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민상식 Tips
분류 상식

주택 가치를 결정하는 요인들

작성자 정보

  • 작성자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주택 가치를 결정하는 요인들

 동네주민 사회·문화적 특성 따져야 ... 해당지역 향후 개발계획도 밀접





부동산 업계에서는 주택을 구입할 때 무엇보다도 건물보다는 건물이 위치한 지역을 우선적으로 고려하라는 말이 거의 정석처럼 여겨지고 있다. 그러나 주택 가치를 높여 주는 요인들은 이 뿐이 아니다. 어떤 요인들이 있는지 알아 보자.



◇ 주위 환경과 위치

주위 환경이나 위치가 주택의 가치를 좌우한다. 예를 들어 '막힌 골목'(cul-de-sac)에 위치한 주택 가치가 일반 도로변의 주택보다 가치가 높다. 차량 통행이 적어 아이들의 안전에 도움이 되기 때문에 막힌 골목의 주택에 대한 수요가 높은 것이 일반적이다.



또 이웃을 잘 선택해야 대지 가치 상승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중산층 밀집 지역의 경우 대개 지역 내 신규주택 개발이 제한되는 경우가 많아 미래의 주택 공급이 제한되기 때문에 대지 가치 상승을 불러 올 수 있다.



이밖에도 각 지역마다 독특한 사회적, 문화적, 인구 특성에 따라서도 대지의 가치가 좌우되기 때문에 주택 구입 때 지역을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권장되고 있다.



◇ 지역 평균 연령

평균 연령은 많은 주택 구입자들이 주택 구입 때 고려하지 않는 사항이지만 때로는 특정지역의 평균 연령이 대지의 가치를 결정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어린 자녀를 둔 주택 구입자들은 평균 연령이 높은 지역에 주택을 구입하는 것을 꺼리게 된다.

아무래도 이웃에 자녀 또래의 아이들이 많은 지역에 주택 구입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평균 연령이 낮은 지역의 주택 수요가 많은 반면 평균 연령이 높은 지역은 반대 현상을 겪을 수 있다.



◇ 향후 개발 계획

주택 구입에 앞서 지역의 현재 각종 공공시설을 확인하는 것은 물론 향후 개발 계획도 점검해야 주택 가치의 등락을 점쳐볼 수 있다. 지역내 개발예정 부지에 지역 정부에서 학교, 병원 등 기반시설을 건축할 계획이라면 주택 가치 상승에 도움을 준다.



반면 주택이 건설될 예정이라면 기존 주택들의 가치를 하락시킬 가능성이 크다. 특히 거주 인구 밀집도가 높은 콘도나 타운하우스 등의 주택이 들어서면 기존 주택 가치 하락폭을 더욱 부추길 수 있다.



◇ 저렴한 주택=고투자수익

어느 한 지역에 건물과 대지의 크기가 같고 내부 구조가 비슷한 주택이 2채 있다고 가정하자. 주택 A는 고급 내부장식 등으로 인해 지역 시세의 최고가에 거래되고 있고 주택 B는 이 가격의 절반 가격에 거래되고 있다.



주택 구입자들이 선호하는 지역이어서 주택 구입 수요가 공급을 웃돌고, 이로 인해 이 지역 대지의 가치가 상승 추세다.



따라서 지역 대지의 가치가 매년 거의 같은 수준으로 상승하는 상황이다. 이때 주택 A의 가격이 한해 10% 상승했다고 치면 절반 가격의 주택 B의 대지 가치는 20% 상승한 것과 동일한 수익률이라고 할 수 있겠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204 / 8 Page
RSS 글쓰기
주택 매입 계약 - 순조로운 마무리를 위한 10가지 준비 사항
등록자
등록일 11.27 조회 6873

상식 주택 매입 계약 - 순조로운 마무리를 위한 10가지 준비 사항 주택 매입 과정에서 등기이전일(closing day) 당일은 구입자들에게 들뜬 기…

주택 매입 계약 - 순조로운 마무리를 위한 10가지 준비 사항
등록자
등록일 11.27 조회 6937

상식 주택 매입 계약 - 순조로운 마무리를 위한 10가지 준비 사항 주택 매입 과정에서 등기이전일(closing day) 당일은 구입자들에게 들뜬 기…

살아있는 조경 재료 식물
등록자 KREW
등록일 05.09 조회 7002

가든 앤디스칼럼 <11> : 살아있는 조경 재료 : 식물 봄이 되니 풀과 나무들을 많이 심는다. 더구나 필자는 조경업자로서 일을 하고 있다…

앤디스칼럼 소나무야 소나무야
등록자 KREW
등록일 08.02 조회 7030

가든 앤디스칼럼 <23> : 소나무야 소나무야 늘씬한 몸매를 우아하게 뽐내며 마치 모델이 포즈를 취하는 것 마냥 멋들어진 소나무. 쳐다보기…

앤디스칼럼 보이는 곳에 20, 안 보이는 곳에 80
등록자 KREW
등록일 08.09 조회 7050

가든 앤디스칼럼 <24> : 보이는 곳에 20%, 안 보이는 곳에 80% 공정에 따라 다르지만, 조경시공공사를 하면서 소요되는 시간을 통틀…

주택 가치를 결정하는 요인들
등록자
등록일 11.25 조회 7059

상식 주택 가치를 결정하는 요인들 동네주민 사회·문화적 특성 따져야 ... 해당지역 향후 개발계획도 밀접 부동산 업계에서는 주택을 구입할 때 무엇보다…

