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News
분류 캐나다

캐나다 학부모, 어린이 백신 접종에 ‘신중’

작성자 정보

  • 작성자 NEWS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캐나다 학부모, 어린이 백신 접종에 ‘신중’
절반인 51%만 “적극적 접종”, 18%는 “시간을 두고 접종”
학부모, 학력 높고, 소득이 연 10만 달러 이상 ‘긍정적’


 전국적으로 코로나 19 상황이 지속되면서 어린이 백신 접종도 점점 구체화 되고 있다. 올해는 특히 개학과 더불어 백신 접종 대상이 아닌 연령대 어린 학생들의 확진 사례가 전국적으로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최근 앵거스 라이드(angusreid.org)의 조사에 따르면 캐나다 부모들의 ‘어린 자녀 백신 접종’에 대한 의견이 그다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적으로 절반을 조금 웃도는 수준만 적극적인 의사를 보였다. 다만 부모들의 학력 수준이 높을수록 어린 자녀들의 백신 접종에 좀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결과 캐나다 부모들은 백신 접종이 가능할 경우(연령대 5~11세) 자녀에게 백신 접종을 하겠는가라는 질문에 51%가 “그렇다”는 대답을 했다. 그런데 18%는 “결국 백신 접종을 하겠지만 처음에는 시간을 두겠다”는 의견을, 23%는 아예 백신접종을 하지 않겠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주목할 부분은 현재 전국적으로 백신 접종비중이 80% 가까이 보이지만 정체 상태를 보이는 것과 비교할 때, 여전히 20% 정도 수준의 백신 거부 계층이 있다는 것으로도 풀이된다.
반면 학력이나 소득을 보면 다소 차이가 있다. 먼저 학력을 기준, 부모들의 학력이 대학교(University) 이상일 경우에는 63%가 적극적인 의사를, 18%는 시간을 둔 백신 접종의지를 보였다. 반면 고등학교 동등 또는 그 이하 학력에서는 46%가 적극적이었고, 18%는 시간을 둔 백신 접종 의지를 보였다.
학부모들의 소득에서도 큰 차이를 보였다. 10만 달러 이상의 경우에는 59%가 적극적이고, 15%도 결국에는 백신 접종 의사를 보였다. 그렇지만 소득 수준이 5만 달러 미만인 경우에는 그 비중이 각각 38%와 24%로 크게 적었다. 전국적인 평균 수준인 51% 보다도 낮은 수준이다. <사진=앵거스 라이드 제공>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2,801 / 57 Page
RSS
배우자 폭력 하락세…남성 피해자 급감
등록자 NEWS
등록일 10.13

캐나다 배우자 폭력 하락세…남성 피해자 급감 4명중 1명은 극심한 피해 경험…여성 피해 더 많아 캐나다 전국적으로 배우자 가정폭력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남성의 가정 폭력이 크…

BC 대중교통, 30년 동안 4배 더 확대…
등록자 NEWS
등록일 10.13

커뮤니티 BC 대중교통, 30년 동안 4배 더 확대… 도시고속수송체계 300km, 자전거 전용 850km 등 BC주 대중교통수단이 더욱 빠르게 확대된다. 트랜스링크가 2050년까지 대중교통…

“캐나다 중앙은행 경기부양정책 빠져나오나”
등록자 NEWS
등록일 10.14

캐나다 “캐나다 중앙은행 경기부양정책 빠져나오나” 에너지 값 인플레이션 높게..미국 달러 2022도 상승 최근 캐나다 중앙은행은 기준금리를 그대로 유지하기로 했다. 이 가운데 최근 RBC…

BC주, 빠르면 11월중 5-11세 어린이 백신을
등록자 NEWS
등록일 10.14

커뮤니티 BC주, 빠르면 11월중 5~11세 어린이 백신을 정부, 어린이들도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쇼핑몰 등 BC북부 지역 중환자 증가에 관내 타 지역 후송해야 정부가 백신 접종을 더욱 …

“소득만으로 주택 장만하기 점점 어려워져…”
등록자 NEWS
등록일 10.14

캐나다 “소득만으로 주택 장만하기 점점 어려워져…” BC주 소득대비 집값 비율, 노바 스코샤 등지의 두 배 이상 “저소득층, 집값 지출 비중 최대…BC주는 나이대도 높아” 캐나다에서 점점…

캐나다 집장만 여건, 전국 및 모든 주거형태 ‘악화’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10.15

캐나다 캐나다 집장만 여건, 전국 및 모든 주거형태 ‘악화’ “팬데믹 초기 개선된 부분도 모두 후퇴…4회 연속 상승세” 주택 소유비용 부담 크지 않은 곳은 프레어리와 동부 일부 “집값 가…

캐나다 관광업계 경제 회복의 ‘키 워드’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10.15

캐나다 캐나다 관광업계 경제 회복의 ‘키 워드’ 비거주민 방문 의존 지역 ‘반등세’ 약해…BC 온타리오, NS 서스캐처원, 뉴펀들랜드 앤 래브라도 등지 하락세 적어 전국적으로 경제 각 분…

