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뉴스 최병하 의원, 경제 리더십 위원회 공식 출범 작성자 정보 작성자 KREW 작성일 2025.03.26 18:18 컨텐츠 정보 목록 본문 “산업계 목소리로 B.C. 경제 회복력 강화” 위기 대응과 무역 다변화 전략을 위한 ‘MLA 경제 리더십 위원회(MBEL)’ 공식 출범 <최병하 의원, MLA 경제 리더십 위원회 출범식에서 산업계와 정부 협력의 중요성을 설명하며 BC 경제의 회복력 강화를 위한 새로운 전략과 정책 방향을 제시하는 최병하 의원 / 최병하 의원실 제공> 24일, MLA 비즈니스 및 경제 리더십 위원회(MLA Business and Economic Leadership Council, 이하 MBEL)가 공식 출범했다. 이번 위원회는 BC 정부와 산업계가 함께 협력하여 경제 회복과 성장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설립되었으며, 최병하 아시아 태평양 정무 무역 차관이 주도했다. MBEL 출범을 알린 회의는 Raj Chouhan BC 주의회 의장의 인사말로 시작되었고, 이어 Anne Kang 고등교육 및 미래기술부 장관이 환영사를 전했다. 앤 장관은 “글로벌 무역 환경의 불확실성이 커지는 지금, 정부와 산업계 간의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최병하 의원은 위원회 설립의 배경과 목적을 설명하며, 위원들에게 임명장을 수여한 후 각 위원이 대표하는 산업과 현안에 대해 의견을 나누었다. 위원들은 핀테크, 부동산, 헬스케어, 물류, 친환경 에너지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각 분야의 문제를 다루는 데 집중했다. 회의에서 가장 중요한 논의 주제는 미국발 고율 관세에 대한 BC의 대응 전략이었다. 최 의원은 “우리는 싸움을 건 적 없지만, 싸움을 피하지도 않을 것”이라며, 정부가 추진 중인 3대 전략을 소개했다. 첫 번째는 직접적인 관세 대응으로, 이는 미국산 제품 의존도 축소, 국산 소비 촉진, 알래스카 경유 트럭에 대한 통행료 부과, 미국 내 정치적으로 영향력 있는 보수 성향 주(州)에 대한 압박 등 대응책을 포함한다. 두 번째는 경제 활성화 전략으로, LNG, 광산 등 대규모 프로젝트의 신속한 추진을 통해 일자리 창출과 수출 확대를 도모하고, 주 간 무역 장벽을 완화하며, 외국인 투자 유치 확대를 통해 경제 기반을 강화한다. 세 번째는 무역 다변화 전략으로, BC주는 캐나다 주 중에서 미국 의존도가 가장 낮다”는 점을 강조하며, 중국·인도·일본 등 기존 주요 교역국 외에도 대만,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필리핀과의 협력 확대를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특히 인도네시아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은 긍정적인 선례로 언급됐다. 또한, Tariff Response Bill(법안 7호)에 대한 논의도 이뤄졌다. 최 의원은 MBEL의 논의가 실제 법안의 방향성과 내용을 풍부하게 만들어줄 것이라며, 이 위원회가 단순 자문을 넘어서 정책 설계의 동반자 역할을 하게 될 것임을 밝혔다. 회의 중에는 “코로나보다 무역 위기가 더 예측 불가능하다”는 Adrian Dix 보건부 장관의 과거 발언이 인용되며, 참가자들은 현재의 국제 정세가 산업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인식하고 대응 역량의 중요성을 재확인했다. 앞으로 MBEL은 분기별 정기 회의를 통해 특정 산업 주제나 핵심 쟁점을 중심으로 정책 토론을 이어갈 예정이다. 이번 위원회 출범은 산업계와 정부가 동등한 파트너로서 협력해 B.C. 경제의 회복과 미래를 설계하는 전환점으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된다. 최병하 의원은 “경제를 일으키는 힘은 현장에 있고, 그 힘을 정책으로 연결하는 것이 정부의 책임”이라고 강조했다. 추천 1 SNS 공유 관련자료 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