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민상식 Tips
분류 가든

앤디스칼럼 우리 동네 나무 이야기 - 단풍나무, 세 번째 이야기

작성자 정보

  • 작성자 KREW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앤디스칼럼 <42> : 우리 동네 나무 이야기 : <3> - 단풍나무, 세 번째 이야기



소개하고 싶은 우리 동네 나무가 지천인데도 불구하고 단풍나무에 대해서는 한 번 더 이야기할 필요가 있을 것 같아서 아무래도 한 주는 더 지면을 할애해 주어야 할 것 같다.

어쩌면 이 글을 읽을 분들에게는 가장 필요로 하는 정도 일지도 모를 단풍나무 관리에 관한 이야기다.

화분에 담겨있는 나무를 심을 때에는 다른 나무와 크게 다르지 않지만, 혹시 자리를 옮겨놓는 이식은 주의해야 하는 것들이 있다.

먼저, 어린나무인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뿌리분도 떠내기가 쉽고 뿌리가 크지 않아 잔뿌리를 포함한 뿌리를 떠내기가 수월하지만, 나무가 나이가 들수록 뿌리를 넓게 퍼진다. 뿌리의 끝 부분 쪽에 잔뿌리(세근)이 발달해 있기 때문에 분을 뜰 때 잔뿌리가 없는 경우가 잦다. 단풍나무는 다른 나무보다도 수분증발량이 많은 나무다. 지난 번 이야기 때, 이미 단풍나무의 수액에 관한 이야기를 한 적이 있듯이 나무가 가진 수분이 많은 편이다. 그래서 잔뿌리(세근)가 많지 않을 경우 쉽게 말라 죽는 일이 있으니 주의하기 바란다.

특히 건조한 여름에 이식할 필요가 있을 때는 물주기(관수)를 잊게 되면 이식에 실패할 가능성이 커진다. 잔뿌리가 잘 생성될 때까지는 물을 흠뻑 주어 항상 젖어 있게 만드는 것이 좋다. 그리고 인산 비료를 줘서 발근을 촉진 시키는 방법도 효과가 있을 것이다.(비료에 표시되어있는 00-00-00 세 번호 중 두 번째에 해당하는 것이 인산이다. 비료에 대한 이야기는 이미 한번 언급한 적 있으니 필요하다면 부동산밴쿠버 홈페이지에서 다시 찾아보기 바란다.)

단풍나무 이식에 있어 특이한 요령 하나에 ‘잎 훑어내기’가 있다. 나무가 어느 정도 많이 자랐고 뿌리를 떠낼 때 잔뿌리가 별로 없었다면 꼭 해주어야 할 작업이기도 하다.

‘잎 훑어내기’란, 말 그대로 잎을 모두 훑어서 따주는 것을 말한다. 잎을 통해 발산되는 수분을 잡아주기 위해서다. 물론 한창 푸르러야 할 때에 잎을 따주면 앙상해 보이긴 하겠지만 살리기 위해서라면 꼭 필요한 처지다. 그러나 잔뿌리가 생성되고 나무가 다시 자리를 잡으면서 다시 잎이 자라나기 때문에 걱정할 필요는 없다.

이왕이면 우리 동네에서는 비가 오는 시기에 이식해 주는 것도 하나의 방법일 것이다. 물주기를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될 시기를 적당히 골라 이식을 한다면 여러모로 성공할 확률도 커질뿐더러 물주기의 수고도 덜어낼 수 있기 때문이다.

이식 할 때의 요령과 함께 알아두면 좋을 팁에 전지 요령을 덧붙이고자 한다.

단풍나무도 트리머(모양을 다듬는 정원용 전기톱 종류)로 쉽게 잘라 동그랗게 또는 타원형으로 나무를 잘라 모양을 만들 수도 있다. 잘려나간 부분에서 새 잎눈이 나오면서 가지가 나오기 때문에 끝 부분이 조밀해지며 잘라내는 모양으로 모양이 갖추어진다.

하지만 뭐니뭐니해도 단풍나무의 진짜 멋은 늘어진 가지와 바람에 살랑이는 잎의 자연스러움 같은 것에 있다. 더구나 정원의 초점이 될 정도로 그 존재감이 큰 나무이기 때문에 동그란 모양으로 평범하게 대우하기보다는 멋들어진 수형 자체를 살려두는 것이 더 잘 어울린다.

자연스러운 수형을 잘 살려두기 위한 가지치기 팁은 바로, ‘솎아내기’다.

미용사가 머리숱을 다듬듯이 무성한 가지를 솎아내서 머리숱을 줄이듯 작업한다. 지난해의 마른 가지를 훑어내어 환기가 수월하게 하고 볕이 잘 들게 하여 주는 것도 건강한 나무를 키우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난쟁이형 단풍나무는 가지가 땅에 닿지 않게 정리하고 주위의 바위나 풀, 또는 덤불에 어울리도록 자연스럽게 가지를 정리해보자. 한쪽으로 멋들어지게 늘어 떨어진 가지 하나가 정원의 분위기를 얼마나 한껏 끌어올려 줄 수 있는지 충분히 상상이 될 것이다.



