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경제 캐나다 2월 물가 상승률 2.6% 기록, 주요 요인은 세금 혜택 종료 작성자 정보 작성자 KREW 작성일 2025.03.19 00:35 컨텐츠 정보 목록 본문 주택비용 상승 둔화, BC주 물가 상승률 3.0%로 증가 캐나다의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대비(2월 기준) 2.6% 상승하며, 1월의 1.9%에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월별로는 계절조정된 CPI가 0.7 포인트 상승하며, 이는 주로 GST/HST 세금 혜택 종료로 인한 영향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번 물가 상승은 주택비용 상승 둔화와 일부 상품의 가격 상승이 맞물려 나타난 결과로 보인다. ■ 주택비용 상승 둔화와 세금 혜택 종료의 영향 2월의 물가 상승은 주택 관련 비용에서 일부 둔화가 있었다. 특히 모기지 이자율은 전년 대비 9.0% 상승했으나, 이는 18개월 연속적으로 둔화된 수치이다. 또한, 임대료 상승률은 5.8%로 1월의 6.3%에서 감소한 모습이었다. 이는 주택비용에 대한 부담이 여전히 존재하지만, 다소 안정세를 보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 BC주 물가 상승률 3.0%로 증가 BC주에서는 물가 상승률이 3.0%로 증가했으며, 이는 1월의 2.2%에서 상승한 수치이며, 이는 캐나다 전체 물가 상승률과 비슷한 수준으로, 주택비용 상승과 관련된 요소들이 BC주 경제에 미친 영향을 나타낸다. 이번 CPI 보고서는 캐나다중앙은행(BoC)의 금리 정책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BoC의 핵심 지표인 중위수 및 절단물가 지표는 모두 전년 대비 2.9% 상승하였고, 이는 물가 상승 압력이 여전히 존재함을 의미한다. 특히 세금 혜택 종료 이후 나타난 물가 상승은 중앙은행이 금리 인상을 고민할 수밖에 없는 상황으로, 4월에 예정된 관세 인상과 맞물려 금리 동결 또는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2월의 CPI 결과는 캐나다 경제에서 물가 상승 압력이 여전히 존재함을 시사하며, 경제 성장과 물가 통제를 위한 정책적인 조치들이 중요한 시점에 와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캐나다중앙은행은 향후 금리 정책을 통해 물가 상승을 억제하고 경제 성장을 촉진하는 방향으로 조정할 것으로 예상된다. 캐나다중앙은행은 금리 인상과 물가 통제라는 두 가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을 이어갈 전망으로 보인다. 추천 0 SNS 공유 관련자료 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