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한국 비수도권 처음으로 대구경북 ‘광역 철도’ 작성자 정보 작성자 NEWS 작성일 2021.01.13 21:41 컨텐츠 정보 목록 본문 비수도권 처음으로 대구~경북 ‘광역 철도’ 한국의 수도권을 벗어난 지역으로는 처음으로 대구에서 광역철도가 진행된다. 일명 ‘대구권 광역철도’는 대구를 포함 경상북도 주요 도시를 이어나가게 된다. 오는 2023년 개통이 목표이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대구시•경상북도•철도공단•철도공사와 ‘경북 구미•칠곡~대구~경북 경산’을 잇는 대구권 광역철도 사업의 원활한 건설 및 운영을 위한 협약이 최근 체결됐다. 주요 정거장 계획 도시로는 구미, 사곡, 왜관, 서대구, 대구, 동대구, 경산 등이 있다. 하루 편도 61회 운행될 계획이다. 이번 사업으로 대구·경북권역이 40분대 단일 생활권으로 연결되고, 특히 서대구역은 광역철도외에 KTX고속철도 및 대구산업선과 공용으로 사용하는 허브역사로 계획되어 향후 지역의 교통거점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기대된다. 대구권 광역철도는 기존 운영 중인 일반철도 선로를 개량하여 전동차를 투입하는 비수도권 최초의 사업으로, 총 연장 61.8㎞ 구간에 정거장 7개소*를 설치(개량) 한다. 총 사업비는 1,515억 원이다. 이번 협약을 통해 국가(공단)는 광역철도를 건설하고 지자체는 차량소유 및 운영손실금 등을 부담하며 철도공사는 열차를 운행하는 등 기관별 역할이 정해졌다. 대구권 광역철도는 ‘21년 본격적인 공사 진행과 동시에 전동차량을 제작하고 ’23년 상반기 준공 후 종합시험운전을 통해 ‘23년말 개통할 계획이다. 국토교통부 김선태 철도국장은 “대구권 광역철도는 일반철도를 개량하여 전동열차를 운영하는 고효율 사업으로, 국가-지방자치단체-공사•공단의 역할이 합리적으로 정립되어 원활한 사업추진이 기대된다”면서, “국가 균형발전 측면에서 현재 계획되어 있는 충청권 광역철도 등을 포함하여 수요가 있고 지방자치단체의 적극적인 참여가 있을 경우 재정당국과 협의 등을 거쳐 광역철도 사업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추천 0 SNS 공유 관련자료 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