앤디 리

앤디스 조경 대표

www.andyslandscape.ca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58 / 3 Page
RSS 글쓰기
앤디스칼럼 보이는 곳에 20, 안 보이는 곳에 80
등록자 KREW
등록일 08.09 조회 7080

가든 앤디스칼럼 <24> : 보이는 곳에 20%, 안 보이는 곳에 80% 공정에 따라 다르지만, 조경시공공사를 하면서 소요되는 시간을 통틀…

잔디관리 새들의 공격(Bird Attck)
등록자 KREW
등록일 04.12 조회 9877

가든 앤디스칼럼 <7> : 잔디관리 : 새들의 공격(Bird Attck) 동네 산책 도중에 눈에 띄는 새들의 공격(Bird Attck)이 …

앤디스 칼럼 퀴즈를 통해 배우다. (2)- 수면의 눈부심 현상 방지
등록자
등록일 04.16 조회 4169

가든 앤디스 칼럼 <57> : 퀴즈를 통해 배우다. (2) 자연스럽게 문제의 핵심은 ‘수면의 눈부심’ 현상을 방지하는 것으로 초점이 맞추어…

앤디스칼럼 우리 동네 나무 이야기 - 단풍나무, 첫 번째 이야기
등록자 KREW
등록일 11.29 조회 8825

가든 앤디스칼럼 <40> : 우리 동네 나무 이야기 : <3> - 단풍나무, 첫 번째 이야기 캐나다의 국기 한가운데 커다랗게 그…

앤디스칼럼 소나무야 소나무야
등록자 KREW
등록일 08.02 조회 7061

가든 앤디스칼럼 <23> : 소나무야 소나무야 늘씬한 몸매를 우아하게 뽐내며 마치 모델이 포즈를 취하는 것 마냥 멋들어진 소나무. 쳐다보기…

잔디관리 새들의 공격(Bird Attck)
등록자 KREW
등록일 04.12 조회 10504

가든 앤디스칼럼 <7> : 잔디관리 : 새들의 공격(Bird Attck) 동네 산책 도중에 눈에 띄는 새들의 공격(Bird Attck)이 …

앤디스 칼럼 퀴즈를 통해 배우다.(1)
등록자
등록일 04.04 조회 4598

가든 앤디스 칼럼 <56> : 퀴즈를 통해 배우다.(1) “여러분, 지금부터 제가 여러분에게 문제를 하나 제시하겠습니다. 잘 생각해보고 이…

앤디스칼럼 나무의 이름과 학명
등록자 KREW
등록일 11.23 조회 8478

가든 앤디스칼럼 <39> : 나무의 이름과 학명 한 나무에 이름이 여러 가지가 있다는 것은 한국에서나 이곳 캐나다에서나 다를 바가 없다. …

조경 자재상 LANDSCAPE SUPPLIES
등록자 KREW
등록일 07.26 조회 8020

가든 앤디스칼럼 <22> : 조경 자재상 : LANDSCAPE SUPPLIES 이 지역의 조경 자재상(LANDSCAPE SUPPLY)에는 …

밴쿠버에서 텃밭 가꾸기2
등록자 KREW
등록일 03.28 조회 10286

가든 앤디스칼럼 <5> : 밴쿠버에서 텃밭 가꾸기2 지난 번 텃밭 이야기를 이어서 합니다. 4. 파종하기(씨 뿌리기) 씨 뿌리기는 재배작물…

앤디스칼럼 돈 많이 들지 않고 보기 좋은 디자인
등록자
등록일 03.28 조회 4201

가든 앤디스칼럼 <55> : 돈 많이 들지 않고 보기 좋은 디자인<2> 정원 조성의 목적에도, 원하는 디자인에도 만족하면서 비용…

앤디스칼럼 겨울 맞이 정원 정리해 줄 때.
등록자 KREW
등록일 11.15 조회 8916

가든 앤디스칼럼 <38> : 겨울 맞이 정원 정리해 줄 때. 꽃과 나무들은 계절의 변화를 우리보다 더 빨리 알아챈다. 집안일에 바깥 일에 …

앤디스칼럼 봄꽃나무 가지 정리할 때.
등록자 KREW
등록일 07.18 조회 8958

가든 앤디스칼럼 <21> : 봄꽃나무 가지 정리할 때. 화사한 봄꽃은 이미 지고 없고 그 자리에 그 흔적 다시 쫓을 작은 희망이 달렸으니,…

앤디스 칼럼 4- 밴쿠버에서 텃밭 가꾸기1
등록자 KREW
등록일 03.21 조회 9607

가든 앤디스칼럼 <4> : 밴쿠버에서 텃밭 가꾸기1 이번 봄은 유난히 늦게 찾아오는 것 같다. 3월 중순인 오늘 눈이 소복히 쌓이는 모습을…

앤디스칼럼 배식 요령(Planting Design Tips)
등록자
등록일 03.15 조회 4182

가든 앤디스칼럼 <53> : 배식 요령(Planting Design Tips) 화단에 다양한 꽃과 나무가 많다고 잘 정돈된 예쁜 화단이 되…

앤디스칼럼 식물 북방 한계선(Plant Hardiness Zones)
등록자 KREW
등록일 11.02 조회 9268

가든 앤디스칼럼 <36> : 식물 북방 한계선(Plant Hardiness Zones) 해가 점점 짧아지고 있다. 일조량이 좋았던 여름철 …

앤디스칼럼 풍수지리로 본 조경
등록자 KREW
등록일 07.11 조회 7890

가든 앤디스칼럼 <20> : 풍수지리로 본 조경 캐나다로 이주해 오면서 더는 풍수라는 말을 듣기 어려울 줄 알았다. 지극히 동양적이고, 동…

북미 조경의 시작과 끝 – 잔디
등록자 KREW
등록일 03.14 조회 8003

가든 앤디스 칼럼 <3> : 북미 조경의 시작과 끝 – 잔디 제목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북미지역에서 잔디의 역할은 이루 다 말하지 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