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News
분류 캐나다

캐나다 전국 6년치 공급 물량 ‘빈 집’…세계 5위

작성자 정보

  • 작성자 NEWS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캐나다 전국 6년치 공급 물량 ‘빈 집’…세계 5위
캐나다 12채 가운데 1채…미국 글로벌 1위, 일본 2위


BC주민, 특히 밴쿠버 거주민이라면 ‘캐나다의 빈 집’ 현상에 대해서 의구심을 나타낼 수 밖에 없을 것이다. 그렇지만 전세계적으로 빈 집은 더 이상 일정 국가, 지역에 국한된 현상이 아니다. OECD의 최근 연구 조사 결과 ‘빈 집(Vacant Homes)’은 미국에 가장 많지만 캐나다에서도 만만치 않았다.
최근 베터드웰링(betterdwelling.com)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자료를 인용, 캐나다에는 6년치 시장 공급 물량의 ‘빈 집’이 있다고 분석했다. 수치로는 130만 여 채에 이른다. 전세계적으로 볼 때 4200만 채의 주택이 비어 있다. 전체 물량은 4억 2600만 채이다. 즉 선진국의 경우에는 대략 10채 가운데 1채가 비어있다는 의미이다. 한마디로 수년간의 시장 공급 물량이 현재 나와 있다는 의미가 된다.
세부적으로 캐나다의 경우에는 6년치 공급 물량으로 130만 채가 넘었다. 이 보고서는 “캐나다는 전세계에서도 빈 집이 가장 많은 국가 가운데 하나이다”면서 “OECD의 최신 데이터는 캐나다의 전체 1541만 채 주택 가운데 약 8.7%가 비어있다고 평가했다”고 설명했다. 비중을 보면, 국내 주택 12채 가운데 1채가 비어있다는 셈이다. 지난 2016~2019년의 평균 건축기간을 기준으로 할 때 약 6년간 공급 물량이다. 캐나다는 전세계 선진국 가운데 빈 집 물량이 5위로 가장 많았다.
미국은 전세계에서 가장 빈 집이 많은 국가에 해당된다. 최신 데이터를 기준으로 1555만 채 주택이 비어있다. 미국의 전체 1억 3968만 채 주택 가운데 11.1%에 해당된다. 비중을 보면, 주택 9채 가운데 1채가 비어있다는 의미이다. 거의 10년 정도 공급 물량이다. 이 보고서는 “전세계 어느 국가도 미국의 물량에 근접할 수가 없다”면서 “빈집으로 악명이 높은 일본의 경우에도 2위 수준이지만 미국의 거의 절반에 해당된다”고 설명했다.
전세계 국가 순위를 볼 때, 1위는 미국인 가운데 2위는 일본, 3위는 브라질이 차지했다. 이후는 프랑스, 캐나다, 호주, 폴란드, 콜롬비아, 칠레, 헝가리, 네덜란드, 핀란드 등의 순이다.
영국의 경우에는 다른 선진국과 견줄 때 비교적 빈 집의 비중이 낮았다. 가장 최신 데이터를 기준, 빈 집은 22만 5000여 채를 기록, 국가 전체 물량의 0.9%에 해당된다. 비중을 보면, 108채 주택 가운데 1채가 비어있다는 문제이다. 그렇지만 이 역시 문젯거리라는 평가다.
그런데 이 보고서는 “캐나다는 빈 집을 쓸어 담을 가장 이상적인 장소”라고 분석했다. 즉 이 보고서는 “캐나다는 비거주자에 대한 세금이 있지만 대부분 해당 이슈를 없애려는 PR 도구”라면서 “이 같은 세금은 단지 소규모 지역에만 적용된다”고 평가했다. 즉 해당 지역 이외로 넘어가면 피할 수 있다는 것.
덧붙여 이 보고서는 캐나다에서는 BC주의 최근 규정을 제외한다면 궁극적으로 누가 부동산을 소유(즉 해당 부동산과 관련해 직접 접촉할 사람)하고 있는지를 말해줄 방법이 없다고 평가했다. 회사, 트러스트 웹(Trust Web)과 같은 독립체(Entity)를 내세우면 궁극적으로 해당 규정을 우회할 수 있다는 것. 최소한 누가 실제로 소유하고 있는지를 아는 게 불가능할 정도로 애매하게 만들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해당 자료는 웹사이트(https://betterdwelling.com/the-world-has-millions-of-vacant-homes-and-1-3-million-are-in-canada-oecd/#)에서 확인할 수 있다. <자료= betterdwelling.com 제공>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2,795 / 81 Page
RSS
캐나다인 해외여행 급등세…팬데믹 전보다 ‘미미’
등록자 NEWS
등록일 11.25