캐나다인 스타일 조경이란?
등록자 KREW
등록일 03.07 조회 7264

가든 앤디스 칼럼<2> : 캐나다인 스타일 조경이란? “캐나다인 스타일 조경으로 해주세요.” 간혹 이렇게 말씀하시는 고객을 접할 땐 필자로…

캐나다인 스타일 조경이란?
등록자 KREW
등록일 03.07 조회 7303

가든 앤디스 칼럼<2> : 캐나다인 스타일 조경이란? “캐나다인 스타일 조경으로 해주세요.” 간혹 이렇게 말씀하시는 고객을 접할 땐 필자로…

주택 가치를 최상으로 유지하는 방법
등록자
등록일 10.30 조회 7349

상식 주택 가치를 최상으로 유지하는 방법 평소에 주택 유지 보수를 잘 해 두는 것이 향후 주택 판매시 조금이라도 높은가격을 받는데 도움이 될까? 고객…

주택 가치를 최상으로 유지하는 방법
등록자
등록일 10.30 조회 7372

상식 주택 가치를 최상으로 유지하는 방법 평소에 주택 유지 보수를 잘 해 두는 것이 향후 주택 판매시 조금이라도 높은가격을 받는데 도움이 될까? 고객…

앤디스칼럼 조경 비즈니스 어때요?
등록자 KREW
등록일 06.27 조회 7388

가든 앤디스칼럼 <18> : 조경 비즈니스 어때요? 필자는 매주 한 편의 글을 신문사로 보낸다. 주로 한 주 동안 받았던 질문 가운데 주제…

앤디스칼럼 네 장미꽃을 그렇게 소중하게 만든 것은
등록자 KREW
등록일 09.06 조회 7391

가든 앤디스칼럼 <28> : 네 장미꽃을 그렇게 소중하게 만든 것은 네 장미꽃을 그렇게 소중하게 만든 것은, 그 꽃을 위해 네가 소비한 시…

제대로 된 집 구매하기 - 6가지 팁
등록자
등록일 10.25 조회 7442

상식 제대로 된 집 구매하기 - 6가지 팁 주택을 구입하는 사람들이 흔히 저지르는 실수는 집을 머리가 아닌 가슴으로 사기 때문에 발생한다. 이로 인해…

앤디스칼럼 밴쿠버 어느 조경인의 꿈.
등록자 KREW
등록일 09.13 조회 7469

가든 앤디스칼럼 <29> : 밴쿠버 어느 조경인의 꿈. 한 달쯤 전인가. 일을 거의 마치고 정리를 하던 중에 현장으로 누군가가 찾아왔다. …

미국 부동산 투자시 알아야 할 사항
등록자
등록일 11.20 조회 7512

상식 미국 부동산 투자시 알아야 할 사항 - 외국인을 위한 주택 및 상업용 융자 미국에 주택을 구입하고자 하는 외국인은 외국인 융자를 통해서 주택융자…

치수단위 이야기(1)
등록자 KREW
등록일 06.07 조회 7555

가든 앤디스칼럼 <15> : 길이,면적,부피 – 치수단위 이야기(1) 인치, 피트, 야드… 우리 대부분이 학교에서 배우고 실생활에서 익숙한…

앤디스칼럼 나무들의 속삭임
등록자 KREW
등록일 01.03 조회 7756

가든 앤디스칼럼 <43> : 나무들의 속삭임 다사다난 한 해가 다 되어간다 싶더니 어느새 또 우리는 새로운 한 해 앞에 서 있다. 몇 달 …

앤디스칼럼 공간(SPACE) 이야기
등록자 KREW
등록일 10.18 조회 7765

가든 앤디스칼럼 <34> : 공간(SPACE) 이야기 대학 졸업 바로 전에 필자의 부친은 평생의 직장으로부터 그 시절의 유행과도 같았던 I…

앤디스칼럼 아름다운 정원 만들기 5. 시공(만들기)
등록자 KREW
등록일 02.07 조회 7778

가든 앤디스칼럼 <47> : 아름다운 정원 만들기 5. 시공(만들기) 마스터플랜을 가지고 있는 당신은 이제 계획단계를 벗어나 시공단계로 접…

트리(TREE)와 슈러브(SHRUB)의 차이
등록자 KREW
등록일 05.23 조회 7796

가든 앤디스칼럼 <13> : 트리(TREE)와 슈러브(SHRUB)의 차이 현장에서 일을 하다 보면 담장 너머 옆집에서 우리가 하는 일을 온…