 유닛이 감소한 5500여 유닛을, 서스캐처원은 3900여 유닛이 감소, 2800여 유닛을 보였다. 다만 BC주에서는 이전보다 100여 유닛이 감소한 3만 5900여 유닛으로 하락폭이 적었다.
반면, 앨버타에서는 무려 9200여 유닛이 증가, 3만 5400유닛을 기록했다. 캐나다 동부의 애틀랜틱 지역은 6400여 유닛이 늘어난 1만 5400유닛을 기록했다. 
이 보고서는 “장기적으로 주택 착공은 강한 수요와 높은 가격에 힘을 받게 된다. 덧붙여 신규 주택시장은 매우 빠듯하다. 미분양 물량이 적은 것. 따라서 인구 증가율은 앞으로도 착공 수준을 높게 이끌어 나갈 것이다”고 분석했다. <사진=CMHC 제공>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목록
Total 974 / 19 Page
RSS
“스몰 기업, 전망 밝지만 팬데믹 후 새 도전 과제도…”
등록자 NEWS
등록일 11.25

캐나다 “스몰 기업, 전망 밝지만 팬데믹 후 새 도전 과제도…” 20명 미만 사업장 일자리, 팬데믹 이전 수준 벌써 웃돌아 스몰기업들이 팬데믹 규제가 조금씩 완화되면서 숨통이 트이는 듯하…

캐나다인 해외여행 급등세…팬데믹 전보다 ‘미미’
등록자 NEWS
등록일 11.25

캐나다 캐나다인 해외여행 급등세…팬데믹 전보다 ‘미미’ 해외 여행자도 급등…미국인 국내 여행자 전년비 4배나 백신 접종 확대로 팬데믹 상황이 조금씩 진정세를 보이는 가운데 해외여행을 떠나…

밴쿠버, 전국 주요 도시중 유일하게 착공 늘어
등록자 NEWS
등록일 11.24

캐나다 밴쿠버, 전국 주요 도시중 유일하게 착공 늘어 모기지주택공사, “전월비 다세대주택 증가가 그 원인” 캐나다 전국적으로 신규 주택 착공이 하락곡선을 이어가고 있다. 전국 10개 주 …

캐나다 주택시장 거래량 “작년 실적 이미 갈아치워”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11.19

캐나다 캐나다 주택시장 거래량 “작년 실적 이미 갈아치워” 신규 리스팅 3.2% 증가에 세일즈는 8.6%나 상승해 시장 매물 역대 최저 수준…”집값 재가속 모드 전환” “현행 월 거래실적…

캐나다 고소득층 소득 “많을수록 더 빨리 늘어…”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11.19

캐나다 캐나다 고소득층 소득 “많을수록 더 빨리 늘어…” 평균 소득 증가율 0.7%...상위 1%는 1.8% 속도 상위 0.1% 그룹은 5.5%...상위 0.01%는 13.9% 상위 1%…

팬데믹 중에서도 ‘코로나 19 사기’ 극성…
등록자 NEWS
등록일 11.18

캐나다 팬데믹 중에서도 ‘코로나 19 사기’ 극성… 방송통신위, 통신사가 비사기성 전화 확인토록 추진 캐나다 사기 피해금액 1억 6300만 달러로 더 늘어나 팬데믹 속에서도 신용사기 스캠…

물가 상승률 18년래 최고치…4.7로 더 올라
등록자 NEWS
등록일 11.18

캐나다 물가 상승률 18년래 최고치…4.7%로 더 올라 개스 등 연료가격 48%, 천연가스 18%, 냉동육 14% 등등 물가 상승률이 또 다시 심상치 않은 흐름을 보이고 있다. 전국적으로…

캐나다 북부, 준주 가구당 소득 타 주보다 높아
등록자 NEWS
등록일 11.18

캐나다 캐나다 북부, 준주 가구당 소득 타 주보다 높아 10명중 1명 이상이 저소득층…10개 주는 평균 12.1% 캐나다 대다수 주민들은 10개 주에 거주하고 있다. 그것도 캐나다의 남부…

‘백신 미접종’ 의료진 해고…각주 마다 차이
등록자 NEWS
등록일 11.17

캐나다 ‘백신 미접종’ 의료진 해고…각주 마다 차이 BC주에서 해고 찬성 76% 최다…SK 52%, MB 66% 등으로 온타리오도 71%, 퀘벡은 65%에 불과…앨버타 65% 등등 ‘백신…