캐나다 캐나다인 해외여행 급등세…팬데믹 전보다 ‘미미’ 해외 여행자도 급등…미국인 국내 여행자 전년비 4배나 백신 접종 확대로 팬데믹 상황이 조금씩 진정세를 보이는 가운데 해외여행을 떠나…

밴쿠버, 전국 주요 도시중 유일하게 착공 늘어
등록자 NEWS
등록일 11.24

캐나다 밴쿠버, 전국 주요 도시중 유일하게 착공 늘어 모기지주택공사, “전월비 다세대주택 증가가 그 원인” 캐나다 전국적으로 신규 주택 착공이 하락곡선을 이어가고 있다. 전국 10개 주 …

BC, 어린이 511세 백신 접종 추진 박차
등록자 NEWS
등록일 11.24

커뮤니티 BC, 어린이 5~11세 백신 접종 추진 박차 연방 정부, 290만 회 접종분을 이미 주문해 캐나다 보건당국의 어린이용 코로나 19 백신 사용이 승인되면서 학부모들의 움직임도 바빠…

가상화폐, 로맨틱 사기 행각 ‘활발’ 주의
등록자 NEWS
등록일 11.24

커뮤니티 가상화폐, 로맨틱 사기 행각 ‘활발’ 주의 리치먼드 RCMP, 최근 10일간 5건…올해 71건 조사 “소셜미디어, 데이트 앱 이용, 친구로 위장 투자유도” 각종 사기행각에는 사실 …

한옥의 아름다움을 잘 표현한 건물은…
등록자 NEWS
등록일 11.24

한국 한옥의 아름다움을 잘 표현한 건물은… 전세계적으로 한옥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이 가운데 해마다 한옥의 아름다움을 빛낼 건물들이 선정되고 있다. 올해의 한옥대상으로는 하동한옥…

BC주, 홍수 피난 가정에 2000달러 등 제공
등록자 NEWS
등록일 11.23

커뮤니티 BC주, 홍수 피난 가정에 2000달러 등 제공 재난 금융지원 프로그램 별도…홈오너, 스몰 비즈니스 등 주 정부가 최근 폭우와 홍수 피해를 당한 주민들 지원에 나서기로 했다. 이 …

폭우 후폭풍…로히드 하이웨이 7 도로체증 커
등록자 NEWS
등록일 11.23

커뮤니티 폭우 후폭풍…로히드 하이웨이 7 도로체증 커 하이웨이 1, 3, 5, 99 등 주요 피해구간 복구 아직은… 주 정부, 개스 배급제 유지…워싱턴 통해 확보노력 BC주에 여행제한과 연…

글로벌 웹툰 시장 팬데믹에도 상승곡선
등록자 NEWS
등록일 11.23

한국 글로벌 웹툰 시장 팬데믹에도 상승곡선 2013년후 꾸준…만화중 웹툰 2022년에 18%로 바야흐로 디지털 경제시대가 활개를 펼치고 있다. 이 가운데 주목 받는 게 바로 웹툰이다. …

캐나다 주택시장 거래량 “작년 실적 이미 갈아치워”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11.19

캐나다 캐나다 주택시장 거래량 “작년 실적 이미 갈아치워” 신규 리스팅 3.2% 증가에 세일즈는 8.6%나 상승해 시장 매물 역대 최저 수준…”집값 재가속 모드 전환” “현행 월 거래실적…

캐나다 고소득층 소득 “많을수록 더 빨리 늘어…”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11.19