BC 부동산 거래실적과 집값 ‘시소 게임’…공급 ‘변수’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10.15

커뮤니티 BC 부동산 거래실적과 집값 ‘시소 게임’…공급 ‘변수’ 월 거래량 전년대비 -19.9%에도 주택 값은 14% 상승곡선 “리스팅 부족은 프레이저 밸리, 밴쿠버 아일랜드 심해” 누적…

인구절벽시대, 도시 지속 가능 하려면…
등록자 NEWS
등록일 10.19

한국 인구절벽시대, 도시 지속 가능 하려면… 알파세대 미래세대, 평일과 주말 삶의 패턴 인구 절벽은 더 이상 먼 미래가 아닌 듯하다. 최근 서울연구원이 “인구절벽시대, 도시 지속가능성 …

캐나다 학부모, 어린이 백신 접종에 ‘신중’
등록자 NEWS
등록일 10.19

캐나다 캐나다 학부모, 어린이 백신 접종에 ‘신중’ 절반인 51%만 “적극적 접종”, 18%는 “시간을 두고 접종” 학부모, 학력 높고, 소득이 연 10만 달러 이상 ‘긍정적’ 전국적으로…

BC실내 이벤트 ‘인원 제한’ 해제…연말 행사 ‘풍성’
등록자 NEWS
등록일 10.19

커뮤니티 BC실내 이벤트 ‘인원 제한’ 해제…연말 행사 ‘풍성’ 하키게임, 식당, 결혼식 등도…’백신 접종 완료 증명’ 필요 어린이(5~11세) 확진자 10월 초 정점 이후 줄곧 하락세로 …

전기차 확대…2층 전기 버스도 전국 도입
등록자 NEWS
등록일 10.20

한국 전기차 확대…2층 전기 버스도 전국 도입 전기차의 활용도가 점점 확대되고 있다. 한구에서는 일반 버스는 물론, 2층버스까지 전기차로 시범 도입되고 있다. 최근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

그라우스 마운틴 ‘백신 접종 완료’ 고객만 입장…
등록자 NEWS
등록일 10.20

커뮤니티 그라우스 마운틴 ‘백신 접종 완료’ 고객만 입장… 겨울철 앞두고 BC주 취약계층에 제3차 접종 시도를 ‘백신 의무화’ 자치단체 수준에서도…밴쿠버 시 등지도 겨울철 실내 생활이 길어…

올 겨울 캐나다 ‘춥다’…BC주 ‘많은 비’ 전망
등록자 NEWS
등록일 10.20

캐나다 올 겨울 캐나다 ‘춥다’…BC주 ‘많은 비’ 전망 올 겨울 캐나다는 다소 춥고 눈폭풍도 예상된다. BC주도 마찬가지로 이전보다 추운 겨울이 전망되고 밴쿠버 주변 남부는 이전보다 많…

연방 정부 1인당 지출, 팬데믹 전보다 34 프센트 증가
등록자 NEWS
등록일 10.21

캐나다 연방 정부 1인당 지출, 팬데믹 전보다 34% 정부 지출, 2022-2023연도에 감소해도 12% 높아 팬데믹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 캐나다는 물론, 전세계가 마찬가지다. 이 가…

캐나다 노동시장 수요-공급 ‘불균형’…임금 상승
등록자 NEWS
등록일 10.21

캐나다 캐나다 노동시장 수요-공급 ‘불균형’…임금 상승 숙박, 식당 등 팬데믹 타격 큰 분야…’균형’까지 임금 올라 9월, 캐나다 노동시장 참가자 ‘팬데믹 전’보다 0.7% 많아 요즘 글…

“집값, 내년 초 아닌 2022년 하반기에 평평한 흐름”
등록자 NEWS
등록일 10.21

캐나다 “집값, 내년 초 아닌 2022년 하반기에 평평한 흐름” 전국 주요 시장, 올 가을도 ‘높은 음’ 출발…밴쿠버 토론토 비슷 패턴 캘거리, 에드먼턴은 전년비 집값, 거래량, 리스팅 …

“전국 주택 가격 다시 재가속도 모드 전환…”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10.22

캐나다 “전국 주택 가격 다시 재가속도 모드 전환…” 거래량 전년비 -17.5% ‘하락’에도 집값 무려 21.5%나 올라 전국 인벤토리 2개월 불과…”가격 상승세 놀랍지도 않아” “캐나다…

캐나다 내년에도 “물가 상승 계속될 수도…”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10.22

캐나다 캐나다 내년에도 “물가 상승 계속될 수도…” 가뜩이나 물가 상승에 고심하는 서민 가정의 부담이 커질 전망이다. 분기 별로 캐나다 중앙은행이 실시하고 있는 비즈니스 경기전망에서 다소…

최신 캐나다 모기지 트렌드
등록자 부동산밴
등록일 10.22

캐나다 최신 캐나다 모기지 트렌드 “고정 이자율 하락…2분기 신규의 40% 변동금리…” 팬데믹중 대출 급등에도 연체율 30년래 최저수준 미보험 신규 모기지 20%...점점 더 비중 커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