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News
분류 커뮤니티

“BC주택 회복 신호 보여…집값 상승 유지”

작성자 정보

  • 작성자 KREW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BC주택 회복 신호 보여…집값 상승 유지”

거래량 전년대비 45% 감소지만 리스팅도 24% 적어



“주택시장 활동세가 회복 사인을 보내고 있다.” 코로나 19 속에서 아직 완연한 회복세를 논하기엔 이를 수 있다지만 협회 측은 최근 한 달 평가를 이처럼 내놓았다. BC주 경제가 2단계 오픈에서 조만간 3단계 오픈으로 진행하는 과정을 염두에 둘 때, 향후 주택 시장 활동도 경제 오픈 범위 확대로 더욱 활성화 될 것으로 기대된다.



BC부동산협회에 따르면 지난 5월 한 달 동안 거래된 주택은 4518채를 기록했다. 지난해 이맘때와 비교한다면 무려 45.2%나 줄어든 수준이다. 그렇지만 평균 MLS 가격은 72만 8989달러를 기록하면서 작년 이맘때 70만 6394달러보다 3.2%나 늘어난 것. 또 전체 달러 거래 금액은 43.5%가 줄어든 33억 달러를 기록하고 있다.



브렌던 오그먼드슨 경제학자는 “5월에는 주목할만한 회복 징조가 보이고 있다”면서 “비록 시장 활동량은 정상적 수준을 밑돌고 있지만 세일즈와 리스팅은 4월 저점과 비교할 때 상당히 높은 수준이다”고 설명했다.



신규 리스팅 활동도 5월 첫 주에는 정상적 수준 근처로 시작하면서 전체 리스팅 활동량을 전환하는 계기가 됐다. 하지만 액티브 리스팅은 여전히 작년 이맘때보다 24% 적다. 1만 건이 넘고 있지만 봄 시장에서 보여주던 정상적 수준 리스팅 규모보다는 적은 수준이다.

올들어 현재까지 거래된 주택 거래금액은 6%가 줄어든 186억 달러를 기록했다. 거래량은 14.2%가 감소, 2만 4695채를 기록했다. 평균 MLS 집값은 9.6%가 오른 75만 3155달러로 나타났다.



주요 지역 주택 가격과 거래량을 보면, 프레이저 밸리가 전년대비 거래량이 -46.9%가 줄어들 가운데 집값이 평균 2.6% 올랐다. 광역 밴쿠버도 전년대비 거래가 -43.6% 감소했지만 집값은 2.9% 상승했다. 바로 BC주 전체의 평균 거래량 하락 -45.2%와 집값 상승률 3.2%와도 비슷한 수준이다.

다른 로컬 위원회도 마찬가지다. 예를 들어 캠루프스에서 거래량은 전년대비 -46.5%에도 집값이 1.8% 올랐다. 쿠트네이는 거래량 -54.6% 하락에도 집값이 4.2% 올랐다.  BC북부 지역도 거래량이 전년대비 -36.5% 감소했지만 집값은 평균 4.1% 늘었다. 칠리왁도 마찬가지 흐름이다. 전년대비 거래량이 -37.7% 감소했지만 집값은 평균 3.2% 늘었다.



광역 밴쿠버, 프레이저 밸리와 함께 주목 받는 밴쿠버 아일랜드의 경우 거래량이 전년대비 -52.9% 줄었다. 그렇지만 집값은 평균 무려 9.5%나 상승, 큰 주목을 받고 있다. 빅토리아도 마찬가지 흐름이다. 거래량이 전년대비 -45.6% 감소했지만 집값은 1.1% 올랐다.

다만 올해 1~5월까지 누적 수치는 조금 차이가 있다. BC주 전반적으로 거래량 하락세는 전년대비 -14.2%로 그다지 크지 않고 반면 집값 상승세는 평균 가격을 볼 때, 전년대비 9.6%로 오히려 5월보다 더 큰 상승폭을 보이고 있다.