캐나다 캐나다 고소득층 소득 “많을수록 더 빨리 늘어…” 평균 소득 증가율 0.7%...상위 1%는 1.8% 속도 상위 0.1% 그룹은 5.5%...상위 0.01%는 13.9% 상위 1%…

“홈바이어들, 기존 인벤토리 더 깊게 파고들어”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11.19

부동산 “홈바이어들, 기존 인벤토리 더 깊게 파고들어” 신규 리스팅 전월비 3.2% 증가에도 거래량 전월비 8.6% 급등 홈바이어 판돈 올려…집값 상승세 2.7%로 7개월래 빠른 수준 “…

팬데믹 중에서도 ‘코로나 19 사기’ 극성…
등록자 NEWS
등록일 11.18

캐나다 팬데믹 중에서도 ‘코로나 19 사기’ 극성… 방송통신위, 통신사가 비사기성 전화 확인토록 추진 캐나다 사기 피해금액 1억 6300만 달러로 더 늘어나 팬데믹 속에서도 신용사기 스캠…

물가 상승률 18년래 최고치…4.7로 더 올라
등록자 NEWS
등록일 11.18

캐나다 물가 상승률 18년래 최고치…4.7%로 더 올라 개스 등 연료가격 48%, 천연가스 18%, 냉동육 14% 등등 물가 상승률이 또 다시 심상치 않은 흐름을 보이고 있다. 전국적으로…

캐나다 북부, 준주 가구당 소득 타 주보다 높아
등록자 NEWS
등록일 11.18

캐나다 캐나다 북부, 준주 가구당 소득 타 주보다 높아 10명중 1명 이상이 저소득층…10개 주는 평균 12.1% 캐나다 대다수 주민들은 10개 주에 거주하고 있다. 그것도 캐나다의 남부…

BC주 홍수로 2주간 ‘비상사태’ 선언까지…
등록자 NEWS
등록일 11.17

커뮤니티 BC주 홍수로 2주간 ‘비상사태’ 선언까지… 정부, 식량, 의류 등 생필품 가격확정 및 배급 권한도 주 정부가 ‘비상사태(State of Emergency)’를 긴급하게 선언했다.…

‘백신 미접종’ 의료진 해고…각주 마다 차이
등록자 NEWS
등록일 11.17

캐나다 ‘백신 미접종’ 의료진 해고…각주 마다 차이 BC주에서 해고 찬성 76% 최다…SK 52%, MB 66% 등으로 온타리오도 71%, 퀘벡은 65%에 불과…앨버타 65% 등등 ‘백신…

총영사관, 한국 세무 설명회 개최
등록자 NEWS
등록일 11.17

커뮤니티 총영사관, 한국 세무 설명회 개최 12월 6일 한인회관…한국 국세청 직원 강사로 해외 거주자들에게는 한국의 세금 관련 업무에 대한 궁금증을 해결할 기회가 많지 않다. 이 가운데 주…

중대형, 34인 가구 주거용 오피스텔 공급 늘어…
등록자 NEWS
등록일 11.17

한국 중대형, 3~4인 가구 주거용 오피스텔 공급 늘어… 앞으로 3~4인 가구의 주거에 적합한 중대형 오피스텔 공급이 가능해지며, 세대 간 악취로 인한 민원도 감소할 것으로 기대된다. …

BC주, 병원 학교 등 주변 20미터 ‘접근지대’ 선포…
등록자 NEWS
등록일 11.16

커뮤니티 BC주, 병원 학교 등 주변 20미터 ‘접근지대’ 선포… 각종 집회로부터 의료진, 환자, 응급차량 출입 보호용 팬데믹 기간중 ‘백신 반대’ 집회가 병원과 학교 등의 주요 시설 이용…

BC ‘물폭탄’, 푹풍에 일부 도시 전체 ‘대피명령’도…
등록자 NEWS
등록일 11.16

커뮤니티 BC ‘물폭탄’, 푹풍에 일부 도시 전체 ‘대피명령’도… 애버츠퍼드, 칠리왁 ‘긴급 사태’ 선언…산사태로 도로유실 올 겨울 BC주에는 많은 비가 내릴 것이라는 전망이 있었다. 그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