BC주택시장 ‘냉각 기간’ 의미와 시장 파장은…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11.12

캐나다 BC주택시장 ‘냉각 기간’ 의미와 시장 파장은… BC부동산협, ‘모든 주택 거래에서 일정 기간내 철회 가능도” 정부, 블라인드 입찰, 무조건 오퍼의 위험, 인스펙션도 검토 주 정부…

캐나다 전국 6년치 공급 물량 ‘빈 집’…세계 5위
등록자 NEWS
등록일 11.11

캐나다 캐나다 전국 6년치 공급 물량 ‘빈 집’…세계 5위 캐나다 12채 가운데 1채…미국 글로벌 1위, 일본 2위 BC주민, 특히 밴쿠버 거주민이라면 ‘캐나다의 빈 집’ 현상에 대해서 …

“캐나다 식품 가격 인플레이션 끌어올려”
등록자 NEWS
등록일 11.11

캐나다 “캐나다 식품 가격 인플레이션 끌어올려” 높은 운송 비용, 에너지 값도 생산 비용 증가로 전년대비 육류 9.5%, 오일 18.5%, 조미료 9.6%등 요즘 인플레이션은 유독 캐나다…

연방 정부, ‘부스터 샷’ 모든 성인에 시행…
등록자 NEWS
등록일 11.10

캐나다 연방 정부, ‘부스터 샷’ 모든 성인에 시행… BC주, 백신 미접종 의료인 3017명 최종 집계해 10월 병원 입원 환자의 72%는 백신 미 접종자로 현재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진행…

캐나다 인플레이션 주택, 차량관련 ‘빠른 상승세’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11.05

캐나다 캐나다 인플레이션 주택, 차량관련 ‘빠른 상승세’ “에너지 값 상승에 산업별 투입재 가격 높아져” “많은 기업들, 인플레이션 BoC 예상치 웃돌 듯” 팬데믹이 아직 끝나지도 않았지…

캐나다 유제품 가격, 내년초 급등 예고
등록자 NEWS
등록일 11.04

캐나다 캐나다 유제품 가격, 내년초 급등 예고 평균 8.4% 전망…사료비 27%, 연료비 30% 등 영향 캐나다 유제품 가격이 내년 초부터 크게 오를 전망이다. 캐나다 낙농업 위원회가 농…

주급 상승세, 일자리 증가폭보다 더 빨라
등록자 NEWS
등록일 11.04

캐나다 주급 상승세, 일자리 증가폭보다 더 빨라 숙박, 식품 서비스 ‘주도’했지만 빈 일자리도 많아 전국적으로 유급 일자리가 늘어나고 있다. 게다가 평균 주급 상승률은 일자리 증가세를 앞…

BC 주민, 종교 없는 주민 비중(40) 최다
등록자 NEWS
등록일 11.03

캐나다 BC 주민, 종교 없는 주민 비중(40%) 최다 전국 인구 73% “종교 있어”…63% 기독교(카톨릭 32%) 캐나다의 종교 지형도가 크게 바뀌고 있다. 전국 주민 가운데 73.7…

부모 도움 받아 집장만하는 자녀비중 늘어
등록자 NEWS
등록일 10.29

캐나다 캐나다에서도 부모 도움 받아 집장만하는 자녀비중 늘어 2015년엔 20%에서 작년 30%로…금액 8만 2천불로 증가 주택 사이즈 업그레이드 9%도 도움 받아…12만 8천불 생애 첫…

소비자 물가 ‘거침없는 상승세’…개스 값 32나
등록자 NEWS
등록일 10.29

캐나다 소비자 물가 ‘거침없는 상승세’…개스 값 32%나 식품 3.9% 올라…육고기 9.5%, 냉동 닭 10%, 냉동육 13% 등 캐나다 물가 상승세가 ‘반짝 현상’이 아니라는 게 더욱 …

캐나다, 팬데믹중 빈부 재산차이 감소한 이유…
등록자 NEWS
등록일 10.28

캐나다 캐나다, 팬데믹중 빈부 재산차이 감소한 이유… 전국 가계 재산, 2분기 전년비 19.3%로 두 자릿수 상승 소득 하위 40% 계층 순자산 부유층보다 빠르게 늘어나 저소득/중산층 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