누적 거래량을 보면, 광역 밴쿠버는 오히려 전년대비 거래량이 0.9%로 아직 상승장을 유지하고 있다. 프레이저 밸리는 -11.3%로 나머지 지역과 함께 하락세를 보인다. 집값은 반면 파웰 리버가 전년대비 -5.7%, 노던 라이츠가 전년대비 -2.4%로 마이너스를 기록했지만 나머지 지역은 모두 상승모드다. 특히 밴쿠버 아일랜드도 누적 평균 집값이 전년대비 5.7%를, 빅토리아는 5%를 기록하고 있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2,774 / 26 Page
RSS
BC 인구 성장률 1년 사이 ‘급락’
등록자 KREW
등록일 10.01

캐나다 BC 인구 성장률 1년 사이 ‘급락’앨버타, 온타리오, PEI 인구 ‘전국 평균 이상’캐나다 인구가 최대 연간 성장률을 보였다. 역시 이민자들의 기여도가 커 글로벌 선진 7개 국가…

BC주택 시장 올해 ‘플러스’ 마무리…
등록자 KREW
등록일 12.17

커뮤니티 BC주택 시장 올해 ‘플러스’ 마무리… 누적 실적 11개월, 거래 및 집값 동반 ‘상승’으로 BC주 12곳중 11개 시장 거래, 집값 모두 ‘플러스’ “수요, 여전히 강하지만 리스…

몬트리올 렌트 거주민 60 소득이…
등록자 KREW
등록일 04.18

캐나다 몬트리올 렌트 거주민 60% 소득이…렌트자 35%, 3만불 미만…60% 5만불 밑돌아광역 몬트리올 가정 45%는 렌트로 거주하는캐나다는 인구 수에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토지가 광…

코로나 3차 파동 속 정치권 평가 엇갈려
등록자 NEWS
등록일 04.27

캐나다 코로나 3차 파동 속 정치권 평가 엇갈려 정부 규제 “올바르다” 평가 작년 52%에서 올 24%로 코로나 19는 벌써 3차 파동으로 이어졌다. 팬데믹이 길어질수록 캐나다 총리는 물…

정부 B20 정책 비싼 주택시장에 ‘충격’
등록자 KREW
등록일 07.12

캐나다 정부 B20 정책 비싼 주택시장에 ‘충격’ BC에서만 작년 연 7500유닛, 10% 좌우해 주 경제 활동에 연 5억 달러 손실 영향력 정부의 주택 정책이 실제 시장에 어떤 영향을 …

“BC주택 회복 신호 보여…집값 상승 유지”
등록자 KREW
등록일 06.26

커뮤니티 “BC주택 회복 신호 보여…집값 상승 유지” 거래량 전년대비 45% 감소지만 리스팅도 24% 적어 “주택시장 활동세가 회복 사인을 보내고 있다.” 코로나 19 속에서 아직 완연한 …

“BC 주택시장, 경제 재가동에 반등 전망”
등록자
등록일 05.23

커뮤니티 “BC 주택시장, 경제 재가동에 반등 전망”거래 전년대비 50.8% 줄어도 집값 7.8% 올라“액티브 리스팅 하락은 주택값 유지 의미해”“주택 시장이 둔해졌지만 팬데믹 상황에서 탄…

캐나다 이민자 82 ‘영어’ 공식 언어로
등록자 KREW
등록일 01.31

캐나다 캐나다 이민자 82% ‘영어’ 공식 언어로영어, 프랑스어권 아닌 이민자 72.5%나 돼캐나다 인구 성장의 가장 큰 동력은 이민자다. 그만큼 국내에서 사용되는 언어는 다양하기 마련.…

캐나다 일시 해고기간 6개월 연장 의미…
등록자 KREW
등록일 06.24

캐나다 캐나다 일시 해고기간 6개월 연장 의미…“임시해고가 완전해고 되는 기간 더 늘어나”연방 정부가 기존 3개월의 일시 해고 기간을 연장하기로 했다. 이는 코로나 19 팬데믹으로 해고된…

연방 보수당 새 대표에 에린 오툴 전 보훈장관
등록자 KREW
등록일 08.25

캐나다 연방 보수당 새 대표에 에린 오툴 전 보훈장관캐나다 연방 보수당의 새 대표가 선출됐다. 코로나 19 팬데믹과 자유당의 ‘위채러티(WE Charity)’ 스캔들 등으로 경제와 정치 …

캐나다 여성도 ‘성차별’ 예외 없어
등록자
등록일 03.11

캐나다 캐나다 여성도 ‘성차별’ 예외 없어캐나다 내 여성 인권이 많이 나아지고 있다. 그렇지만 BC주 대부분 여성들은 차별을 견뎌오고 있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리서치코의 최근 조사에 따…

캐나다인 전례 없던 ‘청력 상실’
등록자 KREW
등록일 09.24

캐나다 캐나다인 전례 없던 ‘청력 상실’40~79세 사이…남성이 여성보다 많아캐나다인의 유례없는 청력 상실이 큰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다.통계청에 따르면 수많은 캐나다인이 특정 수준의 청…

중앙은행, 금리 동결…”경제회복 불균형”
등록자
등록일 09.10

캐나다 중앙은행, 금리 동결…”경제회복 불균형”올해 핵심 물가 상승률 1.3%~1.9% 사이에서…캐나다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그동안 금융 전문가들과 관련 기관들이 내놓은 예상과…

캐나다 포스트 팬데믹 소비자들 지갑 확 열려
등록자 KREW
등록일 08.21

캐나다 캐나다 포스트 팬데믹 소비자들 지갑 확~ 열려(크게) 운송, 여행 등 제외…개인지출 전년비 18% 급등 “미래 불투명하지만 소비 상태는 굳건할 전망” 캐나다 소비자들의 지출 수준이…

캐나다 요식업 60, 팬데믹 버티기 힘들어해
등록자 KREW
등록일 09.01

캐나다 캐나다 요식업 60%, 팬데믹 버티기 힘들어해숙박업계는 1년간 200억불 손실…재택 근무에 타격캐나다 요식업과 숙박업을 향한 코로나 19 타격 여파가 생각보다 훨씬 클 것으로 우려…

“캐나다 집장만 여건 여전히 별로…”
등록자 KREW
등록일 01.10

부동산 “캐나다 집장만 여건 여전히 별로…”밴쿠버, 토론토 어포더빌리티는 위기 수준한때 집장만 여건은 “이보다 나쁠 수 없다”는 평가가 나온 적이 있다. 그런데 2018년 3/4분기에도 …

캐나다 입국 외국인 생체정보 확대
등록자 KREW
등록일 12.19

커뮤니티 캐나다 입국 외국인 생체정보 확대캐나다에 입국하는 외국인 생체인식 정보 수집 확대된다.밴쿠버 총영사관은 주한캐나다 대사관이 한국 정부에 알려온 ‘생체인식정보 수집 확대’ 공고를 공…

해외로 향하는 ‘투자’ 급증
등록자 KREW
등록일 03.28

캐나다 해외로 향하는 ‘투자’ 급증캐나다인 해외투자 73% 증가해외국인들 국내 투자금 55% 감소글로벌 투자에 국경이 없다. 최근 몇 년 동안 역동적이었던 캐나다 경제가 올해는 지난해보다…

교통 사망 사고 두 자릿수 감소
등록자 KREW
등록일 12.12

한국 교통 사망 사고 두 자릿수 감소인구가 늘어나면 각종 안전사고가 늘어나기 마련이다. 하지만 한국에서는 최근 교통 사망 사고가 감소세를 보여 주목을 받고 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

“캐나다 과거 실패 되풀이 위험”
등록자 KREW
등록일 08.22

캐나다 “캐나다 과거 실패 되풀이 위험”국가의 경기침체 시기마다 등장했던 경기부양 정책. 최근 미국은 부양책을 줄이고 있지만 신흥국가들은 오히려 경기부양책을 새롭게 꺼내고 있는 상황이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